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사들이 종목 분석을 하면서 목표 주가를 조정하면 실제 주가는 대부분 반대 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업분석 보고서 발표 전에 주가가 치솟다가 막상 목표치를 올리고서 주가가 내려가는 `기현상`이 빈번한 것은 사전 정보 유출 때문이라는 지적이 일고 있다.
20일 금융정보업체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지난 7~9월 국내 증권사가 유가증권 및 코스닥 상장사에 대해 목표주가를 높인 235건(중복 포함) 중 10거래일 뒤 주가가 내린 사례는 63%(148건)에 달했다.
목표주가 상향 조정 이후 주가가 오른 것은 37%(87건)에 그쳤다. 목표가를 조정한 지 10거래일 이후 평균 수익률은 -4.14%였다.
목표주가 인상 전 수익률은 오히려 양호했다. 상향 조정 10거래일 전과 조정 당일 주가를 비교했을 때 상승이 59%(138건), 변동 없거나 내린 사례는 41%(97건)였다. 이 기간 평균 수익률은 1.11%였다.
이번 조사 결과는 정보력이 상대적으로 뒤지는 개인투자자들이 증권사의 보고서를 믿고 해당 종목을 샀다면 손해 봤을 가능성이 크다는 점을 보여준다.
기업분석 보고서 발표 전에 주가가 치솟다가 막상 목표치를 올리고서 주가가 내려가는 `기현상`이 빈번한 것은 사전 정보 유출 때문이라는 지적이 일고 있다.
20일 금융정보업체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지난 7~9월 국내 증권사가 유가증권 및 코스닥 상장사에 대해 목표주가를 높인 235건(중복 포함) 중 10거래일 뒤 주가가 내린 사례는 63%(148건)에 달했다.
목표주가 상향 조정 이후 주가가 오른 것은 37%(87건)에 그쳤다. 목표가를 조정한 지 10거래일 이후 평균 수익률은 -4.14%였다.
목표주가 인상 전 수익률은 오히려 양호했다. 상향 조정 10거래일 전과 조정 당일 주가를 비교했을 때 상승이 59%(138건), 변동 없거나 내린 사례는 41%(97건)였다. 이 기간 평균 수익률은 1.11%였다.
이번 조사 결과는 정보력이 상대적으로 뒤지는 개인투자자들이 증권사의 보고서를 믿고 해당 종목을 샀다면 손해 봤을 가능성이 크다는 점을 보여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