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화 ‘암살’의 전지현과 이정재(사진 = ‘암살’ 스틸컷)
폭발적인 예매와 기록적인 관객동원은 오랜만에 온 가족 전 연령대가 고르게 볼 수 있는 영화가 나온 듯싶었다. 비록 스크린은 거의 영화 ‘암살’이 다 차지하고 있나 싶지만, 영화 ‘국제 시장’이나 ‘연평해전’처럼 현대 역사를 다뤘어도, 한쪽으로 쏠리거나 편향돼 필요 없는 논란을 일으킬 소지도 없다.
무엇보다 대한민국 국민이라면 누구나 보편적인 공감대를 형성하고 있는 소재를 다루고 있기 때문이다. 비록 단순 팩트는 역사에 등장하지만 그 전체 이야기는 허구일지라도 항일운동에 관한 공감대는 한국사람 모두에게 보편적이다. 더구나 일본 극우의 발호로 일본학생들조차 반정부 시위에 나서고 있을 만큼 한일관계도 항일의식을 상기시키고 있다.
그런데 관련 언론에서 영화와 관련해 가장 부각된 포인트는 사실상 전지현(안옥윤 역)이었다. 공교롭게도 임신 사실과 함께 그녀가 부각된 것은 아무래도 드라마 ‘별그대’의 여파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에 한류스타로 가장 입지를 잘 구축하고 있는 배우 중 한 명이기 때문이다. 영화에서도 가장 멋지게 표현되는 캐릭터를 맡기도 했다.
하지만 이 영화에서 전지현이 초점이 아닐 뿐더러 단지 배우들의 연기력에만 방점을 찍어야 하는 것도 아니었다. 물론 최동훈 식의 서사 얼개가 흥미진진하게 펼쳐지는 것은 관객의 몰입을 이끌어내고, 그 서사의 생생함을 연기자들이 살려주고 있다. 이 영화는 우리 민족의 꿈에 관한 이야기이기 때문에 재미로만 볼 수 없는 가치를 지닌다. 그동안 외면됐던 그리고 미완의 꿈을 실현해 내고 있기 때문에 오락영화임에도 불구하고 벅찬 여운을 남기는 것이다.
우선 백범 김구(김홍파 분)와 약산 김원봉(조승우 분)이 같이 협력을 통해 일제 수뇌와 친일파 응징을 계획하는 대목은 가슴을 벅차게 만들었다. 그것은 마치 갈라진 남북이 함께 합쳐진 듯한 벅참을 느끼게 해주었다. 더구나 약산 김원봉은 북에서조차 버려진 인물로 그는 그 업적에 비해 어디에서도 가치 평가를 받지 못했다.
▲ 영화 ‘암살’의 조승우와 이정재(사진 = ‘암살’ 스틸컷)
그런 면에서 제일 주목을 받아야 하는 배우는 약산 김원봉을 연기한 조승우였다. 비록 그 분량이 짧지만, 거대한 역사적 인물을 한국의 영화에 등장시킨 것은 이 영화의 큰 성과이다. 더구나 해방공간의 영화 결말에 그를 다시 임정과 협력적 관계로 다시 등장시킨 것은 완결적이었다.
여기에서 완결적이라는 것은 조국의 독립운동을 위해 분투했던 모든 이들의 노력이 있었다는 점을 부각시키고 있었다는 의미다. 남북이 미래에 어떻게 같이 화해와 협력을 이끌어내야 하는지 방향성을 제시하기도 했다. 그것은 우리 민족의 미완의 꿈이자 미래 비전이다.
여기에 또 하나의 미완의 꿈이 있다. 이 영화는 친일파 암살에 관한 이야기지만, 실제 역사도 그러했듯이 미션은 완수되지 못한다. 해방 이후에도 그 미션은 완수되지 못하는 듯싶다. 하지만 영화는 멋진 결말까지 이끌어낸다. 법적 제도적으로 하지 못한 친일파 처단을 직접 해내었기 때문이다. 그것은 비록 사적인 복수와 같이 이뤄지지만 통쾌한 감흥을 이끌어낸다.
염석진(이정재 분)의 행보를 통해서 자신의 행위를 합리화해온 이들을 통쾌하게 복수를 대신하고 있는 셈이다. 그것은 미래를 열어가는 꿈을 의미하기도 했다. 자신의 이익을 위해 함부로 동료와 민족을 배신하는 행위들에 대한 정의의 실현이었다. 물론 중심세력은 건드리지 못하고, 하위에 해당하는 이, 즉 같은 독립군을 배반한 이에 대한 응징이 결말의 포인트가 된 것은 아쉬운 점이기는 했다.
어쨌든 이 영화를 통해 우리가 다시 환기해야 하는 점은 단지 누군가를 암살하는 것에만 머무는 것이 아니라 다른 벅찬 그 무엇이다. 그 무엇은 우리의 미래를 위해 갈라진 이들이 모두 대동단결해 합심해야 한다는 점이다. 동북아의 국제정세를 볼 때도 이러한 점은 갈수록 중요해지고 있으며, 남북한 통일에서도 마찬가지다.
이미 우리는 1930년대에 그렇게 협력해 같은 길을 가고 있었기 때문이다. 그것은 과거가 아니며 미래의 우리 길이다. 바로 오래된 미래이며, 이 영화가 단지 옛날 독립운동을 다룬 상업영화에만 그쳐서는 곤란한 이유다. 계파나 노선에 관계없이 조국과 민족을 위해 희생한 수많은 이들의 활동에 대한 가치를 올곧게 평가하는 기회가 마련될 때, 그 미래는 우리의 비전이 될 것이다.
김헌식 대중문화평론가(동아방송예술대학 교수)
※ 외부 필진의 의견은 본지의 편집방향과 다를 수 있습니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