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식이나 약을 먹은 뒤 생기는 알레르기 가운데 가장 심각한 것이 아나필락시스 즉 알레르기 쇼크다.
갑자기 두드러기 호흡곤란 쌕쌕거림 어지럼증 등의 증상을 보이다가 심하면 생명을 잃을 수도 있어서다.
병원에서 항생제 주사를 놓기 전에 환자에게 알레르기 여부를 묻거나 검사하는 것도 대개 아나필락시스를 예방하기 위해서다.
아주대병원 알레르기내과 박해심 교수팀은 2007∼2011년 전국의 15개 대학병원에서 치료 받은 16∼86세 아나필락시스 환자 1776명을 조사한 결과 이중 46.6%(827명)는 약 때문에 아나필락시스를 일으켰다고 19일 밝혔다.
이 결과는 대한소아알레르기호흡기학회와 대한천식알레르기학회가 공동 발간하는 영문 학술지인 `알레르기, 천식, 면역학 연구` 올 1월호에 게재됐다.
박 교수팀에 따르면 국내 성인에선 약에 기인한 아나필락시스 환자가 최다였고 다음은 식품(24.2%), 벌 등 곤충에 쏘임(16.4%), 운동(5.9%) 순서였다. 원인 불명인 경우도 7%에 달했다.
이는 식품(46.1%), 약(22.5%), 원인 불명(19.1%), 물리적 원인(5.6%), 식품섭취 후 운동(5.6%), 벌 등 곤충에 쏘임(1.1%) 순(順)인 어린이의 아나필락시스 원인(2001∼2007년 어린이 환자 분석 결과, 건강보험심사평가원)과는 상당한 차이를 보인다.
박 교수팀의 연구에서 여러 약들 가운데 아나필락시스와 가장 자주 연루된 것은 소염·진통·해열 작용을 하는 비(非)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NSAIDs)였다. 전체 아나필락시스 원인의 13.3%를 이 약이 차지했다.
컴퓨터 단층촬영(CT) 등 방사선 검사에 사용되는 조영제(12%)나 페니실린·세팔로스포린 계열의 배타락탐 항생제 등 항생제(10.5%)를 복용한 뒤 아나필락시스를 경험한 사람도 적지 않았다.
식품 중에선 밀가루가 전체 아나필락시스 원인의 8.3%를 차지, 아나필락시스 원인 식품으론 1위였다. 해산물(8.2%), 채소(3.3%), 육류(3.2%), 견과류(1.6%) 등이 그 뒤를 이었다.
아나필락시스 증상을 가볍게 경험한 환자에선 원인이 채소(3.8%)인 경우가 육류(2.1%)보다 많았다. 반면 중증(moderate) 이상의 아나필락시스를 보인 환자에선 원인이 채소인 경우가 육류보다 적었다.
연구논문에 따르면 성인도 연령대에 따라 아나필락시스의 주원인이 달랐다. 아나필락시스의 가장 빈번한 원인은 30대 이하에선 식품(34.2%), 30대 이상에선 약이었다.
이번 연구에서 국내에서 아나필락시스 환자는 해마다 증가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2007년엔 병원을 찾는 환자 1만 명 중 7.7명이 아나필락시스 환자였지만 2011년엔 13.3명으로 두 배 가까이 늘었다.
아나필락시스의 초기 증상은 입안이나 귀속이 따갑고 얼굴이 붓는 것이다. 피부가 가렵고 붉게 변하거나 두드러기가 생긴다. 또 삼키거나 말하기가 힘들어지고 호흡이 가빠지며 숨소리가 거칠어지고 혈압이 떨어져 실신하기도 한다.
구역ㆍ구토ㆍ복통ㆍ설사 등 소화기 증상도 나타날 수 있고 일부는 불안감이나 죽을 것 같은 느낌을 호소한다. 이런 증상들은 원인물질에 노출된 즉시 또는 수 십분∼수 시간 이내에 나타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번 조사에선 아나필락시스 원인물질에 노출된 지 평균 3시간 뒤에 증상이 나타났다. 증상을 일으킨 후 병원에 갈 때까지의 시간은 평균 4시간40분가량이었다.
이번 연구에서 아나필락시스 환자의 42%(746명)은 심한(severe) 증상을 경험한 것으로 조사됐다.
박 교수팀은 약이 원인이고 알레르기 병력(病歷)이 있으며 피부·호흡기·심혈관계·위장관 등 여러 장기에 증상이 나타나고 나이가 많을수록 아나필락시스의 증상이 더 극심할 가능성이 높다고 지적했다.
갑자기 두드러기 호흡곤란 쌕쌕거림 어지럼증 등의 증상을 보이다가 심하면 생명을 잃을 수도 있어서다.
병원에서 항생제 주사를 놓기 전에 환자에게 알레르기 여부를 묻거나 검사하는 것도 대개 아나필락시스를 예방하기 위해서다.
아주대병원 알레르기내과 박해심 교수팀은 2007∼2011년 전국의 15개 대학병원에서 치료 받은 16∼86세 아나필락시스 환자 1776명을 조사한 결과 이중 46.6%(827명)는 약 때문에 아나필락시스를 일으켰다고 19일 밝혔다.
이 결과는 대한소아알레르기호흡기학회와 대한천식알레르기학회가 공동 발간하는 영문 학술지인 `알레르기, 천식, 면역학 연구` 올 1월호에 게재됐다.
박 교수팀에 따르면 국내 성인에선 약에 기인한 아나필락시스 환자가 최다였고 다음은 식품(24.2%), 벌 등 곤충에 쏘임(16.4%), 운동(5.9%) 순서였다. 원인 불명인 경우도 7%에 달했다.
이는 식품(46.1%), 약(22.5%), 원인 불명(19.1%), 물리적 원인(5.6%), 식품섭취 후 운동(5.6%), 벌 등 곤충에 쏘임(1.1%) 순(順)인 어린이의 아나필락시스 원인(2001∼2007년 어린이 환자 분석 결과, 건강보험심사평가원)과는 상당한 차이를 보인다.
박 교수팀의 연구에서 여러 약들 가운데 아나필락시스와 가장 자주 연루된 것은 소염·진통·해열 작용을 하는 비(非)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NSAIDs)였다. 전체 아나필락시스 원인의 13.3%를 이 약이 차지했다.
컴퓨터 단층촬영(CT) 등 방사선 검사에 사용되는 조영제(12%)나 페니실린·세팔로스포린 계열의 배타락탐 항생제 등 항생제(10.5%)를 복용한 뒤 아나필락시스를 경험한 사람도 적지 않았다.
식품 중에선 밀가루가 전체 아나필락시스 원인의 8.3%를 차지, 아나필락시스 원인 식품으론 1위였다. 해산물(8.2%), 채소(3.3%), 육류(3.2%), 견과류(1.6%) 등이 그 뒤를 이었다.
아나필락시스 증상을 가볍게 경험한 환자에선 원인이 채소(3.8%)인 경우가 육류(2.1%)보다 많았다. 반면 중증(moderate) 이상의 아나필락시스를 보인 환자에선 원인이 채소인 경우가 육류보다 적었다.
연구논문에 따르면 성인도 연령대에 따라 아나필락시스의 주원인이 달랐다. 아나필락시스의 가장 빈번한 원인은 30대 이하에선 식품(34.2%), 30대 이상에선 약이었다.
이번 연구에서 국내에서 아나필락시스 환자는 해마다 증가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2007년엔 병원을 찾는 환자 1만 명 중 7.7명이 아나필락시스 환자였지만 2011년엔 13.3명으로 두 배 가까이 늘었다.
아나필락시스의 초기 증상은 입안이나 귀속이 따갑고 얼굴이 붓는 것이다. 피부가 가렵고 붉게 변하거나 두드러기가 생긴다. 또 삼키거나 말하기가 힘들어지고 호흡이 가빠지며 숨소리가 거칠어지고 혈압이 떨어져 실신하기도 한다.
구역ㆍ구토ㆍ복통ㆍ설사 등 소화기 증상도 나타날 수 있고 일부는 불안감이나 죽을 것 같은 느낌을 호소한다. 이런 증상들은 원인물질에 노출된 즉시 또는 수 십분∼수 시간 이내에 나타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번 조사에선 아나필락시스 원인물질에 노출된 지 평균 3시간 뒤에 증상이 나타났다. 증상을 일으킨 후 병원에 갈 때까지의 시간은 평균 4시간40분가량이었다.
이번 연구에서 아나필락시스 환자의 42%(746명)은 심한(severe) 증상을 경험한 것으로 조사됐다.
박 교수팀은 약이 원인이고 알레르기 병력(病歷)이 있으며 피부·호흡기·심혈관계·위장관 등 여러 장기에 증상이 나타나고 나이가 많을수록 아나필락시스의 증상이 더 극심할 가능성이 높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