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작년 5월부터 논의해 온 6차 전력수급기본계획이 마침내 확정됐습니다. 지경부는 신규 원전 도입을 일단 유보하고, 대신 신재생에너지와 화력 발전소 비중을 높게 책정했습니다. 유기환 기자의 보도입니다.
<기자> 6차 전력수급 내용 중 가장 먼저 눈에 띄는 것은 원전과 관련된 부분입니다.
<스탠딩> 발표된 전력수급 기본계획에는 원전 신규 건설 계획은 일단 유보됐습니다. 대신 신규 발전소 중 화력발전소 비중이 절반이 넘습니다.
6차 계획에는 5차 계획에 이미 반영된 한수원의 원전 11기를 제외한 새로운 원전 건설 계획은 포함되지 않았습니다.
반면 화력발전소는 2027년까지 새로 지을 약 3만 MW 규모의 발전소 중 1만 5천 MW를 차지합니다.
하지만 지경부는 석탄화력 발전으로 인한 온실가스 배출량을 줄이기 위해서는 원전 외의 대안이 없음을 강조해 신규 원전 도입의 여지를 남겼습니다.
<인터뷰> 조석 지경부 차관
“석탄화력 줄이고 배출권 줄이려면 대안이 원자력이지 않나. 그것을 대안을 원자력으로 가져가지 않고 가스로 가져가면 비용 부담이 커진다. 이런 상황이어서 일단은 그런 얘기를 설명하고 협의하고 있다.”
신재생에너지 비중을 높인 점 역시 이번 전력수급 계획의 특징입니다.
2008년 수립된 1차 국가에너지기본계획에서는 2027년까지 신재생에너지 발전량 비중이 7%였지만, 이번 계획에서는 12%로 확대됐습니다.
이를 통해 2027년에는 각 발전설비 용량의 비율이 20% 내외가 되도록 만들겠다는 계획입니다
지경부는 전력소비량이 2027년까지 연평균 2.2% 증가할 것이란 분석을 내놨는데, 이는 기준수요에서 전력소비량 15%를 감축한다는 전제를 반영한 결과입니다.
과거 수요관리 예상치를 지나치게 높게 잡아 전력난을 유발했다는 비판이 있었지만, 그럼에도 종전과 비슷한 감축 목표를 세운 것입니다.
만약 이 같은 전력사용 감축 예상이 빗나갈 경우, 원전 2기를 비롯한 1만 4천 MW 규모의 유보된 발전설비 건설 계획에 언제든 변동이 생길 수 있는 상황입니다.
원전 비중을 줄이고 신재생에너지 비중을 확대한 제 6차 전력수급계획. 하지만 석탄 화력 증가로 인한 온실가스 배출과, 무리하게 축소한 수요 예측 등은 새롭게 해결해야 할 과제로 떠올랐습니다.
한국경제TV 유기환입니다.
<기자> 6차 전력수급 내용 중 가장 먼저 눈에 띄는 것은 원전과 관련된 부분입니다.
<스탠딩> 발표된 전력수급 기본계획에는 원전 신규 건설 계획은 일단 유보됐습니다. 대신 신규 발전소 중 화력발전소 비중이 절반이 넘습니다.
6차 계획에는 5차 계획에 이미 반영된 한수원의 원전 11기를 제외한 새로운 원전 건설 계획은 포함되지 않았습니다.
반면 화력발전소는 2027년까지 새로 지을 약 3만 MW 규모의 발전소 중 1만 5천 MW를 차지합니다.
하지만 지경부는 석탄화력 발전으로 인한 온실가스 배출량을 줄이기 위해서는 원전 외의 대안이 없음을 강조해 신규 원전 도입의 여지를 남겼습니다.
<인터뷰> 조석 지경부 차관
“석탄화력 줄이고 배출권 줄이려면 대안이 원자력이지 않나. 그것을 대안을 원자력으로 가져가지 않고 가스로 가져가면 비용 부담이 커진다. 이런 상황이어서 일단은 그런 얘기를 설명하고 협의하고 있다.”
신재생에너지 비중을 높인 점 역시 이번 전력수급 계획의 특징입니다.
2008년 수립된 1차 국가에너지기본계획에서는 2027년까지 신재생에너지 발전량 비중이 7%였지만, 이번 계획에서는 12%로 확대됐습니다.
이를 통해 2027년에는 각 발전설비 용량의 비율이 20% 내외가 되도록 만들겠다는 계획입니다
지경부는 전력소비량이 2027년까지 연평균 2.2% 증가할 것이란 분석을 내놨는데, 이는 기준수요에서 전력소비량 15%를 감축한다는 전제를 반영한 결과입니다.
과거 수요관리 예상치를 지나치게 높게 잡아 전력난을 유발했다는 비판이 있었지만, 그럼에도 종전과 비슷한 감축 목표를 세운 것입니다.
만약 이 같은 전력사용 감축 예상이 빗나갈 경우, 원전 2기를 비롯한 1만 4천 MW 규모의 유보된 발전설비 건설 계획에 언제든 변동이 생길 수 있는 상황입니다.
원전 비중을 줄이고 신재생에너지 비중을 확대한 제 6차 전력수급계획. 하지만 석탄 화력 증가로 인한 온실가스 배출과, 무리하게 축소한 수요 예측 등은 새롭게 해결해야 할 과제로 떠올랐습니다.
한국경제TV 유기환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