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수님께 낸 수수께끼 사진이 화제다.
(교수님께 낸 수수께끼, 사진=온라인 게시판)
최근 한 온라인 게시판에는 `교수님께 낸 수수께끼`라는 제목의 게시물이 올라왔다.
공개된 사진은 한 대학 조류관련학과 시험 도중 학생과 교수가 나눈 대화의 내용을 담고 있다.
한 대학의 교수가 새 다리 사진만을 보고 새 이름을 맞혀야 하는 시험 문제를 출제했다.
이에 시험을 보던 한 학생이 "교수님, 이건 너무하는 것 아닙니까"라고 말하자 교수가 "자네 이름이 뭔가?"라고 되묻는다.
격분한 학생은 다리 한 쪽을 내밀면서 "맞혀보시죠"라며 시험 문제에 나온 것과 같은 방식으로 대응해 웃음을 자아낸다.
하지만 이 게시물은 대학생이 올렸다고 하기에는 심각할 정도로 맞춤법이 맞지 않아 `자작`의 냄새가 난다.
원 글에 사용된 `맞추다`는 전부 `맞히다`로 수정돼야 옳다. `맞추다`는 `다른 어떤 대상을 닿게 하다` 혹은 `둘 이상의 여러 대상을 나열해 놓고 비교해 보다` 등의 뜻을 지니고 있다.
위 글에서처럼 `정답을 알아내다`는 뜻으로 쓰일 때는 `맞다`의 사동형인 `맞히다`를 사용하는 것이 적절한 표현이다.
`너무하는거`라는 표현도 틀렸다. `너무하는 거`로 띄어써야 한다. `거`는 `것`의 구어체다. `것`은 의존명사다. 의존명사는 `때리는 것` `먹는 것`, `사는 것` 등으로 앞말과 띄어써야 한다.
한편, 해당 사연을 접한 누리꾼들은 "맞춤법도 모르는 게 감히 교수님을 희롱하다니", "근데 기자양반 이건 뭐하러 조사했수?", "쓸데없는 데 힘빼고 있네" 등의 반응을 보였다.
(교수님께 낸 수수께끼, 사진=온라인 게시판)
최근 한 온라인 게시판에는 `교수님께 낸 수수께끼`라는 제목의 게시물이 올라왔다.
공개된 사진은 한 대학 조류관련학과 시험 도중 학생과 교수가 나눈 대화의 내용을 담고 있다.
한 대학의 교수가 새 다리 사진만을 보고 새 이름을 맞혀야 하는 시험 문제를 출제했다.
이에 시험을 보던 한 학생이 "교수님, 이건 너무하는 것 아닙니까"라고 말하자 교수가 "자네 이름이 뭔가?"라고 되묻는다.
격분한 학생은 다리 한 쪽을 내밀면서 "맞혀보시죠"라며 시험 문제에 나온 것과 같은 방식으로 대응해 웃음을 자아낸다.
하지만 이 게시물은 대학생이 올렸다고 하기에는 심각할 정도로 맞춤법이 맞지 않아 `자작`의 냄새가 난다.
원 글에 사용된 `맞추다`는 전부 `맞히다`로 수정돼야 옳다. `맞추다`는 `다른 어떤 대상을 닿게 하다` 혹은 `둘 이상의 여러 대상을 나열해 놓고 비교해 보다` 등의 뜻을 지니고 있다.
위 글에서처럼 `정답을 알아내다`는 뜻으로 쓰일 때는 `맞다`의 사동형인 `맞히다`를 사용하는 것이 적절한 표현이다.
`너무하는거`라는 표현도 틀렸다. `너무하는 거`로 띄어써야 한다. `거`는 `것`의 구어체다. `것`은 의존명사다. 의존명사는 `때리는 것` `먹는 것`, `사는 것` 등으로 앞말과 띄어써야 한다.
한편, 해당 사연을 접한 누리꾼들은 "맞춤법도 모르는 게 감히 교수님을 희롱하다니", "근데 기자양반 이건 뭐하러 조사했수?", "쓸데없는 데 힘빼고 있네" 등의 반응을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