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60년간 한국 주식시장을 바꾼 제도적인 변화는 단연 외국인에 대한 시장 개방입니다.
한국 증시에 막대한 영향을 주고 있는 외국인은 지난 1980년 처음 노무라증권의 서울 사무소 개설이 처음입니다.
이후 정부가 1992년 외국인 투자자의 주식취득을 허용하고, 1998년 4월 외국인 투자촉진법을 통해 한국 증시에 대한 투자 한도를 모두 폐지하기에 이릅니다.
한국 주식시장에 대한 외국인의 시가총액 보유비중은 1992년 4.9%에서 빠르게 증가해 지난 2000년 처음으로 30%를 돌파했습니다.
고속성장해온 한국에 대한 세계 투자자금 유입이 꾸진히 이뤄진 결과 작년말 기준 386조원, 상장기업 지분율의 31.9%를 외국인이 보유하고 있습니다.
2005년 연기금의 주식투자가 허용된 이후 국민연금을 비롯한 연기금 투자도 국내 주식시장 수급의 핵심으로 떠올랐습니다.
국민연금이 보유한 국내 주식투자 자금은 2005년 13조원에서 10년 만에 95조 원으로 뛰었습니다.
1996년 코스피200선물·옵션 등 주가지수선물을 시작으로 미국달러, CD금리, 금을 활용한 파생상품시장도 가파르게 성장했습니다.
2천년 초반 급변하는 환율에 대한 위험관리, 외국인 투자 확대에 맞춰 엔화와 유로화 등 통화관련 파생상품거래 규모가 연간 25%씩 성장했습니다.
파생상품시장은 2002년과 2003년 짧은 역사에도 거래량에서 세계 1위에 올랐으나, 2011년 규제강화와 주식시장 부진과 맞물려 세계시장 12위까지 밀렸습니다.
외환위기를 지나 1998년 9월 국내 첫 증권투자회사, 뮤추얼펀드가 도입되고, 같은해 12월 미래에셋 박현주 회장이 만든 국내 첫 주식형펀드가 선보였습니다.
국내 주식형펀드는 2천년 중반 펀드 가입열풍과 함께 한때 설정액 80조원을 돌파하기도 했습니다.
2001년에는 투자목적에 맞춰 주식과 채권, 수익증권을 묶은 첫 랩어카운트 상품이 선보였고, 2003년 주식워런트증권 ELW, 2002년 상장지수펀드 ETF 등 금융공학 상품이 봇물을 이뤘습니다.
우리나라 자본시장이 이처럼 60년간 압축성장을 이뤘지만 아직 보완해야 할 점들도 적지 않습니다.
한국 주식시장이 풀어야할 과제들은 김도엽 기자가 짚어봤습니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