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론의 지나친 관심에 경종을 울리고 있다.
유명인의 자살이 일반인들 사이에 모방자살로 이어지는 `베르테르 효과`를 시사하는 것으로
향후 이에 초점을 맞춘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베르테르 효과는 괴테의 소설 `젊은 베르테르의 슬픔`이 출간된 18세기 말 유럽에서
소설 주인공 베르테르를 흉내 낸 모방자살이 급증했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으로 의학적으로는 보통 유명인 자살 후 1개월 이내를 모방자살로 본다.
성균관대의대 삼성서울병원 전홍진 교수팀은 2005~2011년 사이 7년간 국내에서 자살로 사망한 94,845명 전체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이같이 분석됐다고 22일 밝혔다.
연구 기간 자살 사건으로 TV와 신문에 1주일 이상 보도된 유명인은 모두 13명으로 이들 사망 후
1개월 이내에 자살한 사람은 무려 17,209명으로 전체 자살의 18.1%를 차지했다는 것.
또 유명인 1명이 자살한 후 1개월 동안 하루 평균 자살자는 45.5명으로 유명인 자살 전 1개월간 하루 평균 자살자가
36.2명이었던 것과 비교하면 무려 9.4명(25.9%)이 늘어난 수치다.
이런 상관성은 유명인이 연예인이나 가수인 경우에 두드러졌다.
특히 자살자 중에서도 20~30대 젊은 여성은 유명인의 자살 방법까지도 그대로 모방하는 경우가 많았으며,
유명인 사망 후 자살률이 크게 높아지는 시점에 이런 경향이 더 강했다.
수치상으로는 20~30대 여성의 모방자살 위험도가 다른 연령대에 비해 1.6배나 높았다.
연구팀은 매스미디어의 유명인 자살보도가 일반인 중에서도 특히 젊은 여성에게 더 큰 영향을 미친 점에 주목하고 있다.
젊은 여성이 자살 보도에 더 민감한데다 우울증 등 정신건강 문제가 더 흔하게 발생하는 것과 관련이 있다는 게 연구팀의 배경 설명이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