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지하철역 10곳 중 4곳이 비상대피 기준에 맞지 않아 화재 등 사고 시 대형재난으로 이어질 우려가큰 것으로 나타났다.
17일 국회 안전행정위원회 소속 진선미(새정치민주연합) 의원이 서울메트로와 서울도시철도로부터 제출받은 `서울지하철 비상대피시간 초과 역사 현황` 자료를 보면 276개 역 중 39.5%인 109개 역이 비상대피시간을 초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비상대피기준은 2003년 대구 지하철 참사 이후 미국방재협회의 기준에 따라 마련된 것으로, `승객이 4분 이내에 승강장을 벗어나고 6분이내에 연기나 유독가스로부터 안전한 외부출입구를 벗어나도록 한다`고 국토교통부 지침에 규정됐다.
7호선의 경우 지상에 있는 39개 역 중 28개 역(71.8%)이 비상대피시간을 초과해 가장 위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3~6호선도 기준을 초과하는 역사가 많은 것으로 파악됐다.
대피 시간대별로는 승강장에서 외부 출구까지 가는 데 6분을 초과하는 역이 98개 역(89.9%)으로 가장 많았다. 10분이 넘는 역도 9개 역이나 됐다.
승강장에서 외부 출구까지 대피 시간이 가장 오래 걸리는 역은 8호선 산성역으로 15분 5초가 소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7호선 숭실대입구역은 13분, 6호선 버티고개역은 12분 4초, 5호선 영등포시장역은 12분 1초, 4호선 사당역은 10분 40초였다.
대피시간이 기준을 넘는 원인은 `지하철 만차 시 혼잡`이 73.4%로 가장 많았다.
진 의원은 "서울지하철은 하루 500만명 이상의 시민이 이용하는 대중교통수단인 만큼 신규 역사 건설 때는 비상대피기준에 맞게 설계하고 기존 역도 특별피난계단을 설치하는 등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