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들이 이익이 줄어들자 대출 가산금리를 일제히 인상, 비난이 쏟아지고 있다.
18일 금융권에 따르면 은행들은 최근 1년간 주택담보대출(분할상환 방식)의 가산금리를 최고 0.63%P 인상한 것으로 나타났다.
가산금리는 대출금리를 결정할 때 기준금리에 붙는 것으로 은행의 마진, 대출자의 신용도, 담보가치 등이 고려 요소.
특히 한국SC은행, 한국씨티은행 등 외국계 은행의 가산금리 인상폭이 상대적으로 컸다.
SC은행의 지난달 가산금리는 평균 0.98%P로 1년 전보다 0.33%P 올랐다.
씨티은행의 평균 가산금리도 0.32%P 상승한 0.97%P다.
국내 시중은행 중에서는 국민은행이 0.19%P, 신한은행이 0.06%P, 우리은행이 0.03%P씩 가산금리를 인상했다.
지방은행의 경우도 비슷해 광주은행이 가산금리를 0.63%P 올렸고, 대구은행(0.13%P)과 부산은행(0.11%P)도 가세했다.
보다 근본적인 문제는 은행들의 가산금리 인상이 소득과 신용등급이 낮은 서민층 위주로 이뤄졌다는 것..
은행연합회가 집계한 신용등급별 가산금리 자료를 보면 저신용층인 7~10등급의 가산금리 인상폭은 최고 2.32%P에 이른다.
신용도가 높아 고소득층이 주로 분포한 1~3등급의 가산금리 인상폭은 같은 기간 최고 0.33%P에 불과했다.
수협은행의 경우, 저신용층 가산금리를 2.32%P 인상할 때 고신용층 가산금리는 0.02%P만 올렸다.
신한은행도 고신용층 가산금리를 0.06%P만 올리면서 저신용층 가산금리는 0.23%P 인상했다.
우리은행과 경남은행은 한 술 더 떠서 저신용층 가산금리를 0.19%P와 0.03%P 높인 것과 반대로
고신용층 가산금리는 오히려 0.01%P와 0.04%P씩 깎아주기까지 했다.
서민층을 상대로 한 가산금리 인상 강도는 담보가 없는 개인신용대출에서 훨씬 더 셌다.
신용대출 가산금리를 0.10%P 인상한 외환은행은 고신용층의 가산금리를 0.30%P 내린 대신 저신용층의 가산금리를 0.24%P 올렸다.
전북은행은 저신용층 가산금리가 무려 9.89%P에 달했다.
기준금리 3.60%를 더한 대출금리가 13.49%로, `배(기준금리)`보다 `배꼽(가산금리가)`이 더 컸다.
이같은 악화 여론에 대해 한 시중은행 관계자는 "자금조달의 만기와 저신용층의 부도 위험을 따져 가산금리를 책정했다"며
"주택대출은 담보가치(집값) 훼손 우려도 있다"고 설명했다.
자금조달의 경우 대출과의 만기 차이를 고려, 은행 내부금리(FTP)에 반영하는 만큼
`가산금리 인상`만으로 뭉뚱그려 봐선 안 된다는 것이다.
다른 시중은행 관계자는 "가계대출 증가 목표치에 맞추려고 우대금리를 줄이다 보니
가산금리가 높아진 측면이 있다"고 해명했다.
18일 금융권에 따르면 은행들은 최근 1년간 주택담보대출(분할상환 방식)의 가산금리를 최고 0.63%P 인상한 것으로 나타났다.
가산금리는 대출금리를 결정할 때 기준금리에 붙는 것으로 은행의 마진, 대출자의 신용도, 담보가치 등이 고려 요소.
특히 한국SC은행, 한국씨티은행 등 외국계 은행의 가산금리 인상폭이 상대적으로 컸다.
SC은행의 지난달 가산금리는 평균 0.98%P로 1년 전보다 0.33%P 올랐다.
씨티은행의 평균 가산금리도 0.32%P 상승한 0.97%P다.
국내 시중은행 중에서는 국민은행이 0.19%P, 신한은행이 0.06%P, 우리은행이 0.03%P씩 가산금리를 인상했다.
지방은행의 경우도 비슷해 광주은행이 가산금리를 0.63%P 올렸고, 대구은행(0.13%P)과 부산은행(0.11%P)도 가세했다.
보다 근본적인 문제는 은행들의 가산금리 인상이 소득과 신용등급이 낮은 서민층 위주로 이뤄졌다는 것..
은행연합회가 집계한 신용등급별 가산금리 자료를 보면 저신용층인 7~10등급의 가산금리 인상폭은 최고 2.32%P에 이른다.
신용도가 높아 고소득층이 주로 분포한 1~3등급의 가산금리 인상폭은 같은 기간 최고 0.33%P에 불과했다.
수협은행의 경우, 저신용층 가산금리를 2.32%P 인상할 때 고신용층 가산금리는 0.02%P만 올렸다.
신한은행도 고신용층 가산금리를 0.06%P만 올리면서 저신용층 가산금리는 0.23%P 인상했다.
우리은행과 경남은행은 한 술 더 떠서 저신용층 가산금리를 0.19%P와 0.03%P 높인 것과 반대로
고신용층 가산금리는 오히려 0.01%P와 0.04%P씩 깎아주기까지 했다.
서민층을 상대로 한 가산금리 인상 강도는 담보가 없는 개인신용대출에서 훨씬 더 셌다.
신용대출 가산금리를 0.10%P 인상한 외환은행은 고신용층의 가산금리를 0.30%P 내린 대신 저신용층의 가산금리를 0.24%P 올렸다.
전북은행은 저신용층 가산금리가 무려 9.89%P에 달했다.
기준금리 3.60%를 더한 대출금리가 13.49%로, `배(기준금리)`보다 `배꼽(가산금리가)`이 더 컸다.
이같은 악화 여론에 대해 한 시중은행 관계자는 "자금조달의 만기와 저신용층의 부도 위험을 따져 가산금리를 책정했다"며
"주택대출은 담보가치(집값) 훼손 우려도 있다"고 설명했다.
자금조달의 경우 대출과의 만기 차이를 고려, 은행 내부금리(FTP)에 반영하는 만큼
`가산금리 인상`만으로 뭉뚱그려 봐선 안 된다는 것이다.
다른 시중은행 관계자는 "가계대출 증가 목표치에 맞추려고 우대금리를 줄이다 보니
가산금리가 높아진 측면이 있다"고 해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