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반기 대기업 계열사 등 60∼70곳이 기업공개(IPO)에 나설 것으로 보여 공모주펀드에 관심이 커지고 있다.
공모주를 직접 청약하고 환급하는 등의 번거로운 절차를 피하고 직접 투자와 유사한 효과를 낼 것이라는 기대 때문이다.
그러나 정작 공모주펀드에 공모주가 편입된 사례가 많지 않다. 수익률도 기대치에 모자라 공모주 대안 투자로서 부적합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13일 펀드평가사 에프앤가이드(FnSpectrum)에 따르면 지난 11일 기준 국내 공모주에 투자하는 55개 펀드의 올 초 이후 평균 수익률은 2.14%다.
같은 기간 국내 주식형펀드 수익률 7.21%의 3분의 1에도 못 미친다. 작년 6월 이후 국내 증시에 상장된 102개 종목의 평균 주가 등락률 16.38%에는 한참 모자란다.
공모주펀드로 불리는 펀드가 모두 채권혼합형펀드인 탓이다.
편입 자산의 60% 이상이 채권이고 공모주 비중은 20% 안팎에 그쳐 수익률이 낮을 수밖에 없다. 몸통은 채권이고 꼬리만 공모주로 구성돼 증시 강세장에서도 큰 성과를 내기 어렵다.
공모주펀드는 비교 대상이 되는 같은 유형의 국내 채권혼합형펀드 수익률 3.30%에도 못 미친다.
공모주에 간접 투자하는 효과는 완전히 실종된 셈이다. 채권형펀드 수익률(1.78%) 보다 조금 웃도는 성과에 만족해야 하는 처지다.
공모주펀드에 채권 수익률에 `플러스 알파`를 안겨 줄 공모주가 없는 사례가 허다하기 때문이다.
공모주펀드는 보통 채권혼합형펀드로 설정하고서 기업 상장 때 기관 대상 공모청약에 참여해 받아 온 공모주를 편입한다. 그러나 공모주를 장기간 보유하지는 않는다. 일정 기간이 지나면 대부분 처분한다.
상당수 펀드도 편입된 공모주가 1∼2개에 불과하고 삼성전자, 현대차, 현대모비스 등 대형주들로 채워진 경우가 대부분이다.
공모주를 직접 청약하고 환급하는 등의 번거로운 절차를 피하고 직접 투자와 유사한 효과를 낼 것이라는 기대 때문이다.
그러나 정작 공모주펀드에 공모주가 편입된 사례가 많지 않다. 수익률도 기대치에 모자라 공모주 대안 투자로서 부적합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13일 펀드평가사 에프앤가이드(FnSpectrum)에 따르면 지난 11일 기준 국내 공모주에 투자하는 55개 펀드의 올 초 이후 평균 수익률은 2.14%다.
같은 기간 국내 주식형펀드 수익률 7.21%의 3분의 1에도 못 미친다. 작년 6월 이후 국내 증시에 상장된 102개 종목의 평균 주가 등락률 16.38%에는 한참 모자란다.
공모주펀드로 불리는 펀드가 모두 채권혼합형펀드인 탓이다.
편입 자산의 60% 이상이 채권이고 공모주 비중은 20% 안팎에 그쳐 수익률이 낮을 수밖에 없다. 몸통은 채권이고 꼬리만 공모주로 구성돼 증시 강세장에서도 큰 성과를 내기 어렵다.
공모주펀드는 비교 대상이 되는 같은 유형의 국내 채권혼합형펀드 수익률 3.30%에도 못 미친다.
공모주에 간접 투자하는 효과는 완전히 실종된 셈이다. 채권형펀드 수익률(1.78%) 보다 조금 웃도는 성과에 만족해야 하는 처지다.
공모주펀드에 채권 수익률에 `플러스 알파`를 안겨 줄 공모주가 없는 사례가 허다하기 때문이다.
공모주펀드는 보통 채권혼합형펀드로 설정하고서 기업 상장 때 기관 대상 공모청약에 참여해 받아 온 공모주를 편입한다. 그러나 공모주를 장기간 보유하지는 않는다. 일정 기간이 지나면 대부분 처분한다.
상당수 펀드도 편입된 공모주가 1∼2개에 불과하고 삼성전자, 현대차, 현대모비스 등 대형주들로 채워진 경우가 대부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