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65세 이상 노인의 치매 유병률이 10명 중 1명꼴로 갈수록 심각해지고 있고
이중에서도 알츠하이머병의 비중이 갈수록 커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분당서울대병원 정신과 김기웅 교수팀은 1990년부터 2013년 사이 국내서 발표된 11편의 치매 관련 논문을 이용,
`23년간 국내 치매 유병률 동향`을 분석한 결과 65세 이상 노인의 치매 유병률이 9.2%로 나타났다고 25일 밝혔다.
2009년 세계 치매보고서에 보고된 동남아시아와 중국의 치매 유병률 4.19~7.63%보다 훨씬 높은 수치로
한국이 중국과 동남아시아보다 상대적으로 고령화가 많이 진행됐기 때문으로 보인다.
초고령 사회에 진입한 일본은 65세 이상 노인 인구의 치매 유병률이 15%나 된다는게 의료진의 설명이다.
치매 중에는 알츠하이머병 유병률이 5.7%로 가장 흔했고 혈관성 치매가 2.1%로 그 다음이었다.
알츠하이머병은 뇌 속에 과다하게 쌓인 베타 아밀로이드라는 단백질이 대뇌 신경세포를 죽게 해 걸리는 질환으로 알려져 있는데
전화번호나 사람 이름을 잊어버리는 등의 기억장애와 말하기, 읽기, 쓰기 등에 문제가 생기는 언어장애,
방향감각이 떨어지는 시공간능력 저하 등이 대표적 첫 증상이다.
로널드 레이건 전 미국대통령이 이 병에 걸린 사실을 대국민 발표를 통해 알리던 일로 많은 사람들이 기억하고 있다.
혈관성 치매도 그 원인이 되는 고혈압, 동맥경화, 당뇨병 등 만성 성인병을 철저히 치료하면 어느 정도 예방이 가능하다고 한다.
특히 과도한 음주와 흡연은 치매를 유발하는 요인인 만큼 될 수 있으면 삼가라는 게 의학계의 권고다.
이번 분석결과를 보면 국내 치매 유병률은 65세 이후 나이가 5.8년 많아질 때마다 두 배씩 증가하는 특징을 보였다.
예를 들어 65세 연령의 치매 유병률이 1%라면 5.8세가 많은 70.8세의 치매 환자 비율은 그 곱절인 2%라는 얘기다.
알츠하이머병이 1995년 이후 지속적으로 증가한 반면 혈관성 치매는 2000년대 초를 지나면서 감소한 것도 특징으로
혈관성치매 대비 알츠하이머병 비율은 1995년 1.96에서 2013년에는 4.13으로 크게 높아졌다.
이번 연구결과를 담은 논문은 국제학술지 `JKMS` 7월호에 게재됐다.
이중에서도 알츠하이머병의 비중이 갈수록 커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분당서울대병원 정신과 김기웅 교수팀은 1990년부터 2013년 사이 국내서 발표된 11편의 치매 관련 논문을 이용,
`23년간 국내 치매 유병률 동향`을 분석한 결과 65세 이상 노인의 치매 유병률이 9.2%로 나타났다고 25일 밝혔다.
2009년 세계 치매보고서에 보고된 동남아시아와 중국의 치매 유병률 4.19~7.63%보다 훨씬 높은 수치로
한국이 중국과 동남아시아보다 상대적으로 고령화가 많이 진행됐기 때문으로 보인다.
초고령 사회에 진입한 일본은 65세 이상 노인 인구의 치매 유병률이 15%나 된다는게 의료진의 설명이다.
치매 중에는 알츠하이머병 유병률이 5.7%로 가장 흔했고 혈관성 치매가 2.1%로 그 다음이었다.
알츠하이머병은 뇌 속에 과다하게 쌓인 베타 아밀로이드라는 단백질이 대뇌 신경세포를 죽게 해 걸리는 질환으로 알려져 있는데
전화번호나 사람 이름을 잊어버리는 등의 기억장애와 말하기, 읽기, 쓰기 등에 문제가 생기는 언어장애,
방향감각이 떨어지는 시공간능력 저하 등이 대표적 첫 증상이다.
로널드 레이건 전 미국대통령이 이 병에 걸린 사실을 대국민 발표를 통해 알리던 일로 많은 사람들이 기억하고 있다.
혈관성 치매도 그 원인이 되는 고혈압, 동맥경화, 당뇨병 등 만성 성인병을 철저히 치료하면 어느 정도 예방이 가능하다고 한다.
특히 과도한 음주와 흡연은 치매를 유발하는 요인인 만큼 될 수 있으면 삼가라는 게 의학계의 권고다.
이번 분석결과를 보면 국내 치매 유병률은 65세 이후 나이가 5.8년 많아질 때마다 두 배씩 증가하는 특징을 보였다.
예를 들어 65세 연령의 치매 유병률이 1%라면 5.8세가 많은 70.8세의 치매 환자 비율은 그 곱절인 2%라는 얘기다.
알츠하이머병이 1995년 이후 지속적으로 증가한 반면 혈관성 치매는 2000년대 초를 지나면서 감소한 것도 특징으로
혈관성치매 대비 알츠하이머병 비율은 1995년 1.96에서 2013년에는 4.13으로 크게 높아졌다.
이번 연구결과를 담은 논문은 국제학술지 `JKMS` 7월호에 게재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