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국제신용평가사들이 잇따라 브라질의 국가신용등급을 강등하면서 국내 투자자들의 손실이 커지고 있습니다.
7조원이 넘는 브라질 국채에 투자한 투자자들의 고민이 깊어지고 있습니다.
이인철 기자의 보도입니다.
<기자> 2011년부터 지난 8월까지 국내에서 판매된 브라질채권은 약 7조8000억원 수준.
한국과 브라질 정부의 조세협약에 따른 비과세 혜택과 연 10% 넘는 고금리를 내세워 증권사들이 마케팅을 강화하면서 거액 자산가들이 대거 투자에 나섰습니다.
문제는 브라질의 고속 성장이 멈추고 정치적 불안까지 가세하면서 브라질의 국가신용등급이 바닥을 모르고 추락하고 있습니다.
국제신용평사인 피치가 브라질의 국가신용등급을 투자부적격 정크등급 직전 등급인 `BBB-" 낮췄습니다.
앞서 S&P와 무디스도 브라질의 신용등급을 투기 등급으로 하향조정하거나 강등 가능성을 경고하고 있습니다.
때문에 2011년초 670원대 브라질 국채를 매입한 국내투자자는 환차손에 채권가격 하락에 따른 손실까지 가중되면서 4년도 안돼 50% 이상의 손실을 입었습니다.
증권사들은 현재는 브라질 국채판매를 중단 한 상태지만 삼성증권이 2조 가량의 잔고를 보유하고 있고 미래에셋증권과 신한금융투자도 1조원 넘는 발행잔액이 남아 있습니다.
이들 증권사들은 내부적으로 브라질 국채에서 막대한 손실을 입은 투자자들에게 다른 대체 상품투자를 통해 손실을 메꿔주는 방식으로 투자자들의 불만을 해소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브라질 국채를 보유한 투자자들은 불안할 수 밖에 없습니다.
[인터뷰] 업계 관계자
"최근 유가, 구리 등 원자재 가격이 반등을 했다. 위안화와 이머징마켓 통화들이 반등을 한 국면이다. 반등을 좀 하면 그때 처분해도.."
전문가들은 현재 브라질 국채를 손절매 할 경우 워낙 손해를 많이 보기 때문에 보유후 헤알화 가치가 어느 정도 회복되는 시점에 처분해서 손실폭을 줄여야한다는 겁니다.
무엇보다도 이번 사태를 계기로 증권사는 파는 시점에서 고마진 상품을 파는 데 그치는게 아니라 판매 이후 사후관리까지 책임지는 판매채널에 대한 규제가 정비돼야한다고 입을 모으고 있습니다.
한국경제TV 이인철입니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