굿모닝 투자의 아침 2부 - 데일리 이슈 리포트
대한금융경제연구소 정명수 > 지표가 좋지 않기 때문에 각국이 부양책을 내놓을 것이라는 기대감이 오히려 커지고 있다. 중국의 경우도 마찬가지다. HSBC가 발표한 4월 중국 제조업 PMI가 50.5를 기록해 지난달 51.6에 비해 1.1포인트 떨어졌다. 블룸버그가 조사한 전문가 예상치 51.5에 비해서도 1포인트 정도 낮다.
물론 PMI가 50을 넘으면 경기확장국면을 뜻하지만 그 추세가 우려를 낳고 있다. 제조업 경기 둔화는 국내의 수요 부진이 반영된 결과로 보인다. 신규 수출주문지수가 지난달 50.5에서 이달에는 48.6으로 크게 떨어진 것이 가장 큰 영향을 미쳤다.
사실 중국은 지난 1분기에 시중에 돈을 많이 풀었다. 돈을 풀어도 경기가 탄력을 받지 못하니 더 강한 정책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있는가 하면 성장을 다소 포기하더라도 중국의 경제 체질을 바꿔야 한다는 시각도 있어 향후 중국정부의 정책 카드를 봐야 할 것이다.
금리 인하에 대한 주장이 힘을 받는 모습이다. 영국의 시장조사기관인 마킷 사가 집계하는 4월의 미국 구매관리자지수, PMI는 52를 기록했다. 3월 확정치 54.6은 물론이고 시장 예상치 54를 모두 밑돌았다. 유로존의 구매관리자지수도 전달과 같은 46.5를 기록했다. 전문가 예상치 46.4보다 약간 높았지만 제조업 PMI는 4개월 만에 가장 낮은 46.59로 내려앉았다. 특히 독일의 경기부진이 두드러졌다. 독일의 4월 복합 PMI는 6개월 만에 최저치인 48.8까지 미끄러졌다.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G20 성명에서도 경제성장과 일자리 창출을 위한 결의를 재확인한다는 문장이 제일 앞에 나왔다. 주요국 재무장관들과 중앙은행장이 성장에 대한 공감대를 만들어가고 있다고 볼 수 있다. 그런 뜻에서 현재 일본의 양적, 질적완화 정책도 추인을 해준 것이다.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경제정책의 초점은 재정건전화, 부채축소, 이른바 디레버리징에 맞춰졌는데 이제는 긴축보다 성장에 주력해야 하는 것이 아니냐는 주장이 힘을 받고 있다. 양적완화와 같은 통화정책으로는 힘에 부치니 재정정책도 보다 적극적으로 구사해야 한다는 생각을 하기 시작한 것이다.
G20에서도 우리나라의 추경에 대해 긍정적인 코멘트가 나왔다. 특히 긴축정책에 대해 완고한 입장이었던 독일의 태도가 바뀌고 있다는 점을 주목해야 한다. 중국도 유동성 공급만으로는 성장에 한계가 느끼고 있으니 2009년과 같은 대규모 부양책이 마련되기는 어렵겠지만 글로벌 공조 분위기에 편승해 정부 차원의 재정정책이 나올 가능성은 있다.
대한금융경제연구소 정명수 > 지표가 좋지 않기 때문에 각국이 부양책을 내놓을 것이라는 기대감이 오히려 커지고 있다. 중국의 경우도 마찬가지다. HSBC가 발표한 4월 중국 제조업 PMI가 50.5를 기록해 지난달 51.6에 비해 1.1포인트 떨어졌다. 블룸버그가 조사한 전문가 예상치 51.5에 비해서도 1포인트 정도 낮다.
물론 PMI가 50을 넘으면 경기확장국면을 뜻하지만 그 추세가 우려를 낳고 있다. 제조업 경기 둔화는 국내의 수요 부진이 반영된 결과로 보인다. 신규 수출주문지수가 지난달 50.5에서 이달에는 48.6으로 크게 떨어진 것이 가장 큰 영향을 미쳤다.
사실 중국은 지난 1분기에 시중에 돈을 많이 풀었다. 돈을 풀어도 경기가 탄력을 받지 못하니 더 강한 정책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있는가 하면 성장을 다소 포기하더라도 중국의 경제 체질을 바꿔야 한다는 시각도 있어 향후 중국정부의 정책 카드를 봐야 할 것이다.
금리 인하에 대한 주장이 힘을 받는 모습이다. 영국의 시장조사기관인 마킷 사가 집계하는 4월의 미국 구매관리자지수, PMI는 52를 기록했다. 3월 확정치 54.6은 물론이고 시장 예상치 54를 모두 밑돌았다. 유로존의 구매관리자지수도 전달과 같은 46.5를 기록했다. 전문가 예상치 46.4보다 약간 높았지만 제조업 PMI는 4개월 만에 가장 낮은 46.59로 내려앉았다. 특히 독일의 경기부진이 두드러졌다. 독일의 4월 복합 PMI는 6개월 만에 최저치인 48.8까지 미끄러졌다.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G20 성명에서도 경제성장과 일자리 창출을 위한 결의를 재확인한다는 문장이 제일 앞에 나왔다. 주요국 재무장관들과 중앙은행장이 성장에 대한 공감대를 만들어가고 있다고 볼 수 있다. 그런 뜻에서 현재 일본의 양적, 질적완화 정책도 추인을 해준 것이다.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경제정책의 초점은 재정건전화, 부채축소, 이른바 디레버리징에 맞춰졌는데 이제는 긴축보다 성장에 주력해야 하는 것이 아니냐는 주장이 힘을 받고 있다. 양적완화와 같은 통화정책으로는 힘에 부치니 재정정책도 보다 적극적으로 구사해야 한다는 생각을 하기 시작한 것이다.
G20에서도 우리나라의 추경에 대해 긍정적인 코멘트가 나왔다. 특히 긴축정책에 대해 완고한 입장이었던 독일의 태도가 바뀌고 있다는 점을 주목해야 한다. 중국도 유동성 공급만으로는 성장에 한계가 느끼고 있으니 2009년과 같은 대규모 부양책이 마련되기는 어렵겠지만 글로벌 공조 분위기에 편승해 정부 차원의 재정정책이 나올 가능성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