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래 어원을 타고 올라가보면 탈란톤(Talanton)이라는 그리스어에서 시작되었다는 주장인데, 이는 육체 노동자 20일치의 임금에 해당하는 액수라고 주장한다.
또한 어느 기록에서는 종이 20년간 벌어서 모은 금화의 단위를 의미한다는 주장도 있는데...20년이라면 당시 수명으로 봤을 때 거의 평생 번 돈이었을 것이고...자신이 가진 모든 것이라는 의미에서 재능이라는 말로 자연스럽게 확장되었을 것이다.
그래서 오늘날에는 돈이라는 의미보다는 재능의 의미로 해석하는 것이 맞을 것이다.
마태복음 25장부터 죽~ 읽어보면 달란트를 땅에 묻었던 하인이 주인으로부터 “악하고 게으른 종”이라며 책망을 받는 장면이 나온다.
여기에서 달란트는 조금 더 확장된 의미로 생각하는데...단순한 <재능>의 의미 보다는 “각자가 신으로부터 부여받은 재능과 그 재능을 살려야만 하는 의무”라는 의미라고 생각된다. (객관적 시각이므로 틀릴 수도 있다.)
지금까지 너희들에게 단 한 번도 어떤 직업을 선택하라고 권고한 적이 없다.
너희들이 어머니의 육신을 빌어 태어났기 때문에 생김새는 당연히 우리를 많이 닮았겠지만 그 몸속에 깃든 영혼은 우리와는 전혀 다르다는 것을 잘 알고 있기 때문이다.
내가 좋아하는 것을 너희가 좋아할 이유가 없기 때문에 너희들이 좋아하는...너희의 재능을 잘 살릴 수 있는 일을 찾는 것이 맞는다고 생각한다.
나와 전혀 성격이 다른 자식에게 내가 했던 일을 물려받아서 해야 한다고 요구한다거나...혹은 의사나 변호사가 되라고 강요한다면...그것은 자식들의 재능과 그 재능을 살려야 하는 의무를 저버리고 땅에 묻는 “악하고 게으른 행위”가 되며 질책을 받아 마땅할 것이다.
부모가 해야 할 일은 자식의 Talent를 살피고 그 재능이 십분 발휘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이지 그 재능을 땅에 묻어 두는 것이 아님을 명심하도록 해라.
각자의 재능이 훈련을 통해서 결정되는 것이 아니라 처음부터 타고나는 것이라는 증거를 제시하마.
경제학에서는 네 사람의 업적을 가장 높이 평가한다.
국부론의 저자이며 근대 경제학의 초석을 닦은 <애덤스미스>와 현재 유럽의 경제학의 근간을 이루는 <마르크스>...그리고 현대 경제학에서 가장 큰 업적을 남긴 <케인즈>...
그리고...대한민국의 경제인 양성에 큰 업적을 남길 예정인...<샤프슈터> ㅋㅋㅋ
그런데 케인즈라는 사람은 재미있게도 경제학을 체계적으로 공부한 적이 거의 없는 사람이었다.
다른 경제학자들과는 다르게 그저 교양과목으로 1년 수강했던 것이 고작이었던 그가 고용시장과 통화정책에서 아직도 교과서로 추앙받는 <고용 이자 및 화폐의 일반이론>이라는 명작을 남겼다면...그는 경제학 분야에서 타고난 재능을 처음부터 가지고 있었다고밖에 달리 설명할 방법이 없다.
물론...당시의 경제학자들은 딱히 학위도 없었던 그의 이론에 냉소를 보냈었고 정작 그의 모국이라고 할 수 있는 영국에서는 별로 인정을 받지 못했었다.
그의 재능을 알아본 사람은 당시 미국의 대통령이었던 <루즈벨트>였고 그의 이론은 훗날 <뉴딜정책>의 이론적 지침이 되었다.
이후...미국은 유럽의 경제 성장을 뛰어 넘는 빠른 성장을 하게 되었는데, 이때부터 경제학에서는 그동안의 정설로 존재했던 <고전학파>를 버리고 <케인지안>이라고 하는...케인즈의 이론을 추종하는 새로운 경제학파가 새롭게 부상하기 시작했지...
이처럼 재능이라는 것은 처음 어머니의 뱃속으로부터 주어지는 것이다.
스스로 소름이 돋을 정도로 신이 나는 일이 있다면 그 방면에 재능이 있다고 보면 될 것이야.
또한 그런 재능이 있다면 지금까지의 구식 이론에 충실할 필요도 없을 것이다.
기존의 이론적인 토대는 그저 불필요한 시행착오를 줄이는 정도의 역할만 할 뿐...오히려 창조적인 결과물은 새로운 도화지에 그린 그림에서 나오는 경우가 많다는 것은 케인즈를 통해서 증명이 가능할 것이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