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사회문제 해결을 위해 정부가 4차산업혁명 관련 7대 프로젝트를 추진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습니다.
KT는 사내 싱크탱크인 KT경제경영연구소의 `한국형 4차산업혁명의 미래` 출간 기념 간담회를 개최하고 이같이 밝혔습니다.
오는 31일 출간되는 도서 `한국형 4차산업혁명의 미래`를 통해 한국에 맞는 4차 산업혁명에 대한 정의와 함께, 개인과 기업ㆍ학계ㆍ정부의 역할과 방향성에 대한 내용이 수록됐습니다.
KT경제경영연구소는 일자리와 고령화·저출산, 사회안전망, 환경, 교육, 산업디지털화, 5G인프라 확보를 4차산업혁명을 통해 해결해야 할 국가적 과제로 제시했습니다.
김희수 KT경제경영연구소 실장은 산업혁명 등 매 시기마다 교육 수준이 기술의 수준을 따라잡지 못했을 때 사회적 고통이 발생해왔다고 설명했습니다.
가상현실과 인공지능을 적극 활용한 맞춤형 교육으로 현재 기술 수준과 교육 수준의 차이를 극복하고, 일자리 문제는 개인에게 맞춤형 교육과 직업 강화 훈련을 할 뿐 아니라 개인에게 맞는 일자리를 찾아주는 시스템이 정부 차원에서 마련되어야 한다는 겁니다.
김 실장은 지능형 네트워크와 스마트 인프라로 사회안전망을 강화할 수 있으며, 정부가 스마트에너지 기술을 이용해 환경 문제에도 대응할 수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습니다.
저출산·고령화 문제 해결을 위한 로봇 기술 연구 강화와, 4차산업혁명의 필수 동력으로 꼽히는 5G 인프라를 위한 정부 투자도 선행되어야 한다고 김 실장은 지적했습니다.
정보통신기술로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이를 토대로 저출산·고령화 등의 사회문제를 해결하는 `포용적 성장`이 필요하다는 주장입니다.
KT는 4차산업혁명시대에는 5G를 기반으로 빅데이터와 인공지능, 사물인터넷(IoT), 클라우드 등 4대 분야에서 일대 도약이 이뤄지고 이를 바탕으로 스마트카, 핀테크, 스마트미디어 등의 주력산업 성장이 가능해질 것으로 분석했습니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