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고 복잡한 자본조달 구조를 가진 금융시스템에서는 기존의 뱅크런보다 훨씬 강력한 펀드런(대량환매)이 발생할 수 있다는 견해가 나왔다.
랜달 크로즈너 시카고대 교수는 23일 중구 소공동 롯데호텔에서 개최된 한국금융연구원 주최 '규제개혁과 금융의 미래' 국제콘퍼런스에서 "글로벌 금융위기는 증권화를 통해 금융회사들이 매우 복잡하게 얽혀 있어 단기 외부자금에 대한 의존도가 높아지면 어떤 위험이 발생하는지 여실히 보여줬다"며 이같이 밝혔다.
크로즈너 교수는 "개별 금융회사의 불안정성이 커지고 지역시장에 충격이 발생하면 글로벌 금융시스템으로 위기가 확대돼 펀드런이 발생할 수 있다"며 "이 같은 불안정성을 완화하려면 시장 인프라와 감독, 규제의 개선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장외파생상품을 중앙청산소로 이동할 경우 과도한 상호연계, 레버리지, 법적 불확실성을 줄이고 정보의 투명성을 높일 수 있다"고 조언했다.
또 "파산 및 구제 체계를 개선해 펀드런의 발생 가능성을 줄이는 한편, 불안정성을 가져올 수 있는 계약을 억제해 거래상대방의 위험을 축소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러나 함준호 연세대 교수는 "장외파생상품 중앙청산소 도입은 모든 거래상대방의 위험을 한곳으로 모아 체계적 위험이 집중되는 곳이 될 수 있다"고 우려했다.
그는 "미시건전성 접근은 오히려 더 위험한 시스템리스크를 촉발할 수 있다"며 "신용사이클과 체계적 위험을 완화하기 위해 한국의 외환건전성부담금과 같은 거시건전성 수단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랜달 크로즈너 시카고대 교수는 23일 중구 소공동 롯데호텔에서 개최된 한국금융연구원 주최 '규제개혁과 금융의 미래' 국제콘퍼런스에서 "글로벌 금융위기는 증권화를 통해 금융회사들이 매우 복잡하게 얽혀 있어 단기 외부자금에 대한 의존도가 높아지면 어떤 위험이 발생하는지 여실히 보여줬다"며 이같이 밝혔다.
크로즈너 교수는 "개별 금융회사의 불안정성이 커지고 지역시장에 충격이 발생하면 글로벌 금융시스템으로 위기가 확대돼 펀드런이 발생할 수 있다"며 "이 같은 불안정성을 완화하려면 시장 인프라와 감독, 규제의 개선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장외파생상품을 중앙청산소로 이동할 경우 과도한 상호연계, 레버리지, 법적 불확실성을 줄이고 정보의 투명성을 높일 수 있다"고 조언했다.
또 "파산 및 구제 체계를 개선해 펀드런의 발생 가능성을 줄이는 한편, 불안정성을 가져올 수 있는 계약을 억제해 거래상대방의 위험을 축소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러나 함준호 연세대 교수는 "장외파생상품 중앙청산소 도입은 모든 거래상대방의 위험을 한곳으로 모아 체계적 위험이 집중되는 곳이 될 수 있다"고 우려했다.
그는 "미시건전성 접근은 오히려 더 위험한 시스템리스크를 촉발할 수 있다"며 "신용사이클과 체계적 위험을 완화하기 위해 한국의 외환건전성부담금과 같은 거시건전성 수단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