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주요 20개국(G20) 재무장관·중앙은행 총재들이 세계경제 대전환기에 대응해 3대 정책공조 방안에 합의했습니다.
통화정책시 세계 경제에 미치는 영향에 유의해 신중히 조정하고, 5년 뒤인 2018년 G20 회원국의 경제성장률을 지금 보다 2%포인트 이상 끌어올리기로 약속했습니다. 신선미 기자입니다.
<기자> 주요 20개국(G20) 재무장관·중앙은행 총재들이 미국의 양적완화 축소에 따른 부작용을 줄이고 잠재성장률을 높이기 위한 3가지 정책공조에 합의했습니다.
세계경제가 회복조짐을 보이고 있으나, 여전히 낮은 경제성장률, 금융 시장 변동성 확대 등 도전요인이 상존해 있다며 의견을 같이 한데 따른 결과입니다.
우선 참가국들은 통화정책 이행시 지속적으로 정보를 교환하고, 세계 경제에 미치는 영향에 유의해 신중히 조정하기로 했습니다.
또 국제기구에 오는 4월 회의까지 미 양적완화 축소 등에 따른 다양한 거시경제 시나리오를 분석해 정책공조 논의를 지원해 줄 것을 요청하기로 했습니다.
이 외에도 G20 국가들은 GDP를 앞으로 5년 동안 현재 추세보다 2% 이상씩 높이는 것을 목표로 `종합적 성장전략`을 마련하기로 약속했습니다.
투자 확대, 고용·노동 참여 제고, 무역 증진 등 성장잠재력을 높이기 위한 구조개혁에 중점을 둔다는 방침입니다.
이 효과로 G20 회원국들은 실질 GDP가 2조달러 이상 늘어나고, 일자리도 현저하게 증가할 것으로 기대했습니다.
이번 G20에서 한국은 공동선언문에 반영된 주요 이슈들을 제기하는 한편 선진국과 신흥국 사이에서 가교 역할을 수행했습니다.
통화정책과 관련해 현오석 부총리는 미국의 테이퍼링이 신흥국 등 글로벌 영향을 고려해 질서정연하게 추진돼야 한다고 촉구했습니다.
신흥국이 세계 GDP의 40% 이상을 차지하는 점을 고려하면 신흥국 경제 불안이 선진국의 회복을 막는 ‘역 파급효과’가 발생할 수 있다고 경고한 것입니다.
이 주장이 회원국들에게 널리 받아들여져 주요 참석자들이 직접 인용하는 등 양적완화 축소 공조에 대한 주요한 논거로 사용됐습니다.
세계경제에 대한 선제적인 리스크 관리 차원에서 시나리오 분석(컨틴전시 플랜)이 필요하다는 지적도 우리 정부가 처음으로 제기해 관철시킨 것입니다.
또 구조개혁을 위해 우리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경제혁신 3개년 계획’이 G20이 추진중인 성장전략과 연계돼 11월 G20 정상회의 주요 의제로 다루어질 전망입니다.
한국경제 TV 신선미입니다.
통화정책시 세계 경제에 미치는 영향에 유의해 신중히 조정하고, 5년 뒤인 2018년 G20 회원국의 경제성장률을 지금 보다 2%포인트 이상 끌어올리기로 약속했습니다. 신선미 기자입니다.
<기자> 주요 20개국(G20) 재무장관·중앙은행 총재들이 미국의 양적완화 축소에 따른 부작용을 줄이고 잠재성장률을 높이기 위한 3가지 정책공조에 합의했습니다.
세계경제가 회복조짐을 보이고 있으나, 여전히 낮은 경제성장률, 금융 시장 변동성 확대 등 도전요인이 상존해 있다며 의견을 같이 한데 따른 결과입니다.
우선 참가국들은 통화정책 이행시 지속적으로 정보를 교환하고, 세계 경제에 미치는 영향에 유의해 신중히 조정하기로 했습니다.
또 국제기구에 오는 4월 회의까지 미 양적완화 축소 등에 따른 다양한 거시경제 시나리오를 분석해 정책공조 논의를 지원해 줄 것을 요청하기로 했습니다.
이 외에도 G20 국가들은 GDP를 앞으로 5년 동안 현재 추세보다 2% 이상씩 높이는 것을 목표로 `종합적 성장전략`을 마련하기로 약속했습니다.
투자 확대, 고용·노동 참여 제고, 무역 증진 등 성장잠재력을 높이기 위한 구조개혁에 중점을 둔다는 방침입니다.
이 효과로 G20 회원국들은 실질 GDP가 2조달러 이상 늘어나고, 일자리도 현저하게 증가할 것으로 기대했습니다.
이번 G20에서 한국은 공동선언문에 반영된 주요 이슈들을 제기하는 한편 선진국과 신흥국 사이에서 가교 역할을 수행했습니다.
통화정책과 관련해 현오석 부총리는 미국의 테이퍼링이 신흥국 등 글로벌 영향을 고려해 질서정연하게 추진돼야 한다고 촉구했습니다.
신흥국이 세계 GDP의 40% 이상을 차지하는 점을 고려하면 신흥국 경제 불안이 선진국의 회복을 막는 ‘역 파급효과’가 발생할 수 있다고 경고한 것입니다.
이 주장이 회원국들에게 널리 받아들여져 주요 참석자들이 직접 인용하는 등 양적완화 축소 공조에 대한 주요한 논거로 사용됐습니다.
세계경제에 대한 선제적인 리스크 관리 차원에서 시나리오 분석(컨틴전시 플랜)이 필요하다는 지적도 우리 정부가 처음으로 제기해 관철시킨 것입니다.
또 구조개혁을 위해 우리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경제혁신 3개년 계획’이 G20이 추진중인 성장전략과 연계돼 11월 G20 정상회의 주요 의제로 다루어질 전망입니다.
한국경제 TV 신선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