앞서 보신 것처럼 초대형IB 기준과 관련해 최근 대형 증권사 인수, 증자 등을 단행해 본격 행보를 준비중이던 금융지주사들도 세부 검토에 돌입했습니다. 외형도 외형이지만 실제 수익창출, 신규 사업 등 경쟁력 부문이 관건이 될 전망입니다. 보도에 김정필 기자입니다.
<기자>
초대형IB 기준이 3조원과 4조원, 8조원으로 세분화되면서 증권부문 강화가 화두인 주요 금융지주사들도 분주해졌습니다.
8조원대는 둘째 치더라도 일단 4조원을 충족하거나 이에 근접한 지주사는 크게 3곳.
우투증권을 품에 안으며 자본 4조5천억원의 증권사를 보유한 NH금융은 여수신 강화, 레버리지 확대에 따른 수익 창출을 통해 최근 나락에 빠진 분위기 전환에 나섭니다.
STX 법정관리 여파가 대규모 순손실로 이어졌지만 추가 자본, M&A가 필요없는 만큼 해외 PF, 동남아 인프라, 농협만의 농산물, 농기계 관련 IB투자 범위를 확대할 방침입니다.
현대증권과 KB투자증권의 합병을 진행중인 KB금융도 5조원이 아닌 4조원인 기준에 따라 세부 전략을 논의하게 됩니다.
올해 연말까지 현대·KB증권 합병이 마무리되면 자본 3조8천억원의 증권계열이 확보되는 만큼 기준에 맞추기 위한 증자 등 세부 검토를 통해 초대형IB의 최종 윤곽을 결정하게 됩니다.
신한금융은 최근 계열인 신한금투의 증자 결의에 이어 종합금투사 전환에 대비한 조직을 신설한 상황에서 3조원대 기준만 활용할 것이냐 4조원대까지 맞추느냐를 저울질 중입니다.
아직까지는 3조원 기준에 맞춰 고객기반과 PWM센터 등을 활용한 금융서비스 창출, 수익저변을 넓힌다는 구상이지만 4조원대 상향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습니다.
금융권에서는 증자, 코코본드 발행, 시장에 나온 1조원 안팎의 증권 매물을 인수할 경우 4조원대 기준에 맞춰 외연이 넓어지는 만큼 관련 눈치싸움이 본격화될 것으로 예상했습니다.
<인터뷰> A금융지주 고위 관계자
“그 기준을 넘겨서 종합 영업을 해야 하지 않겠나. 증자를 하거나 앞으로 전략 방향에 따라 인수를 생각해 봐야 할 것 같다”
하나금융은 자기자본이 기준에 못 미치고 보험 외 M&A에 실익이 크지 않다는 판단 하에, 우리은행은 민영화 이슈 때문에 당분간 복합점포와 WM부문, 틈새시장 공략에 집중할 예정입니다.
금융지주사들은 3조원, 4조원, 향후 8조원대 등 몸집불리기에만 치우치기 보다는 어떤 사업모델을 접목하고 신 수익원을 확보해 한국판 ‘골드만삭스’, ‘메릴린치’로 갈 것인 지, 그 세부 윤곽을 잡아갈 것으로 보입니다.
한국경제TV 김정필입니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