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우리나라의 금 보유량이 대폭 늘어난 것으로 드러났다.
14일 세계금위원회(WGC)에 따르면 한국의 금 보유량은 84.4t으로 조사 대상 100개국 가운데 36위다. 미국 달러로 환산한 금 보유량은 12월 기준 44억9천770만 달러로 외화보유액(3천269억7천만 달러)의 1.4% 수준이다.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달러화 위상이 흔들리자 한국은행은 2011년 13년 만에 처음으로 금 40t을 사들였다. 지난해 7월과 11월에는 각각 16t, 14t을 추가로 매입했다. 이로써 한국의 금 보유량 순위는 2011년 7월 56위에서 올해 2월 36위로 치솟았다.
국제사회의 금 매입 속도는 더욱 빨라질 것으로 전망된다. 지난해 9월 유럽중앙은행의 무제한 국채매입프로그램(OMT), 미국 연방준비제도의 3차 양적완화, 일본 중앙은행의 자산매입기금 확대 등 선진국의 잇따른 `돈 풀기`로 글로벌 환율전쟁이 심해지면서 실물 자산 수요가 커졌기 때문이다.
한편, 국가ㆍ국제기구별 공식 금 보유량은 미국이 8천133.5t으로 가장 많다. 그 다음이 독일 3천391.3t, 국제통화기금(IMF) 2천814t, 이탈리아 2천451.8t, 프랑스 2천435.4t, 중국 1천54.1t 순이다. 전 세계 금 보유량 총계는 3만1천357.6t이다.
14일 세계금위원회(WGC)에 따르면 한국의 금 보유량은 84.4t으로 조사 대상 100개국 가운데 36위다. 미국 달러로 환산한 금 보유량은 12월 기준 44억9천770만 달러로 외화보유액(3천269억7천만 달러)의 1.4% 수준이다.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달러화 위상이 흔들리자 한국은행은 2011년 13년 만에 처음으로 금 40t을 사들였다. 지난해 7월과 11월에는 각각 16t, 14t을 추가로 매입했다. 이로써 한국의 금 보유량 순위는 2011년 7월 56위에서 올해 2월 36위로 치솟았다.
국제사회의 금 매입 속도는 더욱 빨라질 것으로 전망된다. 지난해 9월 유럽중앙은행의 무제한 국채매입프로그램(OMT), 미국 연방준비제도의 3차 양적완화, 일본 중앙은행의 자산매입기금 확대 등 선진국의 잇따른 `돈 풀기`로 글로벌 환율전쟁이 심해지면서 실물 자산 수요가 커졌기 때문이다.
한편, 국가ㆍ국제기구별 공식 금 보유량은 미국이 8천133.5t으로 가장 많다. 그 다음이 독일 3천391.3t, 국제통화기금(IMF) 2천814t, 이탈리아 2천451.8t, 프랑스 2천435.4t, 중국 1천54.1t 순이다. 전 세계 금 보유량 총계는 3만1천357.6t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