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만할수록 오래 산다는 `비만의 역설`을 뒷받침하는 새로운 근거로 `희한한` 연구결과가 아닐 수 없다.
서울대병원은 신경과 이승훈 교수 등이 2002년 10월부터 2013년 5월까지 서울대병원에 입원한
급성 뇌경색 환자 2,670명의 입원 당시 뇌경색 중증도를 분석한 결과, 비만도가 가장 높은 환자는 가장 낮은 환자보다
중증일 확률이 3분의 1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11일 밝혔다.
이 교수는 뇌경색 환자의 의식, 신경학적 기능 등을 수치로 평가하는 `초기 뇌경색 강도 점수`를 기준으로
7점 이하는 경증, 8점 이상은 중증 뇌경색으로 판단했다.
세계보건기구(WHO)는 비만도 18.50∼24.99㎏/㎡를 `정상`으로, 25㎏/㎡ 이상을 `과체중`으로 분류하지만
이 교수는 세분화한 연구를 위해 비만도를 21.2㎏/㎡ 이하, 21.2∼24.0㎏/㎡, 23.1∼24.5㎏/㎡,
24.6∼26.2㎏/㎡, 26.3㎏/㎡ 이상 등 5단계로 나눴다고 한다.
그 결과 가장 비만도가 낮은 환자 그룹의 중증 뇌경색 발생률을 기준(100%)으로, BMI가 한 단계씩 높아질수록
중증 뇌경색 발생률이 각각 65%, 48%, 39%, 31%로 점점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는 것.
과체중 뇌경색 환자의 가벼운 초기 증상은 3개월 뒤 예후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끼쳐
비만도 구간별로 3개월 뒤 후유장애 정도를 비교한 결과 과체중 환자의 후유장애는 마른 환자보다 다소 가벼운 경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비만의 역설`은 다양한 질환에서 보고되고 있지만 발생 기전이 뚜렷하지 않아
`뚱뚱하면 오래 산다`고 결론을 내리기는 아직 섣부른 면이 많다고 한다.
서울대병원은 "비만이 직접적으로 생존에 영향을 미치는 것이 아니라 뇌졸중의 중증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밝혀
생존율에도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점을 주장하는 첫 연구 결과"라고 의미를 설명했다.
뇌경색은 뇌졸중의 일종으로, 뇌졸중은 허혈성과 출혈성 뇌졸중으로 나뉘는데, 이 중 뇌경색은 허혈성 뇌졸중을 일컫는다.
뇌졸중은 암에 이어 국내 사망 원인 2위인 질환으로 국내에서 뇌졸중으로 인한 사망은 전체의 약 10%를 차지하고 있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