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대리운전과 꽃배달, 미용업 등 O2O 사업에 속력을 내고 있는 카카오가 소상공인들의 거센 반발에 직면했습니다.
이른바 카카오의 골목상권 침해로 소상공인들의 생존이 위협받고 있다는 주장인데요.
카카오 O2O 사업을 둘러싼 불협화음은 당분간 계속될 전망입니다. 임원식 기자입니다.
<기자>
밤 늦은 시각, 스마트폰 앱을 열고 대리운전 기사를 부릅니다.
손님의 위치는 요금과 함께 인근 대리운전 기사의 휴대폰으로 전송됩니다.
카카오가 지난달 말 처음 선보인 대리운전 서비스 `카카오 드라이버`입니다.
손님은 대리운전 회사에 전화할 필요 없이 기사를 부르고 요금도 투명하게 알 수 있어서,
대리운전 기사는 수수료가 20%로 일정한 데다 손님을 찾아 헤멜 여지도 줄면서 서로 `윈-윈`이라는게 카카오 측의 설명입니다.
[인터뷰] 허성훈 / 대리운전 기사
"손님이 어디 있는지 두 번, 세 번 전화하는 경우가 많았는데... 손님 위치를 찾을 수 있고 손님이 제 위치를 찾을 수 있어서 (장점이라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기존 대리운전 업계는 강하게 반발합니다.
국내 모바일 메신저의 90% 이상이 카카오인 상황에서 `IT 대기업` 카카오의 대리운전 사업은 과거 빵집 진출로 논란이 됐던 대기업 골목상권 침해와 다를 게 없다는 주장입니다.
여기에 카카오가 꽃배달과 퀵서비스, 미용업까지 하도록 놔둘 경우 소상공인 시장은 붕괴될 수 밖에 없다며 우려하고 있습니다.
[인터뷰] 이영재 / 대리운전업체 대표
"카카오가 영세한 업체들이 어렵게 키워온 대리운전 시장을 날로 먹으려 하고 5만여 종사자들까지 거리로 내몰고 있습니다."
그러나 카카오는 소비자 편익과 영세 상인들의 수익 면에서 `실`보다는 `득`이 많다며 예고한 O2O 사업들을 그대로 밀고 나가겠다는 입장.
[인터뷰] 정주환 / 카카오 부사장
"골목상권이라고 하는 부분들 침해를 어떻게 안 할 것인가에 대한 고민보다는 같이 시장을 어떻게 키울 것인가를..."
일각에서는 카카오가 사업을 시작하기 전 소상공인을 비롯해 관련 업계와의 상생과 공존을 위한 고민과 대책 마련부터 우선 했어야 했다고 지적하고 있습니다.
한국경제TV 임원식입니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