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가 미국의 제 45대 대통령에 취임하며 본격적인 트럼프 시대가 개막했습니다.
이에 따라 시장에서는 트럼프노믹스가 향후 국내 증시에 미칠 영향과 수혜·피해 업종 찾기에 분주한 모습입니다.
관련 내용 최경식 기자가 전합니다.
<기자>
트럼프 시대가 본격적으로 열리면서 국내 증시의 불확실성이 커지고 있습니다.
트럼프 정책과 미국의 경기 상황에 비추어볼 때, 전문가들의 국내 증시에 대한 전망은 대체로 엇갈립니다.
먼저 트럼프 행정부의 인프라 투자 및 재정정책(법인세 인하 등 감세 정책) 확대와 미국의 경제지표 호조세 등은 국내 증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됩니다.
<인터뷰> 이효섭 자본시장연구원 연구위원
"미국은 글로벌 산업 생산과 소비를 주도하고 있는데, 그래서 재정 확대와 인프라 투자 확대로 기업들의 생산 활동이 증가하고. 무엇보다 일자리가 증가할 가능성이 높다. 실질임금 증가에 힘입어 미국을 중심으로 소비가 확대될 가능성이 높고, 그것들이 경제 성장률 제고로 이어져서 글로벌 증시에 호재가 될 가능성이 높다."
하지만 트럼프의 또 다른 대표 정책 중 하나인 보호무역주의가 가시화되고, 환율조작국 지정 가능성 등이 수면 위로 부상할 경우 국내 증시에 직접적인 악재 요인이 될 수 있다고 분석합니다.
<인터뷰> 구기보 숭실대학교 글로벌통상학과 교수
"특히 중국이 미국과의 무역마찰이 격화되면서 우리나라의 대중국 수출이 감소하는 부분은 증시에 부정적이다. 예를 들면 철강과 같이 중국 정부가 보조금을 줘서 육성하는 업종에 대해서 미국이 고율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하고 있다. 또한 환율 조작국으로 중국을 지정하겠다라고 하고 있는데. 이 과정에서 한국도 환율조작국에 포함될 가능성도 없지 않다고 볼 수 있다."
미국 새 정부의 정책 방향에 따라 업종별 희비도 엇갈릴 것으로 보입니다.
트럼프 시대 개막으로 수혜가 예상되는 업종들로는 방산과 정유화학, 그리고 은행·보험 업종 등을 꼽을 수 있습니다.
외교 통상 등 글로벌 분쟁 우려가 높아진 만큼 국제적으로 방위 산업에 대한 투자가 늘어날 것으로 전망되고, 연비규제 완화와 에탄올 의무사용 규제 철폐 정책으로 인해 정유화학 업종도 큰 폭의 실적 개선이 점쳐지고 있습니다.
또 트럼프 행정부의 인프라 투자 확대 정책과 금융규제 완화 기조 등으로, 건설과 은행·보험도 수혜 업종으로 꼽힙니다.
<인터뷰> 김영환 신한금융투자 글로벌전략팀 연구위원
"건설 업종은 미국 인프라 투자 확대 계획에 따른 수혜를 가장 크게 볼 수 있는 업종이다. 인프라 투자 계획이 확대되면 해외 플랜트 건설 부분에 대한 업황 호조를 기대할 수 있다. 은행 보험 업종의 경우엔 일단 미국에서는 '도트 프랭크 법'이라고 금융규제 법안이 이미 있다. 이걸 폐지한다는 것이 트럼프 정부의 공약이다. 이는 결국 미국 은행주들의 밸류에이션 상승으로 이어질 수 있는데, 한국 입장에서도 미국 은행주들이 상승하게 되면 한국 은행주도 상대적인 매력이 높아지기 때문에 외국인 자금이 유입될 가능성이 높고, 또 원화 강세를 보일 경우 은행주들은 수익성 개선을 확보할 수 있다."
반면 대표적인 수출 업종인 IT와 자동차, 그리고 제약 바이오 업종 등은 일정 부분 피해가 예상됩니다.
특히 보호무역주의 정책과 한미 FTA 재협상 가능성, 그리고 환율조작국 지정에 따른 원화 강세 영향 등은 주력 수출 산업인 IT와 자동차 업종의 이익 성장세를 둔화시킬 것으로 보입니다.
또 트럼프 행정부의 오바마케어 폐지 정책과 기대 인플레이션 상승 압력 등으로, 제약·바이오와 소비재 관련 업종의 피해도 불가피할 것이란 전망입니다.
<인터뷰> 김형렬 교보증권 매크로전략팀 팀장
"오바마케어의 도입 과정 속에 제약 바이오 관련 산업들에 대한 외형적 성장이 진행됐었던 만큼 이 오바마케어의 폐지 수순 등은 산업 성장에 대한 동력을 저해할 수 있는 여지 등이 있기 때문에 제약 바이오 산업에 대한 투자 심리에는 부정적 영향이 취해질 가능성이 크다. 또한 트럼프 정부가 들어섬으로써 글로벌 전체의 기대 인플레이션이 조금씩 커져가고 있는 상황인데. 이처럼 세계 물가가 상승압력을 받게 되면 소비재 관련 산업은 마진 훼손에 대한 위협에 직면하게 되어 있다. 그동안 전 세계 가계소비를 중심으로 성장했었던 경제가 이같은 물가상승 압력에 직면하게 될 경우 이 소비재 관련 산업은 당분간 위협을 받을 소지가 있다."
다만 전문가들은 과거의 선례를 볼 때, 트럼프 행정부의 정책이 상황에 따라 바뀔 수도 있는 만큼 이에 대한 대비도 필요하다고 강조했습니다.
한국경제TV 최경식입니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