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중 부적절 발언'?··나향욱 교육부 정책기획관 대기발령

입력 2016-07-09 14:22  

교육부가 술자리에서 부적절한 발언으로 물의를 빚은 나향욱 정책기획관(47)에 대해 9일 대기발령 했다.

나 정책기획관은 최근 경향신문 기자들과 상견례를 겸한 저녁 식사를 하다가 "민중은 개·돼지다", "신분제를 공고화해야 한다"고 발언했고 이 사실이 보도,물의를 빚었기 때문이다.

교육부는 나 정책기획관이 과음한 상태에서 기자와 논쟁을 벌이다 실언했다고 해명했다.



그러나 교육부는 부적절한 언행으로 국민에게 심려를 끼쳤다고 판단,경위조사를 거쳐 대기발령 조치를 내린 것이다.

행정고시 36회 출신인 나 정책기획관은 교육부 장관 비서관, 청와대 행정관 등을 거쳐 올해 3월 승진했다.

아래는 경향신문이 공개한 대화 전문이다.

"나는 신분제를 공고화시켜야 한다고 생각한다."(나향욱 정책기획관)

- 신분제를 공고화시켜야 한다고?(모두 농담이라고 생각해 웃음)

"신분제를 공고화시켜야 된다. 민중은 개·돼지다, 이런 멘트가 나온 영화가 있었는데…."

- <내부자들>이다.

"아, 그래 <내부자들>…. 민중은 개·돼지로 취급하면 된다."

- 그게 무슨 말이냐?(참석자들의 얼굴이 굳어지기 시작)

"개·돼지로 보고 먹고살게만 해주면 된다고."

- 지금 말하는 민중이 누구냐?

"99%지."

- 1% 대 99% 할 때 그 99%?

"그렇다."

- 기획관은 어디 속한다고 생각하는가?

"나는 1%가 되려고 노력하는 사람이다. 어차피 다 평등할 수는 없기 때문에 현실을 인정해야 한다."

- 신분제를 공고화시켜야 한다는 게 무슨 뜻인가?

"신분이 정해져 있으면 좋겠다는 거다. 미국을 보면 흑인이나 히스패닉, 이런 애들은 정치니 뭐니 이런 높은 데 올라가려고 하지도 않는다. 대신 상·하원… 위에 있는 사람들이 걔들까지 먹고살 수 있게 해주면 되는 거다."

- 기획관 자녀도 비정규직이 돼서 99%로 살 수 있다. 그게 남의 일 같나? (정확한 답은 들리지 않았으나 아니다, 그럴 리 없다는 취지로 대답)

- 기획관은 구의역에서 컵라면도 못 먹고 죽은 아이가 가슴 아프지도 않은가. 사회가 안 변하면 내 자식도 그렇게 될 수 있는 거다. 그게 내 자식이라고 생각해 봐라.

"그게 어떻게 내 자식처럼 생각되나. 그게 자기 자식 일처럼 생각이 되나."

- 우리는 내 자식처럼 가슴이 아프다.

"그렇게 말하는 건 위선이다."

- 지금 말한 게 진짜 본인 소신인가?

"내 생각이 그렇다는 거다."

- 이 나라 교육부에 이런 생각을 가진 공무원이 이렇게 높은 자리에 있다니…. 그래도 이 정부가 겉으로라도 사회적 간극을 줄이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줄 알았다.

"아이고… 출발선상이 다른데 그게 어떻게 같아지나. 현실이라는 게 있는데…."

경향신문 기자들은 더 이상 대화를 할 수 없다고 보고 자리에서 일어났다.

뒤따라온 교육부 대변인과 과장이 "해명이라도 들어보시라"고 만류, 다시 돌아가 앉았다.

이때부터는 휴대폰 녹음기능을 틀고 테이블 위에 올려놓았다.

나 기획관은 "공무원으로서가 아니라 개인적인 생각을 편하게 얘기한 것"이라고 해명했다.

- 조금전 발언 실언이냐, 본인 생각이냐.

"(휴대폰을 가리키며) 일단 그거 꺼라. 개인적인 생각을 말씀드린 것도 있고. 내 생각은 미국은 신분사회가 이렇게 돼 있는데, 이런 사회가 되는 것도 괜찮지 않겠는가… 이런 얘길 한 것이다. `네 애가 구의역 사고당한 애처럼 그렇게 될지 모르는데` 하셨는데, 나도 그런 사회 싫다. 그런 사회 싫은데, 그런 애가 안 생기기 위해서라도 상하 간의 격차는 어쩔 수 없고… 상과 하 간의 격차가 어느 정도 존재하는 사회가 어찌 보면 합리적인 사회가 아니냐 그렇게 얘기한 것이다."

- 사회안전망을 만든다는 것과 민중을 개·돼지로 보고 먹이를 주겠다는 것은 다르지 않은가.

"이 사회가 그래도 나아지려면 어느 정도 인정하는 게 있어야 할 거 아니냐라고 얘기한 거다."

- 정식으로 해명할 기회를 주겠다. 다시 말해 봐라.

"공식적인 질문이면… 그거 끄고 하자."

- 본인의 생각이 떳떳하면 왜 말을 못하는가. 개인 생각과 공무원으로서의 생각이 다른가.

"같을 수도 있고 다를 수도 있는데… 지금은 말 못한다."

나 기획관은 8일 대변인과 함께 경향신문을 찾아와 “과음과 과로가 겹쳐 본의 아니게 표현이 거칠게 나간 것 같다. 실언을 했고, 사과드린다”고 말했다고 한다.

관련뉴스

    top
    • 마이핀
    • 와우캐시
    • 고객센터
    • 페이스 북
    • 유튜브
    • 카카오페이지

    마이핀

    와우캐시

    와우넷에서 실제 현금과
    동일하게 사용되는 사이버머니
    캐시충전
    서비스 상품
    월정액 서비스
    GOLD 한국경제 TV 실시간 방송
    GOLD PLUS 골드서비스 + VOD 주식강좌
    파트너 방송 파트너방송 + 녹화방송 + 회원전용게시판
    +SMS증권정보 + 골드플러스 서비스

    고객센터

    강연회·행사 더보기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이벤트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더보기

    open
    핀(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