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용 한파를 뚫고 어렵사리 취직하기는 했지만 내용이나 질적 측면에서 괜찮은 일자리를 얻지 못한 청년이 많았다는 의미다.
<연합뉴스 DB>
1일 한국고용정보원 고용정보분석팀 박진희 팀장이 내놓은 `최근 청년 고용의 특징과 정책적 시사점`이라는 보고서를 보면 지난해 20대 취업자는 1년 전보다 6만8천여명 늘었으나 늘어난 일자리가 고용의 질로 연결되는 것은 아니었다는 것이 주된 내용이다.
20대 청년층 취업자가 가장 많이 늘어난 직종은 경비, 배달, 건물 청소 등 단순노무직으로 1년 전보다 2만3천명 증가했고 그다음이 판매 종사자(2만2천명), 장치·기계조작 및 조립 종사자가 1만6천명 순이었다고 한다.
전문가 및 관련 종사자는 8천명 늘어나는 데 그쳤고 사무 종사자는 그나마 3천명이 줄었다.
단기계약직 비중도 크게 확대, 최종학교 졸업 후 첫 일자리의 고용 계약기간이 1년 이하인 청년층(15∼29세)은 2006년 8.7%에서 지난해 20.7%로 무려 12%p나 상승했다.
반면 계약 기간을 정하지 않은 비중은 같은 기간 66.9%에서 61.1%로 쪼그라들었다.
일자리가 불안정하다 보니 청년층은 일찍 이직을 고민하게 되는 악순환이 거듭될 수 밖에 없다.
노동시장을 퇴장한 지 1년 이내인 청년 비경제활동인구의 이직 사유를 보면 15.8%가 노동 시간이나 보수 등이 불만족해서라고 답했는데 이 비중은 2013년 12.0%, 2014년 14.1%로 꾸준히 상승세를 나타내고 있다.
청년 고용 상황의 이같은 악화는 경제 성장률 둔화로 청년층이 선호하는 대규모 사업체의 채용이 주춤하고 있어서다.
지난해 12월 기준으로 상시근로자 300인 미만 사업체의 신규 채용 직원 수는 1년 전보다 7.4% 증가했지만 300인 이상 사업체에선 3.0% 감소한 것이 단적인 예다.
이런 경제상황에다 올해부터 정년 60세가 의무화하면서 청년 고용 상황은 더욱 악화할 것이 확실시된다.
지난 4월 대한상공회의소가 1단계 정년연장 적용 대상 기업(상시근로자 300인 이상) 300곳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42.3%가 정년 연장으로 신규채용 축소가 불가피하다고 답해 청년 고용 절벽이 시스템화되고 있는 것을 숫적으로 뒷받침했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