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출생아 수가 3년 만에 증가세를 기록하기는 했으나 출생아 수가 역대 4번째로 적었고 합계 출산율도 초저출산 국가 기준을 넘어서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처럼 출생아 수가 늘어나는 속도는 더디고 사망자 수는 늘어나면서 자연 증가 인구는 역대 최저치로 떨어졌습니다.
통계청이 발표한 `2015년 출생·사망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출생아 수는 43만8천7백명으로 전년(43만5천400명)보다 3천3백명(0.8%) 증가했습니다.
출생아 수는 2013년(-4만8천100명·-9.9%), 2014년(-1천명·-0.2%) 연속 감소하다가 3년 만에 늘어난 것입니다.
그러나 출생아 수는 2005년(43만5천명), 2014년(43만5천400명), 2013년(43만6천500명)에 이어 역대 네 번째로 적었습니다.
여성 한 명이 평생 나을 것으로 예상되는 평균 출생아 수인 합계 출산율은 1.24명으로 전년(1.21명)보다는 0.03명(2.9%) 증가했지만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의 초저출산 기준선인 1.30명을 넘지는 못했습니다.
우리나라는 2001년 합계 출산율이 1.297명으로 떨어져 초저출산 국가가 된 이후 15년째 이 지위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습니다.
연령별 출산율은 20대에서 감소하고 30대에서 증가해 30대 초반(30∼34세) 여성인구 1천명당 출생아 수는 116.8명으로 집계돼 가장 높았습니다.
평균 출산연령은 32.2세로 전년보다 0.19세 상승했고, 35세 이상 고령 산모의 비중은 23.8%로 전년보다 2.2%포인트 상승했습니다.
이런 가운데 합계 출산율이 가장 높은 곳은 세종(1.90명)이고 다음은 전남(1.55명), 울산(1.49명) 순이었습니다.
지난해 사망자 수는 27만5천7백명으로 전년보다 8천명(3.0%) 증가했으며, 하루 평균 755명이 숨져 전년보다 22명 늘어난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지난해 사망자 수는 사망원인 통계를 작성한 지난 83년 이래 최고치를 기록했는데 고령화로 사망자가 많이 생기는 70∼80대에 진입한 인구가 늘어났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됩니다.
출생아에서 사망자를 뺀 자연증가는 16만3천명으로 전년보다 4천7백명(2.8%) 감소해 통계를 작성한 1970년 이래 가장 낮았습니다.
통계청은 2028년이 되면 출생아 수와 사망자 수가 같아져 자연증가가 0명이 되고 2030년부터는 인구가 감소할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