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희욱 외신캐스터> 새벽에 마감한 미국 증시 낙폭을 보고 깜짝 놀랐을 텐데 도무지 호재라고는 찾아볼 수 없었다. 하지만 어제 미국시장의 상승 동력이 됐던 이탈리아 총리 사임발표가 하루 만에 어떻게 이렇게 큰 악재로 돌변했는지 로이터 통신 함께 보겠다. 이런 면에서 요즘 시장의 박스권은 누군가 인위적으로 만들어 놓은 것 같다는 얘기를 했었는데 일단은 이탈리아 국채금리가 7% 넘었다. 이것은 수도 없이 들어봤고 오늘 하루 종일 나올 얘기인데 과감하게 넘어가겠다.
이탈리아 국채 금리가 7% 넘는다는 게 과연 시장에서 어떤 의미인지 정리해 보겠다. 런던 자금거래소에서는 독일 프랑스 네덜란드 같은 AAA등급 국채와 스프레드는 마침내 기준선인 4.5%를 넘어서 5%도 뛰어넘었고 이렇게 되면서 이탈리아 국채 거래에 필요한 증거금이 20%가 상향된 것이다. 이 소식은 유럽 전체 금융시장 신용시장 그리고 월가로 넘어와서는 금융업종은 물론이고 시장 전반으로 불길이 번졌다. 그래서 오늘 시장의 충격은 금융시장 즉 채권시장에서부터 온 것이라고 보면 되겠다.
이어서 전문가들의 의견 들어보겠다. 모건스탠리부터 보겠다. 최근 이탈리아 국채금리는 공포지수의 역할을 대신해 왔는데 오늘 이탈리아 국채금리가 위험권에 들어왔다는 것은 앞으로도 그 어떤 상황을 확신할 수도 없는 불안감을 반영하는 것이라는 원론적인 얘기.
다음 오늘 미 증시 하락을 더욱 부추긴 금융주는 벌써 몇 달째 유로존 사태의 인질로 발목이 잡혀왔다. 그런데 이번 만큼은 지금까지와는 차원이 다른 하락세가 나타났다. 그 이유는 바로 앞에서 본 이탈리아 국채수익률 상승이 금융사들로 하여금 일정 부분의 항상 필수보유자산이 각 나라의 국채가 아니겠는가 이 국공채 거래에 대한 증거금 상향조치를 불러왔고 이는 포지션을 갖고 있는 사람은 누구나 추가로 현금을 마련해야 되는 상황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금융사들의 충격이 불가피했다.
세 번째 이제는 이탈리아만의 문제가 아니라 유로존 전체로 확산될 지 모른다는 우려가 번져가고 있다. 여기서 어떻게든 진화를 해야 된다고 주장했고 프랑스와 독일의 국채수익률 그리고 3개월간 은행 리보금리 1년만에 최고치를 기록중이라고 정리했고 지금으로서는 이탈리아가 빨리 새 내각을 발표하고 현재 새 총리가 내정된 그리스도 여기를 뒤따른다면 어느 정도 긴장완화 효과는 있을 것이다. 오래가지 않을 것이라고 봤다.
다음 내용 국내 증시는 어제 그룹 총수 사망설 등 악성루머가 또 나왔었는데 월가에서도 비슷한 일이 벌어졌다. 미 증시 후반에 낙폭이 커진 이유가 무엇인지 여기에서 설명한다. 악성루머 두 가지가 나와 있는데 먼저 독일의 한 언론사가 앙겔라 메르켈 총리가 이끄는 기독당이 회원국들이 유로화 사용을 보다 쉽게 포기하게 할 규정을 마련중 이라는 미확인 보도를 했고 이를 블룸버그 통신이 그대로 받아썼는데 이게 월가에 전해지면서 유로화가 깨질 수도 있다는 루머로 변질되면서 일파만파 퍼졌다고 전하고 있다.
두 번째 로이터 통신은 독일과 프랑스 두 정상이 만나서 유로존 회원국들의 유대를 보다 긴밀하게 하되 유럽연합을 보다 작게 만들자 그런데 이게 작은 지구 큰 세상 이런 은유적인 의미였을 텐데 역시 또 기사를 확대 재생산하는 사람들이 작게 만든다는 것은 뭐냐 바로 유럽연합에서 퇴출되는 국가가 나올 것이라는 루머로 변질되면서 시장에 전해졌다고 나와 있다.
다음 내용으로 가겠다. 오늘 정신 없이 전하는데 그만큼 시장 상황이 긴박하다는 것으로 이해해 달라. 유로존 사태에서 대표적인 비관론자 누리엘 루비니 교수가 오늘 같은 날 가만히 있었을 리 없다. 유로존 문제가 이토록 악화된 이유가 무엇인지 루비니 교수가 진한단 세 가지 이유를 바로 보자 ECB 유럽중앙은행이 보다 공격적으로 기준금리를 인하했었어야 했는데 못했다. 이 얘기는 스페인이나 이탈리아를 고려했다면 양적완화를 진작에 했어야 되는데 그렇지 못해서 지금 타이밍이 좀 늦었고 이미 이것은 신용경색으로 이어지고 있다.
두 번째 유로화 가치는 지금 수준보다 더 크게 하락 했어야 한다. 달러 가치의 평가절상으로 이어져서 미국은 더 이상 재정적자 감축을 달러 약세에 기댈 수 없게 되겠지만 반대로 유로화를 쓰는 유로부채 우려 국가들은 유로화가 약세가 되면서 부채는 상대적으로 적어지는 효과가 있었을 것이다.
세 번째 그 동안 독일이 주도해온 재정긴축안은 이들에 대한 적절한 보상 즉 재정을 긴축하는 만큼 통화완화정책을 지원해주는 효과가 빠져 있었다. 그래서 적극적으로 추진하지 않은 것이다.
루비니 교수가 유로존의 미래를 어떻게 내다봤는지 유로존은 궁극적으로 깨져야 된다. 역시 비관론자 다운 발언을 했고 하지만 유로존이 깨질 경우에 그 엄청난 비용을 독일과 프랑스가 분담해야 되는데 그런 차원에서 어떻게든 독일이 ECB 즉 유럽중앙은행을 통해 양적완화 기조를 밀어붙일 것이고 이럴 경우에 독일은 인플레이션의 영향이 몇 년 동안 있겠지만 그것을 감수하고서라도 재정위기 국가들을 지원하도록 하는 방안을 독일이 어쨌든 추진을 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 정도면 비관론자이지만 상당히 균형 잡힌 분석이라고 봤다. 오늘 국내 증시 안전벨트를 단단히 매야 될텐데 외국인 대량 매도세가 오랜만에 나타날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
이탈리아 국채 금리가 7% 넘는다는 게 과연 시장에서 어떤 의미인지 정리해 보겠다. 런던 자금거래소에서는 독일 프랑스 네덜란드 같은 AAA등급 국채와 스프레드는 마침내 기준선인 4.5%를 넘어서 5%도 뛰어넘었고 이렇게 되면서 이탈리아 국채 거래에 필요한 증거금이 20%가 상향된 것이다. 이 소식은 유럽 전체 금융시장 신용시장 그리고 월가로 넘어와서는 금융업종은 물론이고 시장 전반으로 불길이 번졌다. 그래서 오늘 시장의 충격은 금융시장 즉 채권시장에서부터 온 것이라고 보면 되겠다.
이어서 전문가들의 의견 들어보겠다. 모건스탠리부터 보겠다. 최근 이탈리아 국채금리는 공포지수의 역할을 대신해 왔는데 오늘 이탈리아 국채금리가 위험권에 들어왔다는 것은 앞으로도 그 어떤 상황을 확신할 수도 없는 불안감을 반영하는 것이라는 원론적인 얘기.
다음 오늘 미 증시 하락을 더욱 부추긴 금융주는 벌써 몇 달째 유로존 사태의 인질로 발목이 잡혀왔다. 그런데 이번 만큼은 지금까지와는 차원이 다른 하락세가 나타났다. 그 이유는 바로 앞에서 본 이탈리아 국채수익률 상승이 금융사들로 하여금 일정 부분의 항상 필수보유자산이 각 나라의 국채가 아니겠는가 이 국공채 거래에 대한 증거금 상향조치를 불러왔고 이는 포지션을 갖고 있는 사람은 누구나 추가로 현금을 마련해야 되는 상황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금융사들의 충격이 불가피했다.
세 번째 이제는 이탈리아만의 문제가 아니라 유로존 전체로 확산될 지 모른다는 우려가 번져가고 있다. 여기서 어떻게든 진화를 해야 된다고 주장했고 프랑스와 독일의 국채수익률 그리고 3개월간 은행 리보금리 1년만에 최고치를 기록중이라고 정리했고 지금으로서는 이탈리아가 빨리 새 내각을 발표하고 현재 새 총리가 내정된 그리스도 여기를 뒤따른다면 어느 정도 긴장완화 효과는 있을 것이다. 오래가지 않을 것이라고 봤다.
다음 내용 국내 증시는 어제 그룹 총수 사망설 등 악성루머가 또 나왔었는데 월가에서도 비슷한 일이 벌어졌다. 미 증시 후반에 낙폭이 커진 이유가 무엇인지 여기에서 설명한다. 악성루머 두 가지가 나와 있는데 먼저 독일의 한 언론사가 앙겔라 메르켈 총리가 이끄는 기독당이 회원국들이 유로화 사용을 보다 쉽게 포기하게 할 규정을 마련중 이라는 미확인 보도를 했고 이를 블룸버그 통신이 그대로 받아썼는데 이게 월가에 전해지면서 유로화가 깨질 수도 있다는 루머로 변질되면서 일파만파 퍼졌다고 전하고 있다.
두 번째 로이터 통신은 독일과 프랑스 두 정상이 만나서 유로존 회원국들의 유대를 보다 긴밀하게 하되 유럽연합을 보다 작게 만들자 그런데 이게 작은 지구 큰 세상 이런 은유적인 의미였을 텐데 역시 또 기사를 확대 재생산하는 사람들이 작게 만든다는 것은 뭐냐 바로 유럽연합에서 퇴출되는 국가가 나올 것이라는 루머로 변질되면서 시장에 전해졌다고 나와 있다.
다음 내용으로 가겠다. 오늘 정신 없이 전하는데 그만큼 시장 상황이 긴박하다는 것으로 이해해 달라. 유로존 사태에서 대표적인 비관론자 누리엘 루비니 교수가 오늘 같은 날 가만히 있었을 리 없다. 유로존 문제가 이토록 악화된 이유가 무엇인지 루비니 교수가 진한단 세 가지 이유를 바로 보자 ECB 유럽중앙은행이 보다 공격적으로 기준금리를 인하했었어야 했는데 못했다. 이 얘기는 스페인이나 이탈리아를 고려했다면 양적완화를 진작에 했어야 되는데 그렇지 못해서 지금 타이밍이 좀 늦었고 이미 이것은 신용경색으로 이어지고 있다.
두 번째 유로화 가치는 지금 수준보다 더 크게 하락 했어야 한다. 달러 가치의 평가절상으로 이어져서 미국은 더 이상 재정적자 감축을 달러 약세에 기댈 수 없게 되겠지만 반대로 유로화를 쓰는 유로부채 우려 국가들은 유로화가 약세가 되면서 부채는 상대적으로 적어지는 효과가 있었을 것이다.
세 번째 그 동안 독일이 주도해온 재정긴축안은 이들에 대한 적절한 보상 즉 재정을 긴축하는 만큼 통화완화정책을 지원해주는 효과가 빠져 있었다. 그래서 적극적으로 추진하지 않은 것이다.
루비니 교수가 유로존의 미래를 어떻게 내다봤는지 유로존은 궁극적으로 깨져야 된다. 역시 비관론자 다운 발언을 했고 하지만 유로존이 깨질 경우에 그 엄청난 비용을 독일과 프랑스가 분담해야 되는데 그런 차원에서 어떻게든 독일이 ECB 즉 유럽중앙은행을 통해 양적완화 기조를 밀어붙일 것이고 이럴 경우에 독일은 인플레이션의 영향이 몇 년 동안 있겠지만 그것을 감수하고서라도 재정위기 국가들을 지원하도록 하는 방안을 독일이 어쨌든 추진을 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 정도면 비관론자이지만 상당히 균형 잡힌 분석이라고 봤다. 오늘 국내 증시 안전벨트를 단단히 매야 될텐데 외국인 대량 매도세가 오랜만에 나타날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