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복지부는 심근경색증과 뇌졸중 등으로 인한 사망률을 선진국 수준으로 낮추기 위해 제2기 심뇌혈관질환 종합대책을 수립했다고 26일 밝혔다.
복지부는 이번 대책에서 지난 2007년 9.6%였던 심근경색증의 30일 이내 의료기관 내 사망률을 2015년까지 8.7%로, 또 2020년까지는 OECD 평균인 7.7%로 낮춘다는 계획을 담았다.
또 2008년 7.3%였던 뇌졸중 사망률은 2015년까지 6.9%로 낮춘다는 정책 목표를 제시했다.
이를 위해 복지부는 2006∼2010년에 시행된 1기 대책을 보완·개선해 2기 대책을 마련했다.
2기 대책은 만성질환에 대한 정보 제공과 실천적 교육을 통해 인식 개선과 행동변화를 유도하고, 보건소-의원 간 협력을 통해 고혈압·당뇨 등 선행질환 지속치료율을 높이는 한편 권역심뇌혈관질환센터를 중심으로 한 중증질환 진료역량 제고 등으로 구성됐다.
이를 위해 복지부는 ▲`건강예보제`를 도입해 심뇌혈관질환 등에 대한 정보를 일정 주기별로 제공하고 ▲일차의료 중심의 보건의료체계 개선 방향에 맞춰 시범사업을 통해 고혈압·당뇨 등록관리 사업모델을 개발·보급하며 ▲현재 전국에 9개가 있는 권역심뇌혈관질환센터를 단계적으로 확대 지정해 진료역량을 높이기로 했다.
또 만성질환 관리를 위한 법적 근거 및 제도 정비를 위해 노력하고 관련 분야 전문가로 구성된 자문위원회도 운영키로 했다.
복지부 관계자는 "제1기 대책을 통해 고혈압·당뇨 등 선행질환의 인지율, 치료율을 개선하고 지역 중심의 만성질환 관리 시범사업 모델을 수립하는 등 성과를 올렸다"며 "2기 대책을 통해서 선행질환의 지속치료율을 높이는 한편, 심근경색, 뇌졸중과 같은 중증질환의 사망이나 후유장애 및 재발을 최소화할 것"이라고 계획을 밝혔다.
복지부는 이번 대책에서 지난 2007년 9.6%였던 심근경색증의 30일 이내 의료기관 내 사망률을 2015년까지 8.7%로, 또 2020년까지는 OECD 평균인 7.7%로 낮춘다는 계획을 담았다.
또 2008년 7.3%였던 뇌졸중 사망률은 2015년까지 6.9%로 낮춘다는 정책 목표를 제시했다.
이를 위해 복지부는 2006∼2010년에 시행된 1기 대책을 보완·개선해 2기 대책을 마련했다.
2기 대책은 만성질환에 대한 정보 제공과 실천적 교육을 통해 인식 개선과 행동변화를 유도하고, 보건소-의원 간 협력을 통해 고혈압·당뇨 등 선행질환 지속치료율을 높이는 한편 권역심뇌혈관질환센터를 중심으로 한 중증질환 진료역량 제고 등으로 구성됐다.
이를 위해 복지부는 ▲`건강예보제`를 도입해 심뇌혈관질환 등에 대한 정보를 일정 주기별로 제공하고 ▲일차의료 중심의 보건의료체계 개선 방향에 맞춰 시범사업을 통해 고혈압·당뇨 등록관리 사업모델을 개발·보급하며 ▲현재 전국에 9개가 있는 권역심뇌혈관질환센터를 단계적으로 확대 지정해 진료역량을 높이기로 했다.
또 만성질환 관리를 위한 법적 근거 및 제도 정비를 위해 노력하고 관련 분야 전문가로 구성된 자문위원회도 운영키로 했다.
복지부 관계자는 "제1기 대책을 통해 고혈압·당뇨 등 선행질환의 인지율, 치료율을 개선하고 지역 중심의 만성질환 관리 시범사업 모델을 수립하는 등 성과를 올렸다"며 "2기 대책을 통해서 선행질환의 지속치료율을 높이는 한편, 심근경색, 뇌졸중과 같은 중증질환의 사망이나 후유장애 및 재발을 최소화할 것"이라고 계획을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