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메이요 클리닉의 클리포드 잭 박사는 30대 중반부터 60대 중반까지는 거의 누구나 기억력과
뇌의 기억중추인 해마(hippocampus)의 용적이 차츰 줄어들며 이런 자연적인 과정은
치매의 병리현상과는 무관하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했다고 헬스데이 뉴스가 16일 보도했다.
이러한 자연적인 기억력 저하에는 치매의 특징적 병리현상으로 뇌신경세포에 나타나는
독성 단백질 아밀로이드 베타 플라크(노인반)의 출현이 거의 수반되지 않는다고 잭 박사는 밝혔다.
치매증세가 없는 30-95세의 남녀 1,246명을 대상으로 표준 기억력 테스트와 함께
자기공명영상(MRI)으로 해마의 용적을 측정하고 양전자방출단층촬영(PET)으로 뇌신경세포의 노인반 발생 여부를 관찰한 결과
이 같은 사실이 밝혀졌다고 잭 박사는 말했다.
노인반이 나타난 사람은 얼마 되지 않았고 그것도 70세 부근에 이르러서야 나타났다는 것.
이러한 현상은 특히 치매 위험을 높이는 APOE4 변이유전자를 지닌 사람들에게서 두드러졌는데
이 변이유전자를 지닌 사람은 다른 사람보다 노인반이 빨리 나타나고 70세 이후에는 급격한 증가를 보였다고 한다.
`노인반 양성`으로 판정된 연령은 APOE4 변이유전자를 지닌 사람이 57세, 변이유전자가 없는 사람은 64세였는데
APOE4 변이유전자를 지닌 사람도 다른 사람보다 기억력이나 해마의 용적은 크게 줄어들지는 않았다고.
전체적으로 노인반이 발견된 사람은 70세 이전에는 그 수치가 낮았으며 70세가 지나면서 높아지기 시작했다.
기억력이 저하되고 해마가 줄어드는 속도는 남성이 여성보다 빨랐는데
이는 기억력에 문제를 일으킬 수 있는 심혈관질환 위험인자들을 남성이 여성보다 더 많이 가지고 있기 때문일 것으로 잭 박사는 풀이했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