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동양사태로 CP와 회사채시장이 위축되며 기업들의 자금조달 창구가 닫힌 상태입니다. 은행권은 연말까지는 채권회수를 하지 않을 방침이지만 내년에 도래하는 만기 규모가 만만치 않아 또 다른 우려를 낳고 있습니다. 보도에 김정필 기자입니다.
<기자>
기업들의 자금조달 창구인 CP와 회사채시장이 동양그룹 사태로 크게 흔들리고 있습니다.
최근 등급 ‘A’의 건설사 등 기업들이 만기 채권 상환을 위해 수 천억원대의 회사채를 발행하려 했지만 투자자를 찾지 못해 발행을 포기하는 등 고배를 마신 것도 동양사태의 연장선상입니다.
<인터뷰> A 시중은행 여신담당 부행장
“그쪽 회사채·CP시장 얼어붙은 것 사실이다. 그렇다고 지금 문제되는 것은 새로 회사채 발행해서 자금조달하는 게 아니라 기존에 발행해서 차환이 안돼는 것이 문제”
동양사태 이후 회사채 시장은 거래대금이 급감했고 우량 회사채와 비우량 회사채간 양극화는 더욱 심화되며 ‘BBB’이하는 물론이고 우량등급의 기업들조차 자금 조달에 어려움을 겪을 정도입니다.
동양사태의 주범인 CP의 경우 만기가 절반으로 줄었고 금융당국이 24일부터 투자부적격 회사채나 CP에 대한 권유를 제한하는 등 규제에 나서면서 추가적인 시장 위축이 불가피한 상황입니다.
이런 가운데 은행권은 부실징후 기업들에 대한 여신건전성을 다시 검토하는 등 위험관리에 나서는 모양새지만 일단 연말까지는 채권회수 만큼은 하지 않는다는 방침입니다.
<인터뷰> B시중은행 여신담당 부행장
“줄이려고 채권 회수하려고 하면 여론의 뭇매 맞을 것이고 어려운데 도와주지 못할망정 사회적 분위기가 동양 터졌는데 하나 더 터지면 파장크고 시장이 굉장히 어려워질 것”
금융권에서는 올해까지는 추가적인 위기나 유동성 문제가 확산되지는 않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지만 문제는 상반기 8조3천억원, 30대기업 회사채 29조원의 만기가 도래하는 내년입니다.
기업들의 자금조달에 숨통을 터주지 못할 경우 제2, 제3의 동양사태로까지 불거질 수 있다는 것입니다.
기업들의 자금조달 창구 중 회사채와 CP가 차지하는 비중이 30%에 육박하는 상황에서 정부가 회사채 양극화에 따른 금융시장 경색을 우려해 대책을 내놓고 있지만 효과는 의문입니다.
일부 기업은 유동성 위기를 인정하는 신속인수제 신청을 통해 최악은 모면해 보려 하지만 대안이 될 수 없는 만큼 당국이 유동성 공급 등 현실적이고 실효성 높은 대책 마련을 서둘러야 한다는 지적입니다.
제2의 동양사태를 막기 위한 관리감독, 규제와 함께 회사채 차환 리스크 경감, 양극화 완화, 유동성 압박이 극심한 건설과 해운, 조선업, 중소기업을 위한 자금조달 방안 마련이 급선무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한국경제TV 김정필입니다.
동양사태로 CP와 회사채시장이 위축되며 기업들의 자금조달 창구가 닫힌 상태입니다. 은행권은 연말까지는 채권회수를 하지 않을 방침이지만 내년에 도래하는 만기 규모가 만만치 않아 또 다른 우려를 낳고 있습니다. 보도에 김정필 기자입니다.
<기자>
기업들의 자금조달 창구인 CP와 회사채시장이 동양그룹 사태로 크게 흔들리고 있습니다.
최근 등급 ‘A’의 건설사 등 기업들이 만기 채권 상환을 위해 수 천억원대의 회사채를 발행하려 했지만 투자자를 찾지 못해 발행을 포기하는 등 고배를 마신 것도 동양사태의 연장선상입니다.
<인터뷰> A 시중은행 여신담당 부행장
“그쪽 회사채·CP시장 얼어붙은 것 사실이다. 그렇다고 지금 문제되는 것은 새로 회사채 발행해서 자금조달하는 게 아니라 기존에 발행해서 차환이 안돼는 것이 문제”
동양사태 이후 회사채 시장은 거래대금이 급감했고 우량 회사채와 비우량 회사채간 양극화는 더욱 심화되며 ‘BBB’이하는 물론이고 우량등급의 기업들조차 자금 조달에 어려움을 겪을 정도입니다.
동양사태의 주범인 CP의 경우 만기가 절반으로 줄었고 금융당국이 24일부터 투자부적격 회사채나 CP에 대한 권유를 제한하는 등 규제에 나서면서 추가적인 시장 위축이 불가피한 상황입니다.
이런 가운데 은행권은 부실징후 기업들에 대한 여신건전성을 다시 검토하는 등 위험관리에 나서는 모양새지만 일단 연말까지는 채권회수 만큼은 하지 않는다는 방침입니다.
<인터뷰> B시중은행 여신담당 부행장
“줄이려고 채권 회수하려고 하면 여론의 뭇매 맞을 것이고 어려운데 도와주지 못할망정 사회적 분위기가 동양 터졌는데 하나 더 터지면 파장크고 시장이 굉장히 어려워질 것”
금융권에서는 올해까지는 추가적인 위기나 유동성 문제가 확산되지는 않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지만 문제는 상반기 8조3천억원, 30대기업 회사채 29조원의 만기가 도래하는 내년입니다.
기업들의 자금조달에 숨통을 터주지 못할 경우 제2, 제3의 동양사태로까지 불거질 수 있다는 것입니다.
기업들의 자금조달 창구 중 회사채와 CP가 차지하는 비중이 30%에 육박하는 상황에서 정부가 회사채 양극화에 따른 금융시장 경색을 우려해 대책을 내놓고 있지만 효과는 의문입니다.
일부 기업은 유동성 위기를 인정하는 신속인수제 신청을 통해 최악은 모면해 보려 하지만 대안이 될 수 없는 만큼 당국이 유동성 공급 등 현실적이고 실효성 높은 대책 마련을 서둘러야 한다는 지적입니다.
제2의 동양사태를 막기 위한 관리감독, 규제와 함께 회사채 차환 리스크 경감, 양극화 완화, 유동성 압박이 극심한 건설과 해운, 조선업, 중소기업을 위한 자금조달 방안 마련이 급선무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한국경제TV 김정필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