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면 보다 '짠', 대형마트 우동의 비밀

입력 2014-11-12 14:14   수정 2014-11-12 16:44

<앵커>
날씨가 추워지면서 우동 제품이 인기입니다.
불경기다보니 가격이 저렴한 제품을 많이 찾으시는데, 싼 게 비지떡이라고 이 제품들에 문제가 많다고 합니다.
그 이유를 이문현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서울 시내 한 대형마트의 우동 코너.
맑은 국물에 생선을 말린 재료까지 들어가 라면보다 건강한 먹거리처럼 보입니다.
<인터뷰>김정미 서울 영등포구
"애기가 4살인데 라면을 먹이자니 우동이 좀 더 건강에 좋겠지..."
정말 그럴까요.
시중에서 판매되는 우동에는 라면의 평균 나트륨(1729mg)보다 최대 1천mg 이상의 나트륨이 숨어있습니다.

이마트와 롯데마트 등 유통업체가 직접 만들어 판매하는 일명 PB제품에는 성인 하루 권장 섭취량인 2천mg을 훌쩍 넘는 나트륨이 포함돼 있습니다.
특히, 이마트 제품에는 다른 대형마트 제품들보다도 더 많은 양의 나트륨이 들어있습니다.
CJ풀무원, 오뚜기 등 대기업 식품회사가 판매하는 우동보다 1.5배 더 많은 양입니다.
나트륨이 다량으로 포함된 이들 제품에는 이윤을 극대화하려는 대형마트의 경영전략이 숨겨져 있습니다.
맛을 유지하는 동시에 나트륨을 줄이기 위해서는 국물을 우려낼 수 있는 고기나 생선을 첨가해야 하는데, 이는 원가 상승으로 이어지기 때문에 나트륨을 고집한다는 게 업계의 설명입니다.
같은 PB제품이라도 홈플러스의 가쓰오 우동에는 이마트 제품보다 나트륨 30%가 덜 들어가 있는 대신, 가격은 15% 가량 비쌉니다.

또 마트 PB상품의 위탁생산은 대부분 중소 식품회사들이 담당하는데, 나트륨을 줄일 수 있는 기술력이 상대적으로 뒤처진다는 분석도 나옵니다.
다른 이유도 있습니다.
<인터뷰 교수> 차윤환 숭의여대 식품영양과 교수
"자연적인 식재료만으로는 어느 수준 이상의 짠맛을 내기가 어렵습니다. 그래서 인공적이거나 가공적으로 과량의 짠맛을 만들어 내고 소비자들은 거기에 입맛이 길들여지고 더 짠맛을 찾게되죠"
소금이 소비자의 입맛까지 중독시키는데, 이 전략이 시장 점유율을 빠르게 높이려는 대형마트의 계산이라는 얘깁니다.
올해 10월 이마트와 롯데마트의 생우동 매출은 지난해보다 각각 4배, 1.5배 상승했습니다.
한국경제TV 이문현입니다.


관련뉴스

    top
    • 마이핀
    • 와우캐시
    • 고객센터
    • 페이스 북
    • 유튜브
    • 카카오페이지

    마이핀

    와우캐시

    와우넷에서 실제 현금과
    동일하게 사용되는 사이버머니
    캐시충전
    서비스 상품
    월정액 서비스
    GOLD 한국경제 TV 실시간 방송
    GOLD PLUS 골드서비스 + VOD 주식강좌
    파트너 방송 파트너방송 + 녹화방송 + 회원전용게시판
    +SMS증권정보 + 골드플러스 서비스

    고객센터

    강연회·행사 더보기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이벤트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더보기

    open
    핀(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