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에스디에스와 제일모직 상장으로 삼성그룹 상장사들의 시가총액이 1년 새 41조원 넘게 불어나
전체 시가총액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26%에 육박했다.
24일 재벌닷컴에 따르면 10대 그룹 상장 계열사(우선주 포함)의 시가총액을 집계한 결과
23일 종가 기준 724조4,243억원으로 올해 1월 2일보다 13조4,915억원(1.89%)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10대그룹 상장사의 시총 비중은 53.73%로 연초의 55.57%보다 1.84%p 낮아졌다.
상장 계열사의 시총은 10대 그룹 중에서 삼성그룹과 SK그룹, 한진그룹 등 3곳만 늘어났고 7곳은 쪼그라드는 등 그룹별로 명암이 엇갈렸다.
삼성그룹(18개사)의 시총은 연초 306조4,529억원에서 347조9,062억원으로 41조4,533억원이나 급증했다.
삼성그룹 상장 계열사 시총이 전체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연초 23.96%에서 25.79%로 1.83%p 높아졌다.
삼성그룹 상장사의 시총이 급증한 것은 최근 삼성에스디에스(21조8,979억원)와 제일모직(18조2,천250억원)이 상장했기 때문이다.
두 종목의 시총은 40조원을 웃돈다. .
SK그룹(16개사)은 시총 규모는 92조5,951억원으로 1년 새 13조2,639억원 늘어났고 시총 비중은 6.19%에서 6.88%로 높아졌다.
SK그룹의 시총 증가는 SK하이닉스의 주가 상승 덕분으로 시총이 34조5,437억원으로 1년 새 9조3천억원 가까이 증가했고
시총 비중도 1.97%에서 2.56%로 높아졌다.
최근 논란에 휩싸인 한진그룹(6개사)의 시총은 6조7,977억원으로 연초 3조134억원의 배 넘게 불어났다.
유가 하락에 따른 실적 개선 기대로 대한항공의 시총이 2조7,842억원으로 1년 동안 1조원 가까이 증가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현대자동차그룹(11개사) 상장 계열사의 시총은 122조4,695억원으로 연초보다 16조6,722억원 증발했다.
그룹의 시총 비중도 10.87%에서 9.09%로 10%를 밑돌게 됐는데 현대차[005380]의 시총이 주가 하락으로 1년 새 12조원 가까이 줄어든 탓이다.
현대중공업그룹(3개사)의 시총도 23조6,131억원에서 11조2천76억원으로 반 토막이 났다.
조선업황 부진으로 현대중공업의 시총이 19조2,660억원에서 9조1,200억원으로, 1년새 10조원 이상 급감한 것이 컸다.
롯데그룹(8개사)의 시총은 28조4,727억원으로 6조6,581억원 감소했고
포스코그룹(3개사)의 시총도 30조5,736억원으로 연초보다 4조 6,974억원 급감했다.
연초 70조원대이던 LG그룹(12개사)의 시총은 68조6,463억원으로 1조6,848억원 감소했다.
LG전자]의 시총이 9조7,370억원으로 1조원 이상 사라졌다.
현재 10대 그룹 중에서 현대중공업그룹(0.84%)과 GS그룹(0.69%), 한진그룹(0.51%),
한화그룹(0.94%) 등 4곳의 시총 비중이 각각 1%를 밑돌고 있는 상태다.
전체 시가총액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26%에 육박했다.
24일 재벌닷컴에 따르면 10대 그룹 상장 계열사(우선주 포함)의 시가총액을 집계한 결과
23일 종가 기준 724조4,243억원으로 올해 1월 2일보다 13조4,915억원(1.89%)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10대그룹 상장사의 시총 비중은 53.73%로 연초의 55.57%보다 1.84%p 낮아졌다.
상장 계열사의 시총은 10대 그룹 중에서 삼성그룹과 SK그룹, 한진그룹 등 3곳만 늘어났고 7곳은 쪼그라드는 등 그룹별로 명암이 엇갈렸다.
삼성그룹(18개사)의 시총은 연초 306조4,529억원에서 347조9,062억원으로 41조4,533억원이나 급증했다.
삼성그룹 상장 계열사 시총이 전체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연초 23.96%에서 25.79%로 1.83%p 높아졌다.
삼성그룹 상장사의 시총이 급증한 것은 최근 삼성에스디에스(21조8,979억원)와 제일모직(18조2,천250억원)이 상장했기 때문이다.
두 종목의 시총은 40조원을 웃돈다. .
SK그룹(16개사)은 시총 규모는 92조5,951억원으로 1년 새 13조2,639억원 늘어났고 시총 비중은 6.19%에서 6.88%로 높아졌다.
SK그룹의 시총 증가는 SK하이닉스의 주가 상승 덕분으로 시총이 34조5,437억원으로 1년 새 9조3천억원 가까이 증가했고
시총 비중도 1.97%에서 2.56%로 높아졌다.
최근 논란에 휩싸인 한진그룹(6개사)의 시총은 6조7,977억원으로 연초 3조134억원의 배 넘게 불어났다.
유가 하락에 따른 실적 개선 기대로 대한항공의 시총이 2조7,842억원으로 1년 동안 1조원 가까이 증가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현대자동차그룹(11개사) 상장 계열사의 시총은 122조4,695억원으로 연초보다 16조6,722억원 증발했다.
그룹의 시총 비중도 10.87%에서 9.09%로 10%를 밑돌게 됐는데 현대차[005380]의 시총이 주가 하락으로 1년 새 12조원 가까이 줄어든 탓이다.
현대중공업그룹(3개사)의 시총도 23조6,131억원에서 11조2천76억원으로 반 토막이 났다.
조선업황 부진으로 현대중공업의 시총이 19조2,660억원에서 9조1,200억원으로, 1년새 10조원 이상 급감한 것이 컸다.
롯데그룹(8개사)의 시총은 28조4,727억원으로 6조6,581억원 감소했고
포스코그룹(3개사)의 시총도 30조5,736억원으로 연초보다 4조 6,974억원 급감했다.
연초 70조원대이던 LG그룹(12개사)의 시총은 68조6,463억원으로 1조6,848억원 감소했다.
LG전자]의 시총이 9조7,370억원으로 1조원 이상 사라졌다.
현재 10대 그룹 중에서 현대중공업그룹(0.84%)과 GS그룹(0.69%), 한진그룹(0.51%),
한화그룹(0.94%) 등 4곳의 시총 비중이 각각 1%를 밑돌고 있는 상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