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 등록금 절반을 학생과 학부모가 부담하고 정부가 40%, 대학이 10%를 담당하면 정부의 재정 부담을 줄이면서 조건 없는 `반값 등록금'을 실현할 수 있다는 주장이 나왔다.
안진걸 참여연대 사회경제팀장은 21일 전국등록금네트워크(등록금넷)ㆍ한대련ㆍ야5당 공동 주최로 열린 `반값 등록금 정책 토론회'에서 이같이 주장했다.
안 팀장은"조건 없는 반값 등록금에 5조7천억원이라는 막대한 예산이 소요된다는 지적이 있을 수 있고 대학들의 자구 노력이 필요하다는 지적도 일리가 있다"며 대학 등록금 문제에 대해 이같은 방식의 `사회적 대협약'을 이끌어낼 수 있을 것이라고 제시했다.
이와 함께 "정부도 `부자감세' 철회로 세수를 확보해야 하며, 내국세의 일정 비율을 대학 등록금 지원 예산으로 쓰고 법인세에 교육세 2%를 추가 할당하는 방안도 가능하다"고 제안했다.
반값 등록금보다 부실ㆍ비리 사학 문제 해결이 우선해야 한다는 지적에는 "부실 사학 구조조정은 언제 이뤄질지 알 수 없어 반값 등록금 지원이 무작정 늦춰질 것"이라며 "일단 등록금에 대해 정부가 재정 지원을 확대하고 사립대 문제는 별도의 사회적 합의를 거쳐 정상화나 통폐합을 유도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안진걸 참여연대 사회경제팀장은 21일 전국등록금네트워크(등록금넷)ㆍ한대련ㆍ야5당 공동 주최로 열린 `반값 등록금 정책 토론회'에서 이같이 주장했다.
안 팀장은"조건 없는 반값 등록금에 5조7천억원이라는 막대한 예산이 소요된다는 지적이 있을 수 있고 대학들의 자구 노력이 필요하다는 지적도 일리가 있다"며 대학 등록금 문제에 대해 이같은 방식의 `사회적 대협약'을 이끌어낼 수 있을 것이라고 제시했다.
이와 함께 "정부도 `부자감세' 철회로 세수를 확보해야 하며, 내국세의 일정 비율을 대학 등록금 지원 예산으로 쓰고 법인세에 교육세 2%를 추가 할당하는 방안도 가능하다"고 제안했다.
반값 등록금보다 부실ㆍ비리 사학 문제 해결이 우선해야 한다는 지적에는 "부실 사학 구조조정은 언제 이뤄질지 알 수 없어 반값 등록금 지원이 무작정 늦춰질 것"이라며 "일단 등록금에 대해 정부가 재정 지원을 확대하고 사립대 문제는 별도의 사회적 합의를 거쳐 정상화나 통폐합을 유도해야 한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