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100대 기업의 사외이사는 74%가 재계 출신인 것으로 조사돼 엄청난 차이를 보였다.
우리 기업들이 다분히 정·관계를 의식한 `바람막이용` 인사들로 채워진 반면 사외이사 제도의 원조 격인 미국의 대기업들은
철저하게 해당업계 전문가들을 중용한 것으로 해석되고 있기 때문이다.
국내 그룹간에도 차이는 엄존, 영풍, 두산, CJ, OCI, 동국제강, 신세계, 롯데, 효성 등 8개그룹은 관료 출신 사외이사 비중이 50%를 넘었다.
반면 미래에셋은 관료 출신 사외이사가 단 한 명도 없었고 포스코, LG, KT도 10%대에 불과했다.
기업 경영성과 평가사이트 CEO스코어(대표 박주근)가 국내 30대 그룹 187개 상장사의 사외이사 609명과
미국 포천지가 선정한 상위 100대 기업 사외이사 815명의 출신 이력을 전수 조사,26일 밝힌 분석 결과다.
국내 30대 그룹 사외이사 중 관료 출신은 235명으로 38.6%, 다시 말해 10명중 4명이라는 이야기다.
다음은 186명을 배출한 학계로 30.5%를 차지했고 재계 인사는 97명으로 15.9%에 불과했다.
그밖에 언론(25명, 4.1%), 공공기관(24명, 3.9%), 법조(17명, 2.8%), 세무회계(14명, 2.3%), 정계(4명, 0.7%) 출신 순이었다.
반면 포천 100대 기업의 경우는 815명의 사외이사 중 재계 출신이 603명(74.0%)으로 절대 다수였다.
반대로 관료 출신은 채 10%도 되지 않는 81명(9.9%)에 그쳤고 그 다음은 학계 57명(7.0%), 세무회계 31명(3.8%),
언론 15명(1.8%), 법조 12명(1.5%), 정계 8명(1.0%) 순이었다.
미국의 경우는 특히 경쟁사 CEO를 사외이사로 영입할 정도로 재계 전문가 모시기에 적극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 최대 그룹인 삼성의 경우 관료 출신이 62명 중 20명(32.3%)인데 비해 재계 출신은 4명(6.5%)에 불과했고
현대차 역시 47명 중 23명(48.9%)이 관료 출신이고 3명(6.4%)만이 재계 출신이었다.
관료 사외이사는 법조, 국세청, 공정위, 감사원 등 이른바 4대 권력기관 출신에 집중,
전체 235명 중 4대 권력 기관 출신이 132명으로 무려 56.2%에 달했다.
법원·검찰이 69명(29.4%), 세무 41명(17.4%), 공정위 17명(7.2%), 감사원 5명(2.1%) 순이었다.
4대 권력 기관에 이어 청와대 58명(24.7%), 기획재정부 17명(7.2%), 금감원 4명(1.7%) 등이 뒤를 이었다.
톡톡 튀는 한국경제TV 카드뉴스 보기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