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된 한반도의 경제규모가 2050년이면 세계 8위에 오르고 1인당 국민소득도 일본보다 높은 8만6천 달러에 이를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습니다.
전국경제인연합회가 11일 통일 분야 전문가들을 초청해 `한반도 통일, 과연 대박인가`를 주제로 개최한 포럼에서 홍순직 현대경제연구원 통일경제센터 센터장은 통일비용과 편익을 조사해 이같이 밝혔습니다.
홍 센터장은 "통일은 한국경제의 잠재성장률 급락과 외풍 구조에 취약한 구조적 문제 등을 해결하면서 지속 발전 가능한 신성장동력과 발전공간을 제공하고 내수비중 확대를 통한 안정적 성장구조 모형을 제시할 대안"이라고 주장했습니다.
또한 통일한국은 인구 7천400만명을 보유한 강국으로 노동시장과 내수시장 확대 등으로 국내총생산(GDP) 규모가 2015년 1조6천430억 달러에서 2020년 2조77억 달러, 2030년 3조2천800억 달러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했습니다.
이어 2040년엔 4조9천560억 달러로 영국과 독일을 추월하고 2050년엔 6조5천600억 달러로 세계 8위의 경제대국으로 올라선다고 전망했습니다.
이와함께 2015년에 당장 통일하면 1인당 GDP는 2만2천 달러로 주춤하겠지만 2020년에 2만8천 달러로 올라선 뒤 2030년 4만3천 달러, 2040년 6만6천 달러, 2050년 8만6천 달러까지 올라갈 것으로 예상했습니다.
홍 센터장은 통일후 대북 사회간접자본(SOC) 투자와 북한경제 재건, 북한주민 지원, 제도통합과 함께 사회혼란과 이념적 갈등, 남북 주민간 이질감 등 비용이 적지 않겠지만 장기간에 걸친 통일편익에 비해 한시적일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특히 남북이 통일되면 한국이 필요로 하는 지하자원의 절반을 북한 광물자원으로 조달해 연간 153억9천만 달러의 수입대체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습니다.
여기에 군사통합에 따라 2013년부터 2050년까지 누적 1조8천862억 달러의 국방비를 절감할 것으로 예측됐습니다.
홍 센터장은 "통일을 신성장 동력으로 삼기 위해서는 한시적으로 필요한 통일비용에 대한 부담보다는 영구히 지속되는 편익에 초점을 맞추고 통일여건 조성을 위한 비용을 `사전적 분산투자`로 생각하는 인식의 전환이 필요하다"고 강조했습니다.
전국경제인연합회가 11일 통일 분야 전문가들을 초청해 `한반도 통일, 과연 대박인가`를 주제로 개최한 포럼에서 홍순직 현대경제연구원 통일경제센터 센터장은 통일비용과 편익을 조사해 이같이 밝혔습니다.
홍 센터장은 "통일은 한국경제의 잠재성장률 급락과 외풍 구조에 취약한 구조적 문제 등을 해결하면서 지속 발전 가능한 신성장동력과 발전공간을 제공하고 내수비중 확대를 통한 안정적 성장구조 모형을 제시할 대안"이라고 주장했습니다.
또한 통일한국은 인구 7천400만명을 보유한 강국으로 노동시장과 내수시장 확대 등으로 국내총생산(GDP) 규모가 2015년 1조6천430억 달러에서 2020년 2조77억 달러, 2030년 3조2천800억 달러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했습니다.
이어 2040년엔 4조9천560억 달러로 영국과 독일을 추월하고 2050년엔 6조5천600억 달러로 세계 8위의 경제대국으로 올라선다고 전망했습니다.
이와함께 2015년에 당장 통일하면 1인당 GDP는 2만2천 달러로 주춤하겠지만 2020년에 2만8천 달러로 올라선 뒤 2030년 4만3천 달러, 2040년 6만6천 달러, 2050년 8만6천 달러까지 올라갈 것으로 예상했습니다.
홍 센터장은 통일후 대북 사회간접자본(SOC) 투자와 북한경제 재건, 북한주민 지원, 제도통합과 함께 사회혼란과 이념적 갈등, 남북 주민간 이질감 등 비용이 적지 않겠지만 장기간에 걸친 통일편익에 비해 한시적일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특히 남북이 통일되면 한국이 필요로 하는 지하자원의 절반을 북한 광물자원으로 조달해 연간 153억9천만 달러의 수입대체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습니다.
여기에 군사통합에 따라 2013년부터 2050년까지 누적 1조8천862억 달러의 국방비를 절감할 것으로 예측됐습니다.
홍 센터장은 "통일을 신성장 동력으로 삼기 위해서는 한시적으로 필요한 통일비용에 대한 부담보다는 영구히 지속되는 편익에 초점을 맞추고 통일여건 조성을 위한 비용을 `사전적 분산투자`로 생각하는 인식의 전환이 필요하다"고 강조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