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자소득에 생활자금의 상당 부분을 의존하는 은퇴생활자들의 자산운용에는 또다시 비상이 걸렸다.
이미 낮아질 대로 낮아진 은행 예금 금리지만 더 하락할 것이 분명하고,
금리연동형 보험상품의 환급금을 좌우하는 공시이율도 떨어질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누구나 아는 일이지만 은행 예금금리는 이미 대부분 1%대로 떨어져 물가상승률과 이자소득세 등을 감안하면 `제로금리`나 다름없다.
한국은행이 발표한 `4월 중 금융기관 가중평균금리` 자료를 보면 개인고객이 많이 가입하는
은행권 1년 정기예금 평균금리는 전달보다 0.17%p 떨어진 1.84%로 사상 처음으로 1%대에 진입했다.
삼성·한화·교보생명 등 대형 생보사들의 저축성 보험 공시이율도 지난해 5월 3.95%∼3.98%를 기록했으나 이달 초에는 3.02%∼3.25%까지 떨어졌다.
우리은행의 신현조 PB팀장은 "작년에서 올해 사이에 예금 금리가 약 1%포인트 인하했다고 하면 크지 않아 보이지만,
실질적으로는 기존 3%에서 2%로 떨어졌다고 가정하면 수익이 30% 줄어든 셈"이라며
"예금이 10억원이 넘더라도 한 달에 200만원도 받지 못하는 시대"라고 설명했다.
이자수익의 감소폭이 더 줄어들 수밖에 없는 만큼, 예금 이외의 상품을 적극적으로 이용해야 한다는 것이
자산관리 전문가들의 공통된 조언이다.
기업은행 WM사업부의 이영아 과장은 "이제 예금은 더 이상 재테크가 아니라 보관의 수단이라고 봐야 한다"며
"초저금리 시대 재테크의 첫 번째 원칙은 절세에서 시작하라는 것이고, 그 다음이 저축보다는 투자에 나서라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