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희망펀드를 두고 시중 은행들간 경쟁에 불이붙었습니다.
사실상 대부분의 은행사가 평직원들에 가입을 강요하고 있고, 하나금융은 주요 계열사에까지 공문을 발송했습니다.
자발적이라는 설명과는 전혀 다른 현실, 조연 기자입니다.
<기자>
정치권을 중심으로 젊은 세대 일자리 창출을 지원하기 위해 조성중인 청년희망펀드.
5개 시중 은행이 공동으로 상품을 출시하면서, 성과에 세간의 이목이 쏠리다보니 과당경쟁이 심각합니다.
KEB하나은행 영업점 직원들에게 내려진 공문입니다.
"청년희망펀드 공익신탁 가입 협조를 요청합니다"
`가입을 권장한다`, `협조를 요청한다`는 말로 에둘러 표현했지만, 방법과 시간까지 명시해 가입을 강요하고 있습니다.
이 공문은 `은행 이미지 제고` 차원에서 계열사 전 직원들에게도 전달됐습니다.
다른 은행들도 별반 다를게 없습니다.
KB국민은행의 경우 지점장을 필두로 "일단 본인부터 각자 가입하라"는 구두 공지가 떨어졌습니다.
영업지점에서 일하는 한 직원은 "5개 은행이 좌수경쟁한다고 할당이 떨어졌다"며, "은행원들 돈 강제로 뜯는 모양새여서 분위기가 뒤숭숭하다"고 설명했습니다.
실제로 21일 시작된 청년희망펀드는 하루만에 총 2만여명 가입이란 놀라운 실적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박 대통령이 청년희망펀드를 제안한 뒤 출범까지 일주일이 채 걸리지 않아 홍보 시간이 없었던 것을 감안하면, 이 중 상당수가 각 은행의 직원들일 가능성이 높다는 분석입니다.
은행들의 상품판매 할당은 오랜기간 이어져온 공공연한 사실입니다.
대부분의 시중 은행들이 업무실적을 계량화한 핵심성과지표(KPI)란 이름으로 상품판매 성과를 인사고과에 반영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기부금 형태의 청년희망펀드마저 할당을 하는 것은 펀드 설립취지를 퇴색시킨다는 지적입니다.
특히 이 펀드의 경우 중도해지가 안되고 중간에 추가 납입은 가능하다 보니 향후에도 언제든 각 회사 차원 이익을 위해 압박을 넣으면 현장 직원들이 자비를 털어야 하는 악순환이 반복될 것이란 우려도 제기됐습니다.
CEO와 임원에서 그칠 것이라는 설명과 달리 금융권 전 직원이 동원되고 있습니다.
한국경제TV 조연입니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