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국민총소득 중 가계로 분배되는 몫이 주요국에 비해 상대적으로 줄어들고 있습니다.
한국은행 경제통계국의 김영태 팀장과 박진호 조사역은 `가계소득 현황 및 시사점` 보고서를 통해 1990년대 이후 우리나라의 가계소득은 미국·독일 등 주요 선진국과 달리 국민총소득(GNI)에 비해 상대적으로 증가세가 뚜렷하게 둔화됐다고 분석했습니다.
우리나라의 1991~2011년 중 가계소득 증가율은 연 8.5%로 GNI 증가율 9.3%에 미치지 못하면서 가계소득/GNI비율이 큰 폭으로 하락했다고 밝혔습니다. 우리나라 GNI대비 가계소득은 1990년 71.5%였지만 2011년에는 61.6%로 하락했습니다.
미국과 독일 등 OECD 평균은 73.1%에서 69%로 4.1%p 하락하는데 그쳤습니다.
이는 OECD 선진국들보다 우리나라의 가계소득 분배가 불공평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더불어 우리나라 GNI대비 기업소득은 늘고 있습니다. 1990년 16.1%에서 2011년 24.1%로 크게 상승했습니다.가계와 달리 기업들의 이익은 증가한다는 분석입니다.
한국은행은 가계소득 증가세 둔화는 "가계의 재정건전성을 약화시키면서 소비수준 저조, 가계저축률 하락,소비변동성 심화, 투자 증가 둔화 등을 초래해 내수부진과 체감경기 악화요인으로 작용"한다고 밝혔습니다.
한국은행 경제통계국의 김영태 팀장과 박진호 조사역은 `가계소득 현황 및 시사점` 보고서를 통해 1990년대 이후 우리나라의 가계소득은 미국·독일 등 주요 선진국과 달리 국민총소득(GNI)에 비해 상대적으로 증가세가 뚜렷하게 둔화됐다고 분석했습니다.
우리나라의 1991~2011년 중 가계소득 증가율은 연 8.5%로 GNI 증가율 9.3%에 미치지 못하면서 가계소득/GNI비율이 큰 폭으로 하락했다고 밝혔습니다. 우리나라 GNI대비 가계소득은 1990년 71.5%였지만 2011년에는 61.6%로 하락했습니다.
미국과 독일 등 OECD 평균은 73.1%에서 69%로 4.1%p 하락하는데 그쳤습니다.
이는 OECD 선진국들보다 우리나라의 가계소득 분배가 불공평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더불어 우리나라 GNI대비 기업소득은 늘고 있습니다. 1990년 16.1%에서 2011년 24.1%로 크게 상승했습니다.가계와 달리 기업들의 이익은 증가한다는 분석입니다.
한국은행은 가계소득 증가세 둔화는 "가계의 재정건전성을 약화시키면서 소비수준 저조, 가계저축률 하락,소비변동성 심화, 투자 증가 둔화 등을 초래해 내수부진과 체감경기 악화요인으로 작용"한다고 밝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