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지만 금리 인하에 따라 정부의 부동산 정책 대출 상품의 금리 조정과 이를 운영하기 위한 중장기 플랜 마련이 필요하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습니다.
국승한 기자입니다.
<기자> 정부가 서민주택 안정과 부동산 시장 활성화를 위해 정책적으로 지원하고 있는 대출상품은 10여개.
대표적인 상품인 디딤돌 대출의 경우 근로자서민형과 생애최초, 우대형, 기본형에 따라 금리는 연 2.8~4.55%에 달합니다.
보금자리론은 연 3%, 생애최초주택자금대출은 연 4.2%의 이자를 내야 합니다.
공유형 모기지 대출이 연 1.5% 금리로 가장 이자가 싸지만, 부부합산 연소득 7천만원 이하여야 하고, 생애최초 주택구입자에게만 대출이 허용되는 등 까다로운 조건이 뒤따릅니다.
한국은행의 기준 금리가 사상최초로 1%대에 진입한 만큼 업계에선 정부가 부동산 거래 활성화를 통해 내수경기를 부양하기 위해선 기존 부동산 정책 대출상품의 금리가 내려야 한다고 입을 모으고 있습니다.
기준 금리가 1.75%로 인하됨에 따라 각 시중 은행들의 대출 상품의 금리도 추가 인하가 예정되어 있는 만큼, 현재의 금리 수준으론 부동산 정책자금으로서의 역할을 할 수 없다는 지적입니다.
특히 이번을 기회로 부동산 정책 지원 대출상품을 적절한 금리와 함께 중장기적으로 안심하고 쓸 수 있는 성격의 자금으로 지원되어야 한다는 분석 입니다.
현재와 같은 저금리 상태에서 주택을 구매했는데, 앞으로 기준 금리가 인상됐을때 정책대출 상품의 금리도 함께 인상된다면 이자부담 증가와 함께 가계대출 부실화라는 심각한 부작용을 가져올 수 있기 때문 입니다.
업계에선 전세난에 지친 실수요자들에게 주택 구매를 유도하는 현 정부의 정책이 부동산 시장 활성화와 가계부채 안정이라는 두마리 토끼를 다 잡기 위해선 단기적인 대책 보다 우리 경제의 체질을 개선할 수 있는 체계적이고 중장기적인 마스터 플랜 마련이 시급하다고 강조하고 있습니다.
한국경제TV 국승한 입니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