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에 사는 30~40대 기혼 여성의 대부분이 아이를 2명 이하로 낳는 것으로 나타났다.
3일 서울시의 `통계로 본 서울시민의 연령계층별 삶` 자료에 따르면 30~44세 기혼여성의 평균 출생아 수는 1.6명이다. 이 연령대의 자녀는 2명이 52.1%로 가장 많고 1명이 32.8%로 뒤를 이었다.
45~59세 기혼여성의 경우 평균 출생아 수는 2.0명을 기록했다. 2명을 출산한 여성이 64.9%로 가장 많았고 이어 1명(16.7%), 3명(14%) 순이었다.
60세 이상 여성은 30~50대보다 많은 평균 3.1명을 출산했으며, 4명 이상을 낳은 경우(33.2%)가 가장 많은 것으로 집계됐다.
전체 서울시민 중 서울에서 태어난 비율을 연령대별로 보면 15~29세가 60세 이상보다 3배 이상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15~29세 서울 인구 중 64.1%가 서울 출생이고 경기 출생은 8.1%로 두번째를 기록했다. 30~44세 중에서는 45.8%가 서울에서 태어났으며 전남(8.8%), 전북(6.7%), 경기(6.4%)가 뒤를 이었다. 45~49세 중에서는 24.5%만이 서울 태생이며 75.5%는 타지역에서 온 것으로 나타났다. 타지역 태생 중에서는 전남(13.9%)이 가장 많았고 전북(10.2%), 충남(10.1%) 등의 순이다.
60세 이상 중에서는 18.5%가 서울 태생이며 이어 전남(13.4%), 충남(11%), 전북(10.4%) 순으로 나타났다.
연령별 거처 유형을 보면 15~29세는 단독주택이 57.4%로 가장 높았고 주택 이외 거처(14.7%), 아파트(13.2%), 다세대주택(10.7%)이 뒤를 이었다. 30~44세와 45~59세는 아파트 거주자가 각각 43.7%, 47.4%로 가장 많은 반면 60세 이상은 단독주택 거주 비율이 40.4%로 제일 높았다.
가구주 연령대별 주택 점유 형태는 15~29세의 경우 보증금 있는 월세가 53.3%로 가장 많았고 전세(32.8%), 자가(6.6%)가 뒤를 이었다. 30~44세는 전세(43.7%), 45~59세와 60세 이상은 자가(각 47.9%, 62.6%)가 가장 많았다.
3일 서울시의 `통계로 본 서울시민의 연령계층별 삶` 자료에 따르면 30~44세 기혼여성의 평균 출생아 수는 1.6명이다. 이 연령대의 자녀는 2명이 52.1%로 가장 많고 1명이 32.8%로 뒤를 이었다.
45~59세 기혼여성의 경우 평균 출생아 수는 2.0명을 기록했다. 2명을 출산한 여성이 64.9%로 가장 많았고 이어 1명(16.7%), 3명(14%) 순이었다.
60세 이상 여성은 30~50대보다 많은 평균 3.1명을 출산했으며, 4명 이상을 낳은 경우(33.2%)가 가장 많은 것으로 집계됐다.
전체 서울시민 중 서울에서 태어난 비율을 연령대별로 보면 15~29세가 60세 이상보다 3배 이상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15~29세 서울 인구 중 64.1%가 서울 출생이고 경기 출생은 8.1%로 두번째를 기록했다. 30~44세 중에서는 45.8%가 서울에서 태어났으며 전남(8.8%), 전북(6.7%), 경기(6.4%)가 뒤를 이었다. 45~49세 중에서는 24.5%만이 서울 태생이며 75.5%는 타지역에서 온 것으로 나타났다. 타지역 태생 중에서는 전남(13.9%)이 가장 많았고 전북(10.2%), 충남(10.1%) 등의 순이다.
60세 이상 중에서는 18.5%가 서울 태생이며 이어 전남(13.4%), 충남(11%), 전북(10.4%) 순으로 나타났다.
연령별 거처 유형을 보면 15~29세는 단독주택이 57.4%로 가장 높았고 주택 이외 거처(14.7%), 아파트(13.2%), 다세대주택(10.7%)이 뒤를 이었다. 30~44세와 45~59세는 아파트 거주자가 각각 43.7%, 47.4%로 가장 많은 반면 60세 이상은 단독주택 거주 비율이 40.4%로 제일 높았다.
가구주 연령대별 주택 점유 형태는 15~29세의 경우 보증금 있는 월세가 53.3%로 가장 많았고 전세(32.8%), 자가(6.6%)가 뒤를 이었다. 30~44세는 전세(43.7%), 45~59세와 60세 이상은 자가(각 47.9%, 62.6%)가 가장 많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