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증권업계 위기의 가장 큰 원인은 위탁매매 수수료에 의존한 `천수답 수익구조`를 꼽을 수 있습니다.
업계 안팎에서는 단순히 지수 상승, 또는 정부의 증시 활성화 대책만 기다리기 보다 증권사 스스로 새로운 성장 활로를 모색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습니다.
이어서 조연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주식거래대금 급감. 평균 0.015%의 수수료. 위탁매매에 편중된 수익구조. 국회에 묶여있는 자본시장법 개정안까지.
`저수익 구조`란 덫에 걸린 증권업계는 좀처럼 뚜렷한 탈출구를 찾지 못하고 있습니다.
올해 들어 국내 증시는 선진국 증시와 디커플링 현상을 보이며 좁은 박스권 흐름을 지속했고, 이 결과 주식거래는 예년의 절반 수준으로 줄었습니다.
지난달 유가증권시장의 하루 평균 거래대금은 3조8307억원으로 2월에 이어 두 달 연속 4조원을 밑돌았습니다.
주식 거래대금이 4조원 아래로 떨어진 것은 2008년 8월 이후 처음이며 이 같은 흐름을 두 달째 이어간 것은 2007년 2∼3월 이후 처음입니다.
거래대금 감소는 바로 증권사의 이익 축소로 직결됐습니다.
증권사 수익에서 위탁매매 수수료가 차지하는 비중은 49.2%. 반면 최근 몇 년간 증권사들이 신사업으로 추진해온 IB나 펀드판매, 자산관리 부분은 아직도 5%를 넘기지 못하고 있습니다.
과거에 비해 개선된 편이지만 미국(21.6%), 일본(15.8%) 등 선진국에 비교하면 아직 갈 길이 멉니다.
전문가들은 앞으로 인구 고령화에 따라 소득대체, 장수 위험관리 등 은퇴준비를 위한 다양한 서비스가 필요할 것이라며 점차 자산관리 사업 강화로 위탁매매 시장 위축을 대응해야 한다고 조언합니다.
또 단순히 과거처럼 지수 상승이 증권주 실적으로 가시화되지 않을 가능성이 높다며, 추세적 상승을 위해서는 새로운 먹거리를 다지기 위한 증권사 자체적인 노력이 절실하다고 지적하고 있습니다.
<인터뷰> 김갑래 자본시장연구원 실장
"한국 증권업계 가장 큰 문제는 위탁매매위주의 수익구조다. 다양한 비즈니스 발굴이 필요하다. 제도적인 개선에 앞서 증권사 스스로의 경영 혁신을 일으키든지, 새 비즈니스를 찾는 노력이 중요하다."
대형 투자은행 도입을 골자로 한 자본시장법 개정안이 국회 처리를 눈 앞에 두고 있지만, 이 또한 국내 증권사들의 준비된 실력과 피나는 노력이 없다면 별다른 성장동력이 되지 못할 것이란 우려도 제기되고 있습니다.
봄 기운이 완연한 여의도 거리와 달리 증권가는 사상 최악의 위기란 찬바람만 여전히 불고 있습니다.
한국경제 TV 조연입니다.
증권업계 위기의 가장 큰 원인은 위탁매매 수수료에 의존한 `천수답 수익구조`를 꼽을 수 있습니다.
업계 안팎에서는 단순히 지수 상승, 또는 정부의 증시 활성화 대책만 기다리기 보다 증권사 스스로 새로운 성장 활로를 모색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습니다.
이어서 조연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주식거래대금 급감. 평균 0.015%의 수수료. 위탁매매에 편중된 수익구조. 국회에 묶여있는 자본시장법 개정안까지.
`저수익 구조`란 덫에 걸린 증권업계는 좀처럼 뚜렷한 탈출구를 찾지 못하고 있습니다.
올해 들어 국내 증시는 선진국 증시와 디커플링 현상을 보이며 좁은 박스권 흐름을 지속했고, 이 결과 주식거래는 예년의 절반 수준으로 줄었습니다.
지난달 유가증권시장의 하루 평균 거래대금은 3조8307억원으로 2월에 이어 두 달 연속 4조원을 밑돌았습니다.
주식 거래대금이 4조원 아래로 떨어진 것은 2008년 8월 이후 처음이며 이 같은 흐름을 두 달째 이어간 것은 2007년 2∼3월 이후 처음입니다.
거래대금 감소는 바로 증권사의 이익 축소로 직결됐습니다.
증권사 수익에서 위탁매매 수수료가 차지하는 비중은 49.2%. 반면 최근 몇 년간 증권사들이 신사업으로 추진해온 IB나 펀드판매, 자산관리 부분은 아직도 5%를 넘기지 못하고 있습니다.
과거에 비해 개선된 편이지만 미국(21.6%), 일본(15.8%) 등 선진국에 비교하면 아직 갈 길이 멉니다.
전문가들은 앞으로 인구 고령화에 따라 소득대체, 장수 위험관리 등 은퇴준비를 위한 다양한 서비스가 필요할 것이라며 점차 자산관리 사업 강화로 위탁매매 시장 위축을 대응해야 한다고 조언합니다.
또 단순히 과거처럼 지수 상승이 증권주 실적으로 가시화되지 않을 가능성이 높다며, 추세적 상승을 위해서는 새로운 먹거리를 다지기 위한 증권사 자체적인 노력이 절실하다고 지적하고 있습니다.
<인터뷰> 김갑래 자본시장연구원 실장
"한국 증권업계 가장 큰 문제는 위탁매매위주의 수익구조다. 다양한 비즈니스 발굴이 필요하다. 제도적인 개선에 앞서 증권사 스스로의 경영 혁신을 일으키든지, 새 비즈니스를 찾는 노력이 중요하다."
대형 투자은행 도입을 골자로 한 자본시장법 개정안이 국회 처리를 눈 앞에 두고 있지만, 이 또한 국내 증권사들의 준비된 실력과 피나는 노력이 없다면 별다른 성장동력이 되지 못할 것이란 우려도 제기되고 있습니다.
봄 기운이 완연한 여의도 거리와 달리 증권가는 사상 최악의 위기란 찬바람만 여전히 불고 있습니다.
한국경제 TV 조연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