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장동민 삼풍백화점-여성비하 발언 논란 끝 하차(사진 = 한경DB) |
예능섭외 대세 장동민이 융단폭격 대세가 되고 있다. 무도의 식스맨 후보에서 밀리더니 아예 방송 퇴출 후보 1순위가 됐다. 이유는 과거 인터넷방송에서 했던 발언 때문이다.
우선은 자신의 스타일리스트에 대한 막말과 욕설이 문제였다. 다음으로는 삼풍백화점 참사 생존자에 대한 비하였다. 삼풍백화점 관련 당사자에게서 고소를 당했고, 이는 비틀거리던 장동민에게 치명타를 가하고 있다.
공통점은 모두 여성이었다. 여기에 단지 여성이라는 생물학적인 특징이 아니라 약자라는 공통점이 있었다. 만약 여성이라해도 권력자에 모순과 허위에 대한 풍자라면 달라질 수 있을 지 모른다. 왜냐하면 개그맨에게도 풍자할 명분은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모두 사적인 감정 풀이에 불과했고, 비난을 당할 이유가 없었다.
그런데 장동민 사례에서는 독특한 특징이 하나 있었다. 대개 인터넷방송의 가감없는 원색적인 발언은 무명이거나 대중에게 채 알려지지 않는 연예인이 구사하기 마련이었다. 대표적인 이가 바로 김구라였다. 주목을 받기 위해 의도적인 경우가 많았다. 김구라도 뜨기 위해 원색적인 발언들을 했지만, 지상파 방송활동 이후에는 그런 발언을 하지 않았다.
하지만 장동민은 그럴 입지가 아니었다. 그는 이미 누구보다 지상파 예능 활동을 하고 있었음에도 인터넷에서 막말을 했다. 애써 눈길을 끌기 위해 평소 입에 담지 못할 욕설을 애써 할 이유가 없는데도 말이다. 이 때문에 그 정체성에 대해 더 의구심을 보내는 것이다.
그렇다면 장동민은 왜 그런 언행을 했을까. 뜨기위해서라기보다는 인터넷방송에서는 자신의 견해를 마음대로 쏟아내도 된다는 인식이 막말에 대한 둔감성을 불러일으켰을 지도 모른다. 흔히 매체에 따라 발언 수위가 달라도 된다는 생각이 엄존한다. 지상파보다는 케이블, 케이블이나 종편보다는 인터넷방송 그중에 요즘 많이 하는 팟캐스트가 이에 속한다. 하지만 이런 매체에서 좀 더 원색적이고 노골적인 발언이 가능하다고 생각하는 경향은 오작동을 일으킬 수 있다.
예컨대 종편에 출연 중이었던 곽정은은 19금 발언으로 인기 몰이를 했는데, 지상파 SBS에 출연하며 매체 착시 현상을 보여줬다. SBS `매직 아이`에 출연했던 곽정은이 장기하에게 `침대에서는 어떨까 궁금하다`는 발언을 했기 때문이다. 이러한 발언은 종편이나 케이블에서 각광받는 내용이었다. 19금 발언 중에 성적인 내용이 다분했던 JTBC `마녀 사냥`에서 입담을 과시했으니 `매직아이`의 발언은 아무것도 아닌 듯 싶다.
하지만 곽정은의 발언에서 문제는 19금 자체가 아니라 인식의 문제였다. 만약 침대에서 어떨까라는 발언을 여성이 남성에게 한 것이 아니라 남성이 여성에게 했다면 어떨까 싶기 때문이다. 당연히 사전 단계에서 이런 발언은 게스트 스스로 걸러 버릴 것이다. 여성에게든 남성에게든 성적인 수단으로 대하는 발언은 조심스러울 필요가 있다. 또한 제작진도 문제의식을 가지고 있었더라면 편집했을 것이다.
그렇다면 제작진마저 왜 그대로 방송을 했을까. 바로 종편이나 케이블의 미디어 코드에 기대어 시청률을 올리려고 했기 때문이다.곽정은도 이에 부응하려했다. 하지만 곽정은의 발언은 보편적인 관점에서 하지 말았어야 하는 발언이었다. 더구나 `마녀사냥`에서 장점이었던 진실성은 전혀 없는 유희적인 발언에 불과했다. 장동민의 발언과 같은 맥락안에 있었다.
진실이 아니라 희화화를 위한 수단에 머물렀다. 물론 장동민의 발언은 그 정도가 심했다. 진실을 위한 풍자적 막말이 아니라는 점은 더욱 설득력을 잃었다. 무엇보다 매체에 따른 수위는 달라도 인터넷 포털에서는 보편성에서 판단된다. 장동민의 발언이 문제가 된 것은 무도의 식스맨에 나온 뒤 포털에 노출됐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에 대한 매니지먼트가 필요하다.
다시 요약하면, 매체에 따라 수위의 조절이 달라질 수는 있지만 보편적, 상식적 그리고 시대적 정서에 맞지 않는 발언은 삼가야 한다. 요즘처럼 팟캐스트가 열풍인 상황에서는 더욱 그렇다. 과거 나꼼수가 여성에 대한 성상품화로 구설수에 오른 뒤 정상화와 합리화의 수순으로 간 것은 그들의 지지 기반을 무너뜨리는 기폭제가 된 바 있다. 권력과 모순에 대한 풍자와 전혀 관계가 없는 원색적인 희화에 불과했는데, 그것에 대한 인식이 없는 것으로 비쳐졌다.
장동민의 사례에서 알 수 있듯이 이런 보편적인 정서와 시대정신에 부합하는 내용을 매니지먼트할수 있는 이들과 같이 협업하는 노력이 언제나 필요하다. 장동민은 경기장 안의 플레이어이기 때문에 플레이어는 경기에 몰두하다보면 자신이 레드카드를 받을 만한 짓을 하고 있는 지 미처 인식을 못한다.
적절한 코칭이 따르지 않으면 상황에 대한 인지는 더욱 둔감해진다. 이런 코칭은 팟캐스트와 지상파를 오가는 이들에게 더욱 필요하다. 앞으로 다매체 시대에 더욱 매체별은 물론이고 통합적인 매니지먼트 코칭이 중요해질 것이다. 그렇지 않으면 한순간에 쌓은 입지가 붕괴, 궤멸되는 초연결사회로 이미 대한민국에 들어섰기 때문이다.
김헌식 대중문화평론가(동아방송예술대학 교수)
※ 외부 필진의 의견은 본지의 편집방향과 다를 수 있습니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