우리나라의 대학 등록금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중 3번째로 비싸고 정부 장학금과 학자금 대출 비율이 OECD 평균에 훨씬 못 미친다는 OECD 보고서가 공개됐다.
20일 OECD가 공개한 'OECD 사회정책보고서'중 교육분야 내용에 따르면 한국의 대학등록금은 OECD 회원국 중 3번째로 높았다.
정부 장학금 비율은 공공교육비의 4.4%로 OECD평균인 11.4% 보다 훨씬 떨어졌고 학자금 대출 비율은 5.7%로 OECD 평균 8.8%보다 크게 낮은 수준이다.
OECD는 한국의 대학교육에 대한 공공부문 분담비율도 2000-2007년 하락세를 보여 OECD 평균인 69%에 미달하며 등록금 지불에 대해 세금 공제를 받지만 대학교육비의 대부분을 가정이 부담한다고 지적했다.
OECD는 또 치열한 대학입시로 학생들의 스트레스가 높아지고 창의력ㆍ독창성 등이 희생되고 있으며 기술고등학교도 본래의 의도와 달리 졸업생의 3분의 2가 대학에 진학하는 등 직업훈련이 취약하다고 보고했다.
아울러 공교육비를 정부가 부담하는 비율은 4.2%로 OECD 평균(4.8%)보다 낮았지만 민간이 부담하는 비율은 2.8%로 조사대상국 가운데 가장 높다고 분석했다.
OECD는 이날 공개한 사회정책보고서 중 교육분야 내용에서 한국의 대학교육 이외 초중등교육에도 문제점이 있다고 지적했다.
유아교육의 경우 초등교육 이전 단계에 대한 지출 수준은 OECD 평균보다 30% 정도 적고(2007년 기준) 민간 부문의 지출이 OECD 평균은 20%인데 반해 한국은 절반을 차지해 민간 부담률이 높다고 분석했다.
유치원생 1명당 교육비용은 초중등학교의 38% 수준으로 OECD 평균인 64%에 크게 못미쳤다.
초중등 교육에서는 학원비 부담이 집중적으로 지적됐다.
OECD는 학원 수업료로 한국의 각 가정이 한달 수입의 8%를 지출하며 이는 GDP의 2.2%에 해당한다고 추산했다.
OECD는 한국 초중등학생의 77%가 주당 평균 10시간 정도 사설학원 강의에 참여하는 등 학원 강의로 사회적 불균형이 심화하고 있다고 봤다.
또 방과후 언어 학원 수강은 OECD 평균의 3배이며, 소도시 학생이 대도시 학생에 비해 뒤지고 학교간 차별은 사회경제적인 배경을 반영하며 이는 출산율에도 부정적으로 작용한다고 지적했다.
20일 OECD가 공개한 'OECD 사회정책보고서'중 교육분야 내용에 따르면 한국의 대학등록금은 OECD 회원국 중 3번째로 높았다.
정부 장학금 비율은 공공교육비의 4.4%로 OECD평균인 11.4% 보다 훨씬 떨어졌고 학자금 대출 비율은 5.7%로 OECD 평균 8.8%보다 크게 낮은 수준이다.
OECD는 한국의 대학교육에 대한 공공부문 분담비율도 2000-2007년 하락세를 보여 OECD 평균인 69%에 미달하며 등록금 지불에 대해 세금 공제를 받지만 대학교육비의 대부분을 가정이 부담한다고 지적했다.
OECD는 또 치열한 대학입시로 학생들의 스트레스가 높아지고 창의력ㆍ독창성 등이 희생되고 있으며 기술고등학교도 본래의 의도와 달리 졸업생의 3분의 2가 대학에 진학하는 등 직업훈련이 취약하다고 보고했다.
아울러 공교육비를 정부가 부담하는 비율은 4.2%로 OECD 평균(4.8%)보다 낮았지만 민간이 부담하는 비율은 2.8%로 조사대상국 가운데 가장 높다고 분석했다.
OECD는 이날 공개한 사회정책보고서 중 교육분야 내용에서 한국의 대학교육 이외 초중등교육에도 문제점이 있다고 지적했다.
유아교육의 경우 초등교육 이전 단계에 대한 지출 수준은 OECD 평균보다 30% 정도 적고(2007년 기준) 민간 부문의 지출이 OECD 평균은 20%인데 반해 한국은 절반을 차지해 민간 부담률이 높다고 분석했다.
유치원생 1명당 교육비용은 초중등학교의 38% 수준으로 OECD 평균인 64%에 크게 못미쳤다.
초중등 교육에서는 학원비 부담이 집중적으로 지적됐다.
OECD는 학원 수업료로 한국의 각 가정이 한달 수입의 8%를 지출하며 이는 GDP의 2.2%에 해당한다고 추산했다.
OECD는 한국 초중등학생의 77%가 주당 평균 10시간 정도 사설학원 강의에 참여하는 등 학원 강의로 사회적 불균형이 심화하고 있다고 봤다.
또 방과후 언어 학원 수강은 OECD 평균의 3배이며, 소도시 학생이 대도시 학생에 비해 뒤지고 학교간 차별은 사회경제적인 배경을 반영하며 이는 출산율에도 부정적으로 작용한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