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년만에 무려 3배 가까이 늘어난 것으로 온실가스 감축을 위해 `탈(脫) 석탄`을 추진 중인 선진국과 달리 우리나라의 석탄 의존도는 갈수록 심화되는 모습이다.
<사진설명=서울 마포구 당인리 화력발전소 모습>
18일 전력거래소 등에 따르면 지난해 총 전력거래금액, 즉 전력을 생산한 대가로 발전업자에게 지급한 돈은 41조6천억원으로 2014년(44조4천억원) 대비 6.2% 감소했다.
이를 발전 연료별로 보면 석탄이 전체의 34.9%인 14조 5,200천억원으로 가장 많았고 액화천연가스(LNG) 32.3%(13조 4,500억원), 원자력이 23.7%(9조 8,500억원), 신재생에너지(1조 9,100억원)순이었다.
지난해 유가의 급속한 하락으로 신규 발전소가 대거 시장에 진입, 한전이 전력시장에서 구입하는 도매가격인 SMP(system marginal price)가 대폭 하락하면서 전체 전력거래금액도 덩달아 줄었지만 석탄발전은 전년 대비 11% 이상 늘어나면서 금액으로는 무려 1조5천억원이 증가했다.
지난 2006년 석탄발전에 지급한 전력거래비용이 5조 2,500억원에 불과했다는 점과 비교하면 10년만에 3배 가까이 늘어난 셈이다.
반면 지난해 LNG 전력거래금액은 전년 대비 26.4% 급감했고 신재생에너지도 10.6% 줄었다.
이같은 현상은 발전시장에서 석탄 의존도가 갈수록 높아지고 있기 때문이다.
지난해 거래된 전력은 모두 49만5,400가와트시(GWh)로 역대 최대였로 이중 석탄 비중은 무려 40.6%로 사상 처음으로 20만GWh를 넘었다.
석탄발전은 온실가스 배출의 주범으로 영국같은 경우 오는 2025년까지 석탄화력 발전시설을 전면 폐쇄키로 하는 등 선진국들은 이미 탈 석탄 시대를 준비하고 있다.
그럼에도 우리나라는 거꾸로 `나홀로 석탄 편중` 현상은 갈수록 심화될 것으로 전망된다.
지난해 석탄발전설비 총 용량은 28.6GW로 우리나라 전체 발전설비 용량의 28.9%를 차지했는데 올해도 당진 9·10호기, 삼척그린 1·2호기, 태안 9·10호기 등 8.7GW 규모의 석탄발전 시설이 신규가동되는 것으로 예정돼 있어 석탄을 통해 생산되는 전기는 더 늘어날 것이 확실한 형편이다.
에너지업계의 한 관계자는 "세계적으로 온실가스 감축을 위해 석탄 사용을 금지하고 있는데 우리나라는 이를 늘리고 있어 대비된다"면서 "현 상태로는 국가 온실가스 감축 목표 달성이 불가능한 만큼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