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우건설이 한미약품과 마찬가지로 사전 정보 유출에 따른 공매도 의혹에 휩싸였습니다.
문제는 금융당국이 최근 공매도 대책을 부랴부랴 내놓았는데 실효성이 없다는 지적입니다.
권영훈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대우건설 공매도 상황을 재구성해봤습니다.
지난 11일은 대우건설이 미국 대통령 당선인 트럼프와의 인연으로 52주 신고가를 기록한 날입니다.
다음 거래일인 14일도 주가가 올랐지만 장 마감 이후 악재성 공시가 나오면서 연일 내리막길을 걷고 있습니다.
대우건설은 외부감사인 딜로이트안진으로 부터 3분기 실적보고서에 대해 의견거절을 통지받았다고 공시했습니다.
이를 두고 안진이 대우조선해양 부실감사로 지적을 받자 예외적으로 의견거절 카드를 냈다는 해석이 나오고 있습니다.
그런데 11일 대우건설 공매도 거래량은 이전 한달 평균의 10배가 넘는 119만여주로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습니다.
비정상적인 공매도 동향을 볼 때 한미약품 사태처럼 사전에 정보가 유출됐다는 의혹이 일고 있는 대목입니다.
한국거래소는 미공개정보를 이용한 내부자 거래와 공매도 주문을 낸 증권사와 자산운용사에 대한 조사를 착수했습니다.
<인터뷰> 이해선 / 거래소 시장감시위원장
"이상매매 패턴이 혹시 내부자와 관련이 있는지 대우건설 주식취급을 안하다가 갑자기 들어왔는지 보는겁니다"
금융당국과 검찰은 한미약품 사태 관련 한달 넘게 조사하고 있지만 별다른 진척은 없는 상황입니다.
대우건설 공매도 사태가 발생하기 하루 전인 10일 금융위원회는 공매도 개선방안을 내놓았지만 문제는 내년부터 시행한다는 점입니다.
사실상 그 전까지는 비정상적인 공매도를 규제할 방법이 없다는 겁니다.
나아가 이번 대책 역시 개인투자자의 정보 비대칭 문제는 해소되지 않아 실효성이 없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습니다.
개인들은 신용만으로 대주가 어려운데다 공매도 주체와 목적 등 관련 정보가 없어 여전히 공매도 세력의 먹잇감인 셈입니다.
때문에 불공정 거래로 부당이익을 취한 공매도 세력과 내부 거래자에 대해 보다 강력한 처벌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습니다.
한국경제TV 권영훈입니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