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일 금융노조의 총파업으로 인해 은행업무에 차질이 예상된다.
금융노조는 20일 서울 중구 노조사무실에서 가진 기자회견에서 오는 23일 서울 상암월드컵경기장에서 열리는 총파업에 노조원 10만 명이 결집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금융노조는 총파업에 나서는 이유에 대해 "정부가 노사관계에 불법 개입해 지난 수십 년간 이어져 온 정상적인 산별 노사관계를 하루아침에 파탄 냈기 때문이며 이는 금융산업의 안정성을 심각하게 훼손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정부가 추진 중인 성과연봉제는 단기실적을 극대화할 수 있는 마약"이라며 "지금은 단기 실적주의에서 벗어나 조직의 미래를 책임질 장기적인 전략을 수립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은행들은 금융노조의 파업 참여 규모에 따라 상황에 맞는 컨틴전시 플랜을 가동, 고객 불편을 최소화할 방침이다. 본점 인력의 영업점 활용, 경력자 임시 채용, 거점점포 활용 등 다각적인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우리은행은 파업 참여율 50% 이하, 50% 초과∼70% 이하, 70% 초과 등 3가지 시나리오를 마련해 파업 참여율이 50% 이하인 경우에는 본부부서 인원 영업점 파견, 관리자급 이상 휴가 금지, 전 직원 집합연수 연기 등의 방안을 시행할 예정이다.
참가율이 50∼70%에 이르면 점포 운영을 축소하고, 본부부서 인원과 퇴직 직원을 활용한다는 방침이다. 파업 참가율이 70%를 초과하면 거점점포 운영, 본부 인원과 퇴직 직원 활용, 인터넷뱅킹 서버 용량 확충 등의 계획을 세웠다.
KEB하나은행은 정상 업무, 여·수신 필수업무, 거점점포 운영 등의 계획을 수립, 만일의 사태에 대비한다는 입장이다.
KB국민은행도 거점점포 운영, 필수 인력 배치 등 다양한 방안을 검토 중이고, 신한은행과 농협은행도 상황별 매뉴얼을 수립, 거점점포를 중심으로 업무 공백을 최소화하겠다는 입장이다.
특히 은행 거래의 대부분이 모바일이나 인터넷뱅킹으로 이뤄지는 만큼 전산에서 오류가 나지 않도록 만전을 기하겠다는 각오다.
한국경제TV 디지털뉴스부 김현경 기자
khkkim@wowtv.co.kr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