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50~60대 중고령자 10명 중 1명은 어떠한 여가 활동도 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고령자를 고려한 정책 수립 및 지원이 필요해 보인다.
14일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의 `은퇴전환기 중고령자의 일·여가 현황과 여가증진방안 연구`(책임연구자 강은나 등) 보고서에 따르면 휴식이나 TV 시청을 제외한 여가 활동을 전혀 하지 않은 중고령자는 11.9%에 달했다.
연구는 전국 광역시·중소 도시의 동(洞) 지역에 거주하는 만 50~69세 중고령자 2천508명을 대상으로 여가 및 근로 활동, 여가 시간, 인식 등을 분석했다.
특히 `여가` 개념은 자유 시간에 단순히 무엇을 하는 것이 아니라 자신에게 의미있는 활동을 자발적으로 선택·참여하는 활동(如可)으로 판단했다.
노동 시장에서 은퇴 전환점에 있는 이들은 평균 1.8개의 여가 활동을 했다.
남성(1.9개)과 여성(1.8개)의 평균 여가 개수는 비슷했지만 여가 활동에 참여하지 않은 비율은 여성이 15.1%로 남성(8.7%)의 1.7배였다.
활동 개수별로 보면 2가지의 여가 활동을 한다는 중고령자가 31.9%로 가장 많았고 1개(29.0%), 3개(21.6%), 4개 이상(5.7%) 등이 뒤를 이었다.
여가 활동 유형은 걷기·산책, 등산 등 운동(67.9%)의 비중이 대부분을 차지했다. 이어 오락활동(34.4%), 문화예술 관람활동(22.2%) 등의 순이었다.
중고령자 각각은 지난 1년간 참여한 여가 활동에서 1회당 평균 2만8천300원을 지출했다. 1회 지출 비용이 전혀 없는 경우는 전체의 14.5%였다.
중고령자의 19.9%는 여가 활동을 혼자서만 하고 있었다.
혼자 여가 활동을 즐기는 사람의 만족도는 3.37점(5점 만점)으로 가족(3.41점), 친구·동료(3.56점), 단체·모임(3.83점)의 여가 만족도보다 낮았다.
한편, 중고령자의 84.7%는 여가 활동을 중요하다고 인식했지만 실제로 여가 생활을 즐기고 있다고 생각하는 경우는 44.8%로 절반에도 미치지 못했다.
여가를 즐기지 못하는 사람의 비중은 중졸 이하(65.7%), 고졸(55.1%), 대졸이상(40.1%) 등 학력이 낮을수록 더욱 높은 편이었다.
보고서는 "여가 활동 참여도와 다양성을 확대하는 방향으로 정책이 설계돼야 한다"며 "중고령자의 여가 관계망을 확대하기 위한 지원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은퇴 과정에 따라 그리고 경제 활동 특성에 따라 차별화된 여가 프로그램과 지원 계획이 수립돼야 한다"고 덧붙였다.
다만 보고서는 지역 범위를 도시 지역을 한정해 농촌에 거주하는 중고령자의 여가 현황과 지원 방안에 대한 연구를 제외한 점을 한계로 언급했다.
[온라인뉴스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