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최근 일부 택배기사들이 배송거부에 들어가면서 물류업계의 구조적 문제가 불거지고 있습니다.
DHL, 페덱스와 같은 세계적인 물류기업을 키우겠다던 정부의 정책과는 동떨어진 모습인데요.
우리나라 택배산업의 문제점은 무엇인지 정봉구 기자가 짚어봤습니다.
<기자> TV홈쇼핑과 인터넷쇼핑에 이어 최근에는 모바일쇼핑까지 등장하면서 국내 택배시장은 급속하게 성장했습니다.
한진택배가 사업을 개시한 1992년 200억원에 불과했던 택배 시장은 2001년 1조원 규모에 근접했고 2011년에는 3조3천억원을 넘었습니다.
시장이 커지는 상황에서 경쟁은 치열해졌고 2006년부터 택배단가는 하락세를 면치 못했습니다. 미국(1만원)과 일본(7천원) 등 선진국에 비해 턱없이 낮은 수준입니다.
올 1분기 기준 국내 택배 선두업체들의 영업이익률은 2%대로 떨어졌습니다. (CJ대한통운 2.2%, 한진 2.7%)
빅3로 분류되는 현대로지스틱스(-532억원)와 한진(-105억원) 지난해 당기순손실을 기록했고 중견 택배사들의 경우 상황은 더 좋지 않습니다. (KG엘로우캡 -57억원, 동부택배 -196억원)
치열한 경쟁으로 인한 수익성 악화로 택배회사들은 택배기사들에 고통 분담을 요구했습니다.
최근 CJ대한통운의 일부 택배기사들이 운임 수수료 인하를 이유로 운행을 거부한 것도 이처럼 국내 택배산업이 빠르고 치열하게 커지는 과정에서의 구조적인 배경이 작용했습니다.
운임 단가가 떨어지면서 택배업계에서는 근로자의 최저임금과 같이 최저운임을 정하고 거리와 무게 등에 따라 요금을 매기는 표준운임제 도입을 요구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화물주와 물류회사, 소비자 사이의 시장경쟁에 따른 자율적인 요금 책정 구조를 훼손하고 택배업계만 배불릴 것이라는 비판이 일면서 보류 상태입니다.
현재 택배산업에 적용되는 화물자동차 운수사업법과 별도로 택배업종에만 적용되는 이른바 택배업법을 도입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18대 국회 이후 잠잠합니다.
이명박 전 대통령이 2011년 택배 현장을 찾아 간담회를 진행하며 세계적인 물류기업을 키우겠다는 목표 아래 택배산업의 발전 논의가 속도를 내나 싶었지만 여전히 제대로 된 법과 제도 조차 마련되지 못한 현실입니다.
한국경제TV 정봉구입니다.
DHL, 페덱스와 같은 세계적인 물류기업을 키우겠다던 정부의 정책과는 동떨어진 모습인데요.
우리나라 택배산업의 문제점은 무엇인지 정봉구 기자가 짚어봤습니다.
<기자> TV홈쇼핑과 인터넷쇼핑에 이어 최근에는 모바일쇼핑까지 등장하면서 국내 택배시장은 급속하게 성장했습니다.
한진택배가 사업을 개시한 1992년 200억원에 불과했던 택배 시장은 2001년 1조원 규모에 근접했고 2011년에는 3조3천억원을 넘었습니다.
시장이 커지는 상황에서 경쟁은 치열해졌고 2006년부터 택배단가는 하락세를 면치 못했습니다. 미국(1만원)과 일본(7천원) 등 선진국에 비해 턱없이 낮은 수준입니다.
올 1분기 기준 국내 택배 선두업체들의 영업이익률은 2%대로 떨어졌습니다. (CJ대한통운 2.2%, 한진 2.7%)
빅3로 분류되는 현대로지스틱스(-532억원)와 한진(-105억원) 지난해 당기순손실을 기록했고 중견 택배사들의 경우 상황은 더 좋지 않습니다. (KG엘로우캡 -57억원, 동부택배 -196억원)
치열한 경쟁으로 인한 수익성 악화로 택배회사들은 택배기사들에 고통 분담을 요구했습니다.
최근 CJ대한통운의 일부 택배기사들이 운임 수수료 인하를 이유로 운행을 거부한 것도 이처럼 국내 택배산업이 빠르고 치열하게 커지는 과정에서의 구조적인 배경이 작용했습니다.
운임 단가가 떨어지면서 택배업계에서는 근로자의 최저임금과 같이 최저운임을 정하고 거리와 무게 등에 따라 요금을 매기는 표준운임제 도입을 요구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화물주와 물류회사, 소비자 사이의 시장경쟁에 따른 자율적인 요금 책정 구조를 훼손하고 택배업계만 배불릴 것이라는 비판이 일면서 보류 상태입니다.
현재 택배산업에 적용되는 화물자동차 운수사업법과 별도로 택배업종에만 적용되는 이른바 택배업법을 도입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18대 국회 이후 잠잠합니다.
이명박 전 대통령이 2011년 택배 현장을 찾아 간담회를 진행하며 세계적인 물류기업을 키우겠다는 목표 아래 택배산업의 발전 논의가 속도를 내나 싶었지만 여전히 제대로 된 법과 제도 조차 마련되지 못한 현실입니다.
한국경제TV 정봉구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