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의 9월 실업률이 6% 밑으로 떨어진 것을 놓고 미국 학계나 월가에서 평가와 반응이 엇갈리고 있다. 주가 등 금융변수에 이어 국민 경제생활 편에서 질적 지표까지 개선되고 있다는 증거라는 측면에서 긍정적인 평가다. 하지만 시중 유동성 환수, 금리인상 등 적극적 의미의 출구전략이 앞당겨지지 않겠느냐는 우려 또한 높아지는 추세다.
아직까지 완전고용 수준에 도달하기까지 갈 갈이 멀지만 실업률이 5%대로 떨어진 것은 당초 예상보다 빠른 속도다. 실업률 등 고용지표는 대표적인 경기후행지표인 데다, 주력산업이 ‘수확체증의 법칙’이 적용되는 정보기술(IT)이 부각되면서 ‘고용창출없는 경기회복’이 정착됐다. 또 금융위기 극복과정에서 기업들이 설령 경기가 회복된다 하더라도 고용을 최대한 늦추지 않겠느냐는 우려가 가세됐기 때문이다.
6년 전 금융위기 당시만 하더라도 실업률 등 고용지표가 위기 이전 수준을 회복하기에는 최소한 10년이 걸릴 것이라는 예상이 지배적이었다. 극단적으로 영원히 금융위기 이전 수준을 회복하기는 힘들 것이라는 비관적인 시각도 의외로 많았다. 6% 밑으로 떨어진 9월 실업률에 대해 오바마 정부, 연방준비제도이사회(FRB), 학계뿐만 아니라 월가에서 큰 의미를 부여하는 것도 이 이유에서다.
사상 초유의 금융위기 충격에도 미국의 고용사정이 빨리 개선되는 데에는 미국 정책당국의 힘이 가장 크다. 오바마 행정부는 위기 극복과 경기부양책을 아예 ‘일자리 창출대책’으로 그 성격과 우선순위를 분명히 했다. 산업정책도 고용창출계수가 높은 전통적은 제조업을 다시 보자는 ‘리프래쉬(refresh) 정책’과 함께 해외 진출한 자국 기업도 불러들이는 ‘리쇼오링(reshoring) 정책’을 추진했다.
미국 중앙은행인 FRB도 오바마 정부에 적극 협조했다. FRB 역사상 100년 만에 가장 큰 변화라 불릴 만큼 중앙은행 목표를 2012년 12월부터 물가안정과 함께 고용창출을 양대 책무(dual mandate)로 재설정했다. 오히려 그 이후 통화정책을 추진한 잣대로 보면 고용지표 개선 여부를 최우선 순위로 두고 운영해 왔다.
각국의 반응은 제각각이다. 당사국인 미국은 가장 반기는 국가이지만 새로운 부담도 동시에 안게 된다. 지난 6년 동안 제로(0) 금리에다 양적완화로 풀린 돈이 무려 4조 달러가 넘을 정도로 많이 풀림에 따라 후유증에 해당하는 ‘애프터 크라이시스’ 문제를 원만하게 해결해야 하기 때문이다.
한국 등 대부분 신흥국들은 달가워하지 않는 분위기다. 미국 경제가 정상을 되찾아 신흥국의 대미국 수출이 증가하는 좋은 점이 있지만, 제로 금리와 양적완화로 유입됐던 달러캐리 자금 등 외국자금 이탈부담이 크기 때문이다. 더 우려되는 것은 미국 실업률이 6% 밑으로 떨어진 것을 계기로 최근 한국 등 신흥국의 외자이탈이 ‘2차 테이퍼 텐트럼(taper tantrum?긴급발작)’으로 악화될 것인가 여부다.
이미 글로벌 자금흐름에 있어서는 9월 실업률 발표 이전부터 지난달 FRB 회의에서 테이퍼링 종료가 예고됨에 따라 커다란 변화가 일고 있다. 금융위기 이후 선진국의 저금리와 양적완화로 글로벌 자금이 신흥국에 유입됐으나 지난달 중순 이후부터는 이탈세 돌아서면서 신흥국 주가와 통화 가치가 동반 하락하고 있다. 실제로 지난달 중순 이후 글로벌 자금흐름을 보면 미국을 중심으로 선진국으로 유입되고 있으나 한국 등 신흥국에서는 의외로 큰 자금이 이탈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지난달 중순 이후 한국 등 신흥국에서 이탈되는 글로벌 자금은 금리차와 환차손, 특히 환차손에 대한 우려로 이른바 ‘캐리자금의 성격’이 짙다. 이달 말 테이퍼링 종료를 앞두고 미국의 시장금리 상승과 달러 강세 기대로 금융위기 이후 미국의 저금리와 달러 약세를 바탕으로 유입됐던 신흥국 글로벌 자금이 이탈요인(push factors)이 직접적으로 발생했기 때문이다. 지금의 속성상 캐리자금과 구별이 쉽지 않지만 지난달 중순 이후 변동성이 다시 확대되면서 헤지펀드 자금들도 한국 등 신흥국에서 이탈세에 가담하고 있다.
이 때문에 최근 한국 등 신흥국에서 글로벌 자금의 이탈현상을 놓고 이달 말에 열릴 FRB회의에서 테이퍼링 종료에 따른 ‘2차 테이퍼 텐트럼(taper tantrum)’이 벌써부터 발생한 것이 아닌가 하는 우려가 확산되고 있다. 지난해 5월말 밴 버냉키 당시 FRB의장의 출구전략 추진 시사 발언 이후 ‘취약 5개국(F5·Fragile 5)`1을 중심으로 신흥국에서는 ‘1차 테이퍼 텐트럼 현상’이 발생하면서 증시를 비롯한 금융시장이 크게 출렁거렸다. ‘테이퍼 텐트럼’이란 미국과 같은 중심국의 통화정책 등에 작은 변화에도 한국 등 주변국에서 의외로 크게 나타나는 ‘긴급 발작’ 현상으로 나비 효과(butterfly effect)의 일종이다.
외환보유고 등 위기지표를 토대로 앞으로 출구전략이 본격적으로 추진될 경우 신흥국별 외환위기 가능성을 점검하면 크게 세 가지로 분류된다. 가장 외환위기 가능성이 높은 국가(high crisis country)로는 외환보유고에 비해 경상적자와 재정적자가 심한 인도, 브라질, 인도네시아, 남아공, 터키로 나타났으나, 인도의 경우 올해 5월 니헨디라 모디 정부가 출범한 이후 ‘모디노믹스’에 대한 기대로 외국자금이 꾸준히 유입돼 외환위기 가능성이 낮아졌다.
지금 당장은 외환위기가 발생할 가능성은 적으나 신흥국에서 외환위기가 발생할 경우 쉽게 전염될 수 있는 국가(middle crisis country)로는 외환보유고는 적정수준 이상 쌓아 놓고 있지만 경상수지와 재정수지가 악화되고 있는 러시아, 체코, 태국, 멕시코로 나타났다. 이밖에 외환위기가 발생할 가능성이 희박하고 오히려 출구전략이 추진될 경우 기회요인이 더 많을 수 있는 국가(low crisis country)로는 경상수지와 재정수지가 건전하고 외환보유고도 충분히 쌓아 놓고 있는 한국, 중국 등이다.
한 가지 의문은 1차 테이퍼 텐트럼 당시 별다른 충격이 없었고 위기판단지표가 양호한 것으로 나오는 한국이 9월 중순 이후에는 외국자금이 왜 많이 이탈하는가 하는 점이다. 올해 8월말까지는 외국인 자금이 부담이 우리 경제에 부담이 될 정도로 많이 유입되면서 원달러 환율이 1000원선이 붕괴될 위험에 놓여 있었다. 하지만 9월 들어서는 외국인 자금이 이탈세로 돌아서면서 원달러 환율이 1060원대로 급등해 원화 가치 절하율이 경쟁국인 중국, 대만뿐만 아니라 인도, 태국, 베트남보다 큰 것으로 나타났다.
여러 요인 가운데 버냉키 전 Fed의장의 출구전략 시사 발언 이후 1년이 넘는 과도기에 준선진국 대우를 받는 한국에 선진국과 신흥국 자금이 대거 유입됐기 때문이다. 하지만 선진국, 신흥국 등 어느 한편이 경제여건이 개선돼 통화정책의 가닥이 잡히면 과도기에 유입됐던 많이 이탈되면서 타격을 받게 된다.
이는 ‘샌드위치 상의 대기성 매력’ 때문인데, 나중에 자금이 한꺼번에 빠져나가 큰 어려움이 닥치는 ‘샌드위치 위기론`으로 악화되는 경우가 많다. 그런 만큼 우리도 ‘2차 테이퍼 텐트럼’ 현상이 대비해 놓아야 할 때다.
<글. 한상춘 <a href=http://sise.wownet.co.kr/search/main/main.asp?mseq=419&searchStr=039340 target=_blank>한국경제TV 해설위원 겸 한국경제신문 객원논설위원(schan@hankyung.com)>
아직까지 완전고용 수준에 도달하기까지 갈 갈이 멀지만 실업률이 5%대로 떨어진 것은 당초 예상보다 빠른 속도다. 실업률 등 고용지표는 대표적인 경기후행지표인 데다, 주력산업이 ‘수확체증의 법칙’이 적용되는 정보기술(IT)이 부각되면서 ‘고용창출없는 경기회복’이 정착됐다. 또 금융위기 극복과정에서 기업들이 설령 경기가 회복된다 하더라도 고용을 최대한 늦추지 않겠느냐는 우려가 가세됐기 때문이다.
6년 전 금융위기 당시만 하더라도 실업률 등 고용지표가 위기 이전 수준을 회복하기에는 최소한 10년이 걸릴 것이라는 예상이 지배적이었다. 극단적으로 영원히 금융위기 이전 수준을 회복하기는 힘들 것이라는 비관적인 시각도 의외로 많았다. 6% 밑으로 떨어진 9월 실업률에 대해 오바마 정부, 연방준비제도이사회(FRB), 학계뿐만 아니라 월가에서 큰 의미를 부여하는 것도 이 이유에서다.
사상 초유의 금융위기 충격에도 미국의 고용사정이 빨리 개선되는 데에는 미국 정책당국의 힘이 가장 크다. 오바마 행정부는 위기 극복과 경기부양책을 아예 ‘일자리 창출대책’으로 그 성격과 우선순위를 분명히 했다. 산업정책도 고용창출계수가 높은 전통적은 제조업을 다시 보자는 ‘리프래쉬(refresh) 정책’과 함께 해외 진출한 자국 기업도 불러들이는 ‘리쇼오링(reshoring) 정책’을 추진했다.
미국 중앙은행인 FRB도 오바마 정부에 적극 협조했다. FRB 역사상 100년 만에 가장 큰 변화라 불릴 만큼 중앙은행 목표를 2012년 12월부터 물가안정과 함께 고용창출을 양대 책무(dual mandate)로 재설정했다. 오히려 그 이후 통화정책을 추진한 잣대로 보면 고용지표 개선 여부를 최우선 순위로 두고 운영해 왔다.
각국의 반응은 제각각이다. 당사국인 미국은 가장 반기는 국가이지만 새로운 부담도 동시에 안게 된다. 지난 6년 동안 제로(0) 금리에다 양적완화로 풀린 돈이 무려 4조 달러가 넘을 정도로 많이 풀림에 따라 후유증에 해당하는 ‘애프터 크라이시스’ 문제를 원만하게 해결해야 하기 때문이다.
한국 등 대부분 신흥국들은 달가워하지 않는 분위기다. 미국 경제가 정상을 되찾아 신흥국의 대미국 수출이 증가하는 좋은 점이 있지만, 제로 금리와 양적완화로 유입됐던 달러캐리 자금 등 외국자금 이탈부담이 크기 때문이다. 더 우려되는 것은 미국 실업률이 6% 밑으로 떨어진 것을 계기로 최근 한국 등 신흥국의 외자이탈이 ‘2차 테이퍼 텐트럼(taper tantrum?긴급발작)’으로 악화될 것인가 여부다.
이미 글로벌 자금흐름에 있어서는 9월 실업률 발표 이전부터 지난달 FRB 회의에서 테이퍼링 종료가 예고됨에 따라 커다란 변화가 일고 있다. 금융위기 이후 선진국의 저금리와 양적완화로 글로벌 자금이 신흥국에 유입됐으나 지난달 중순 이후부터는 이탈세 돌아서면서 신흥국 주가와 통화 가치가 동반 하락하고 있다. 실제로 지난달 중순 이후 글로벌 자금흐름을 보면 미국을 중심으로 선진국으로 유입되고 있으나 한국 등 신흥국에서는 의외로 큰 자금이 이탈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지난달 중순 이후 한국 등 신흥국에서 이탈되는 글로벌 자금은 금리차와 환차손, 특히 환차손에 대한 우려로 이른바 ‘캐리자금의 성격’이 짙다. 이달 말 테이퍼링 종료를 앞두고 미국의 시장금리 상승과 달러 강세 기대로 금융위기 이후 미국의 저금리와 달러 약세를 바탕으로 유입됐던 신흥국 글로벌 자금이 이탈요인(push factors)이 직접적으로 발생했기 때문이다. 지금의 속성상 캐리자금과 구별이 쉽지 않지만 지난달 중순 이후 변동성이 다시 확대되면서 헤지펀드 자금들도 한국 등 신흥국에서 이탈세에 가담하고 있다.
이 때문에 최근 한국 등 신흥국에서 글로벌 자금의 이탈현상을 놓고 이달 말에 열릴 FRB회의에서 테이퍼링 종료에 따른 ‘2차 테이퍼 텐트럼(taper tantrum)’이 벌써부터 발생한 것이 아닌가 하는 우려가 확산되고 있다. 지난해 5월말 밴 버냉키 당시 FRB의장의 출구전략 추진 시사 발언 이후 ‘취약 5개국(F5·Fragile 5)`1을 중심으로 신흥국에서는 ‘1차 테이퍼 텐트럼 현상’이 발생하면서 증시를 비롯한 금융시장이 크게 출렁거렸다. ‘테이퍼 텐트럼’이란 미국과 같은 중심국의 통화정책 등에 작은 변화에도 한국 등 주변국에서 의외로 크게 나타나는 ‘긴급 발작’ 현상으로 나비 효과(butterfly effect)의 일종이다.
외환보유고 등 위기지표를 토대로 앞으로 출구전략이 본격적으로 추진될 경우 신흥국별 외환위기 가능성을 점검하면 크게 세 가지로 분류된다. 가장 외환위기 가능성이 높은 국가(high crisis country)로는 외환보유고에 비해 경상적자와 재정적자가 심한 인도, 브라질, 인도네시아, 남아공, 터키로 나타났으나, 인도의 경우 올해 5월 니헨디라 모디 정부가 출범한 이후 ‘모디노믹스’에 대한 기대로 외국자금이 꾸준히 유입돼 외환위기 가능성이 낮아졌다.
지금 당장은 외환위기가 발생할 가능성은 적으나 신흥국에서 외환위기가 발생할 경우 쉽게 전염될 수 있는 국가(middle crisis country)로는 외환보유고는 적정수준 이상 쌓아 놓고 있지만 경상수지와 재정수지가 악화되고 있는 러시아, 체코, 태국, 멕시코로 나타났다. 이밖에 외환위기가 발생할 가능성이 희박하고 오히려 출구전략이 추진될 경우 기회요인이 더 많을 수 있는 국가(low crisis country)로는 경상수지와 재정수지가 건전하고 외환보유고도 충분히 쌓아 놓고 있는 한국, 중국 등이다.
한 가지 의문은 1차 테이퍼 텐트럼 당시 별다른 충격이 없었고 위기판단지표가 양호한 것으로 나오는 한국이 9월 중순 이후에는 외국자금이 왜 많이 이탈하는가 하는 점이다. 올해 8월말까지는 외국인 자금이 부담이 우리 경제에 부담이 될 정도로 많이 유입되면서 원달러 환율이 1000원선이 붕괴될 위험에 놓여 있었다. 하지만 9월 들어서는 외국인 자금이 이탈세로 돌아서면서 원달러 환율이 1060원대로 급등해 원화 가치 절하율이 경쟁국인 중국, 대만뿐만 아니라 인도, 태국, 베트남보다 큰 것으로 나타났다.
여러 요인 가운데 버냉키 전 Fed의장의 출구전략 시사 발언 이후 1년이 넘는 과도기에 준선진국 대우를 받는 한국에 선진국과 신흥국 자금이 대거 유입됐기 때문이다. 하지만 선진국, 신흥국 등 어느 한편이 경제여건이 개선돼 통화정책의 가닥이 잡히면 과도기에 유입됐던 많이 이탈되면서 타격을 받게 된다.
이는 ‘샌드위치 상의 대기성 매력’ 때문인데, 나중에 자금이 한꺼번에 빠져나가 큰 어려움이 닥치는 ‘샌드위치 위기론`으로 악화되는 경우가 많다. 그런 만큼 우리도 ‘2차 테이퍼 텐트럼’ 현상이 대비해 놓아야 할 때다.
<글. 한상춘 <a href=http://sise.wownet.co.kr/search/main/main.asp?mseq=419&searchStr=039340 target=_blank>한국경제TV 해설위원 겸 한국경제신문 객원논설위원(scha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