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성과주의 도입을 무리하게 밀어붙이면서 금융권의 반발이 거세지고 있습니다.
금융 공기업은 몰라도 민간 기업에까지 성과주의 도입을 강요하는 것은 ‘지나친 경영간섭’이라는 지적입니다.
박시은 기자의 보도입니다.
<기자>
지난해부터 성과주의 도입을 줄기차게 강조해온 임종룡 금융위원장이 그 의지를 다시 한 번 드러냈습니다.
<현장음> 임종룡 금융위원장
“잘하는 사람이 더 좋은 대우를 받도록 차등화하고 보수체계에 문제뿐만 아니라 평가와 인사체계, 교육 프로그램 등 다양한 측면의 개선을 추진하겠습니다.”
정부는 먼저 금융 공기업을 대상으로 성과주의 도입을 유도하기로 했습니다.
올해 금융 공기업의 인건비 예산 인상률은 평균 2%.
이 중 1%만 우선 지급하고 나머지 1%는 성과주의 도입 추이를 봐 가며 추가로 지급하겠다는 게 정부의 방침입니다.
정부의 이 같은 방침에 금융 공기업은 물론 민간 금융회사들도 당황스럽다는 반응입니다.
금융 공기업에 성과주의가 도입되면 자연스럽게 일반 금융회사들도 뒤를 따를 공산이 크기 때문입니다.
특히 영업 현장에서 근무하고 있는 은행원들은 벌써부터 불안해하고 있습니다.
성과주의 도입으로 개인별 평가가 시작되면 실적 압박이 더 커질 수 밖에 없기 때문입니다.
특히 지점과 창구별로 상황이 다른 은행 업무의 특성을 일일이 반영한 개인별 성과평가가 가능할 지 의문이라는 반응입니다.
<인터뷰> 시중은행 영업점 직원
“신용카드 목표치가 90%밖에 안됐다고 하면 나머지 10%를 채우기 위해 영업점 직원들이 어떻게든 채워야 하고..(직원들끼리) 연대하는 업무가 상당히 많아요. 업무적인 환경이 어떤 창구는 그런 업무가 가능하고 어떤 창구는 어려운 상황이 분명히 있는데..“
성과주의 도입의 당위성에 대해 근본적인 의문을 제기하는 시각도 있습니다.
<인터뷰> 시중은행 고위관계자
“연봉제를 실시하는 나라들은 회사가 안 망하냐, 근본적인 물음을 던져보면 제도가 다가 아니라는 생각이 들구요. 성과를 위한 불완전판매나 또 다른 문제를 야기할 수도 있고 장기 지속가능한 성과를 낼 것이냐에 대해서도 생각이 다른 것 같습니다.”
금융회사 경영에 더 이상 개입하지 않겠다던 금융당국 수장의 약속이 공수표가 되는 건 아닌지 우려하는 목소리가 높습니다.
한국경제TV 박시은입니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