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부 이야기⑫] 디자인 불모지에 40년 거목으로 우뚝 서다..이영혜 디자인하우스 대표

이성경 부장 (부국장)

입력 2017-09-28 09:50   수정 2017-09-28 14:35

    아름다운 가구와 공예품이 가득한 생활잡지 '행복이 가득한 집', 해마다 30 만명의 관람객이 찾는 '서울리빙디자인페어', 낡은 창고를 갤러리 카페로 개조한 '대림창고'.

    뉴욕이나 밀라노 어느 거리에서나 봤을 법한 디자인 매거진과 전시회, 도시재생공간 이다. 이들을 서울 한복판에 뿌리내리기 위해 디자인하우스의 이영혜 대표는 40년 동안 전쟁 같은 삶을 살고 있다.

    ◇ 일상으로 내려 온 디자인

    1976년 홍익대학교 응용미술과를 졸업한 사회 초년생 이영혜는 디자이너의 길을 가지 않았다. 대학시절 우연히 만난 이탈리아의 디자인 매거진 '도무스'에 문화적 충격을 받고, 적자투성이 전문지 '월간 디자인'에 입사한다.

    "'도무스'를 통해 디자인 선진국들의 세계를 봤어요. 디자인을 둘러 싼 생태계에 눈을 뜬 것이죠. 디자인은 한 나라의 국부가 될 수 있고, 기업의 베스트셀러가 될 수 있고, 여러 분야에서 고용 창출도 가능해요. 그래서 디자이너를 성장 시키는 것이 사회에서 너무 중요하다는 것을 깨달았어요."

    디자이너에게 필요한 지식을 전달하는 창구. 하지만 디자인의 개념 조차 생소했던 1970년대, 월간 디자인은 2년도 못 가 폐간 위기를 맞는다.

    새내기 기자 이영혜는 결혼자금을 털어 회사를 인수했다. 1980년, 그의 나이 스물 일곱 살 이었다.

    그 시절 디자인 전문지로 수익을 내는 것은 불가능했다. 일주일에 사흘은 잡지 만드느라 밤을 새고, 나머지 사흘 밤은 잡지 만드는 돈을 벌기 위해 기업 브로셔와 달력, 명함을 만들었다.

    디자인을 전문가 영역에서 보통 사람들의 세상으로 내려 독자층을 넓힐 필요가 있었다. 그 결과 정치 뒷담화와 연예인 가십 없는 생활매거진 '행복이 가득한 집'이 탄생했다.

    "가구도, 냉장고도, TV도 모두 여성들이 구매해요. 가장 큰 소비자인 여성들이 선택하는 모든 것은 기업이 생산하는 것이고 그 뒤에는 디자이너가 있지요. 디자인 이라는 말을 하나도 쓰지 않고 디자인 교육을 시킬 수 있겠다 싶었어요. 건강한 소비자를 발명했다고나 할까요"

    국내 첫 디자인 전문지 '월간 디자인'은 올해로 41년, 라이프스타일 매거진을 표방한 '행복이 가득한 집'은 30년 동안 이어지고 있다.

    ◇ 소비자의 '욕망'· 디자이너의 '욕구'

    '행복이 가득한 집'은 1987년 출간 하자마자 고품격 생활매거진에 목말라 하던 충성도 높은 독자들을 빨아들였다. 그들은 잡지를 읽는데 그치지 않고, 직접 보고 구매하기를 원했다.

    "행복이 가득한 집을 발행하고 나면 회사로 독자들의 전화가 빗발쳐요. '몇 페이지에 소개된 그 그림 어디서 살 수 있나'라는 것이죠. 기자들이 전화 받느라 일을 못 할 지경이었어요. '아, 이것이 우리의 역할이구나' 싶었어요."

    이 대표는 독자들이 원하는 실물을 보여주겠다고 결심한다. '아름다운 것을 보고 싶고, 소비하고 싶은 욕망을 해소하는 통로.' 서울리빙디자인페어는 이렇게 시작됐다.

    '아직은 아닌데'라는 많은 사람들의 의구심 속에 1994년 막을 올린 서울리빙디자인페어는 해마다 20만~30만명의 소비자들이 제 발로 찾아와 기꺼이 입장료를 지불하는 국내 최대 전시회로 23년간 계속되고 있다.

    "몇 년 동안 적자를 내기도 했지만 디자인을 산업과 소비자와 연결하는 역할을 했다고 생각해요. 이제 소비자들의 수준도 높아졌어요. 내년에는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로 진출해 작게 라도 해볼까 해요"

    아름다운 일상을 꿈꾸는 일반인을 위한 전시회가 서울리빙디자인페어 라면, 디자인 전문가들이 벌이는 한바탕 축제가 서울디자인페스티벌이다.

    2002년 시작된 서울디자인페스티벌은 작가들의 창작 욕구를 분출시킬 창구이자 젊은 디자이너를 길러내는 양성소 역할을 15년간 무던히 해내고 있다.

    이 대표는 올해 또 하나의 축제를 계획하고 있다. 전 세계적으로 가장 핫 하다는 '뭘 좀 만들어 봤다'는 창작자들의 축제 '메이커페어'를 주최하게 된 것.

    디자인하우스는 올해 초 온라인미디어 '블로터'를 인수했다. 블로터는 '메이커페어'의 서울 개최 운영권을 확보하고 있다.

    "대량생산 제품과 개인의 창작물 사이의 간극이 점차 벌어지면서 개인의 상상력·메이커의 창작물이 더욱 중요해 지고 있어요. 메이커 운동이 전 세계적인 조류가 되고 있는 시점에 '메이커페어'를 같이 하게 돼서 뜻 깊어요."



    ◇ '디자인' 이라는 광장의 복덕방

    디자인하우스는 낡은 학교를 개조해 만든 서울 장충동 4층 짜리 건물에 자리 하고 있다. 이 곳에서 행복이 가득한 집, 마이웨딩 등 6개의 잡지가 발행되고, 서울리빙디자인페어부터 메이커페어까지 시대를 한발 앞서간 전시회들이 기획되고 있다. 이 대표의 시선은 이제 종이에서 공간으로 이동하고 있다.

    서울 성동구 성수동, 공장 부자재를 쌓아두던 먼지 나는 창고를 리모델링 해서 만든 '대림창고'는 갤러리가 있는 카페의 개념을 넘어 대표적인 도시재생공간으로서 사회 문화적 가치를 인정 받고 있다.

    또한, 인사동 파고다가구가 있던 건물을 900여평 규모의 복합문화공간으로 리뉴얼하는 작업도 막바지에 와 있다.

    "저의 역할 중 하나가 콘텐츠 개발자 에요. 그 동안은 지면에서 콘텐츠 개발자 역할을 했다면 이제는 공간을 활용한 콘텐츠 디밸로퍼가 되고 싶어요."

    종이가 사라지는 디지털 시대, 디자인하우스도 세찬 도전에 직면했다.

    "이제는 공급자 시각이 아닌 철저히 소비자 입장에서 그들이 원하는 서비스를 어떤 형태로 제공할 것인가를 생각해야 해요. 디지털도 마찬가지 입니다. 앞으로는 새로운 이들의 시대가 될 것이기 때문에 그들을 어떻게 길러내고 지원해야 할 것인가가 저의 5년, 10년 숙제라고 생각해요."

    폐간 직전의 잡지를 '시집 갈 돈 털어' 인수한 스물 일곱 살의 젊은 창업자는 40년의 세월을 거쳐 매출 400억원 규모의 중견기업 CEO 이자, 한국 디자인 산업의 거목이 됐다.

    사람들은 그를 문화예술산업의 대모이자 미디어업계의 여걸로, 예술인부터 기업인까지 아우르는 마당발로, 수많은 영역을 종횡무진 넘나드는 시대를 앞서가는 혁신가 라고 부른다.

    "디자이너가 알아야 하는 상식을 전해주고, 각자 다른 작업을 하고 있는 사람들을 묶어 더욱 힘을 발휘하게 만드는 일을 했어요. 서로 네트워킹 시키고 이 사람에게 저 사람을 알려야 하고요. 옛날 말로 저는 복덕방 이에요. 저는 그 역할을 가장 신이 나서 하는 것 같아요."



    관련뉴스

      top
      • 마이핀
      • 와우캐시
      • 고객센터
      • 페이스 북
      • 유튜브
      • 카카오페이지

      마이핀

      와우캐시

      와우넷에서 실제 현금과
      동일하게 사용되는 사이버머니
      캐시충전
      서비스 상품
      월정액 서비스
      GOLD 한국경제 TV 실시간 방송
      GOLD PLUS 골드서비스 + VOD 주식강좌
      파트너 방송 파트너방송 + 녹화방송 + 회원전용게시판
      +SMS증권정보 + 골드플러스 서비스

      고객센터

      강연회·행사 더보기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이벤트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더보기

      open
      핀(구독)!